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액상화 가능 지수를 활용한 확률적 액상화 재해도

        정재원,Chung, Jae-won,Rogers, J. David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6

        공학적 측면에서 확률론적 액상화 재해 작성법이 점차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액상화 피해 현장의 액상화 가능 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를 이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액상화 피해 확률을 예측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바탕으로 광역지역의 액상화 재해도 기법을 제시하였다. 사례 연구로서 미국 세인트루이스 지역 홍수평야의 표준관입시험(273 곳) 결과를 대상으로 LPI를 산정하였고 최대지반가속도를 코크리깅의 이차변수로 적용하여 보간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구역에서 연약지반과 얕은 지하수위로 인해 LPI 값이 5이상으로 나타나, 액상화로 인한 지반 피해 확률이 0.5 이상으로 예측되었다. Probabilistic liquefaction hazard map is now widely needed for engineering practice. Based on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calculated from liquefied and non-liquefied cases, we attempted to estimate probabilities of liquefaction induced ground failures using logistic regression. We then applied this approach for the regional area. LPIs were calculated based on 273 Standard Penetration Tests in the floodplains in the St. Louis area, USA and then interpolated using cokriging with the covariable of peak ground acceleration. Our result shows that some areas of $LPI{\geq}5$, due to soft soil layers and shallow groundwater table, appear probabilities of ground $failure{\geq}0.5$.

      • KCI등재SCOPUS
      •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센서 기반의 재실감지방법에 관한 연구

        정재원(Jai-Won Chung),장달원(Dalwon Jang),이재원(Jae-Won Lee),김미지(Mi-Ji Kim),김서율(Seo-Yul Kim),이종설(Jong-Seol Le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가정집 등의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센서와 기계학습방법을 활용한 재실감지방법에 대해 알아본 연구는 조사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센서 측정값을 사용해 주거 공간에서 재실여부를 감지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형(random forest model)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1분 간격으로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재실여부를 측정했다. 측정된 전체 데이터(n = 4,665) 중 약 80%는 트레이닝 셋 데이터(n = 3,732)로 5차 교차검증방법(5-fold cross validation method)을 사용해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구축하는데 사용했다. 전체 데이터 중 약 20%는 테스트 셋 데이터(n = 933)로 사용해 구축한 랜덤 포레스트 모형의 예측 성능을 평가해본 결과,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값을 사용해 87.2%의 정확도로 재실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Grotstein의 이중-경로 이론(dual-track theory)을 바탕으로 재조명해본 자아 구조의 발달에 대한 분석적 고찰: 유아기 대상 경험과 하나님 표상 발달과 관련하여

        정재원(Jae Won Chung)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유아기 자아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상 관계이론을 토대로 발달이론과 신경생물학의 관점을 적용하여 살펴본 Grotstein의 이중-경로 이론(Dual-track Theory)을 분석적으로 고찰하여, 영유아기 자아발달과정에서 자아의 응집성을 이루는 핵심 요인이 ‘충분히 좋은 돌봄’인 이유를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초기 유아기의 심리적 경험이 하나님 표상의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연결지어 기독교 상담에서의 함의와 적용 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주요 대상관계 학자들의 유아기 자아 발달이론을 살펴보고, 유아 초기의 자아발달이 개인의 중요한 관계들의 본질과 성격뿐 아니라 신앙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Grotstein의 이중-경로 이론(dual-track theory)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여 초기 유아시기에 ‘충분히 좋은 돌봄’이 유아의 자아발달에서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분석적으로 고찰했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유아기의 심리적 경험이 성인의 하나님 표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성이 기독교 상담에서 갖는 함의와 적용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Grotstein's Dual-track Theory, which applied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theory and Neurophysiology based on the object-relations theory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go-development, to understand why the key factor in self-cohesion in the infant self-development process is “good enough care,” a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 suggest applications in Christian counseling by link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psychological experienc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God's representation. I critically reconstructed Grotstein's dual-track theory to analyze why “good enough care” has a key impact on infants' self-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디어 미학을 통해 본 공간 인식의 변화와 특성 연구

        정재원(Jae Won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문자문화에서 이미지 문화로 전환되었고, 이미지 수용방식의 변화를 통해 미디어 미학의 분석 대상이 변화하였다. 미디어 미학은 현대예술과 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지녔다 할 수 있다. 특히, 지각이론으로서의 미디어 미학과 감성이론으로서의 미디어 미학은 현대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와 미디어에 의한 문화의 변화에 따라 공간에 대해 새롭게 나타난 시각과 인식의 변화에 대하여 미학적으로 접근하여 고찰하고, 미디어 미학적 관점으로 본 공간 인식의 변화와 미디어 발전에 따른 특성변화를 밝히고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과 표현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단행본, 관련 출판물과 학술정보 사이트의 D/B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최근의 미디어 기술이 접목된 공간디자인 작업 중에 2000년 이후의 작품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미디어 미학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디어에 의해 발생한 평가체계의 변화를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았고,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근대건축과 비교하여 밝혀냈다. 미디어에 의한 공간 인식의 변화와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식의 변화는 미디어에 의한 비물질화 경향과 형태적 모호성, 그리고 이미지 중시 경향을 알 수 있다. 공간에서 이미지는 의미를 내포하고, 재현 체계로써의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발현되며, 수용 체계의 주체인 인간의 지각과 사고를 거침으로써 물질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특성이 복합적이고 동시적으로 나타난다. 공간에 표현되는 이미지는 결국 복합적인 현상이라 볼 수 있으며, 미디어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디어에 의한 공간에서의 주된 표현 양상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미디어 발전에 의한 미디어 공간의 특성은 연속성 개념과, 상호작용, 빗물질화, 유동성, 잠재적 관계성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출한 공간의 특성에 따라 사례를 분석하여. 그 결과 현대 미디어 공간의 미적 경향과 감성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transferred word-culture to image one and the changes in image acceptance mechanism has changed analyzing subject of aesthetics. The media aesthetics can be important to the modern art and design. Especially, the media aesthetics as perception and sensibility theories becomes the fundamental ke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of modern space. This research give an aesthetic contemplation on the changes in visual and conception, which are resulted from changes in culture caused by media, and examine changes in perception on space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aesthetic view. In doing so, this paper has conceptualized aesthetics and its importance though investigating relevant literatur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done by analyzing thesis, article of journal, research essay and books, D/B on site of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space design projects since 2000 that connect the recent media technology selected to analyze the case and were investigating. Through the theory consideration of media aesthetic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hanges in awareness of space which has been led by media. The tendencies in new perception on space have been classified into non-materialized, morphological ambiguity and image-focused ones. From this,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hanges in media has been focused on turning of space to image and the meaning of the image has changed as time has gone by. The image has characteristic of signal as a symbolic system. The image contains meaning and is manifested by characteristics of media as representation system and present phy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human`s, the main agent of acceptance system, and thinking. Such characteristic appears integrated and synchronistically The image presented on space can be seen as an integrated process and it is largely affected by media.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main tendency in presenting spatial image by media along with periodical stream. The modern new media has generated new equilibrium of sense and is leading to new type of environment-space. Through the aesthetics of new media as sensitivity theory, we can communicate with the aesthetic tendency of media space and emotionalized daily life.

      • KCI등재

        디지털 시학 관점으로 본 뉴미디어 시대 매체공간의 특성 연구

        정재원(Chung, Jae-w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had started from trying to look for a new standard in new media era and sounding out possibility of perspective of digital poetry, and had been extracting interpretational element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otology in digital poetics research in technical method. Through examination of many documentary records, we suggested interpretive elements of medial space based on meaning and the theory of digital poetics. We deduced three perspectives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thesis in poetics and interpretive elements of medial space. We used them as tool for analysis of example. We chose as an example that change of program in space is clear through connection of media and space in where new form of creation happens through digital instruments and chose article as subject to which digital technology is applied and had been since 200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epistemological analysis about a space of digital media in new media era requires poetical approach unlike aesthetic approach. We can endow creative action and creation process with significance and pay attention to technical method of manufacturing, stating appropriateness of perspective in digital poetics. Second, the justice of digital poetics and its basic thesis help derive analytic elements from medial space and study purpose of production, technical method, ont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ree perspectives of digital poetics. Third, it analyzed characteristics of example according to three perspectives above and we can analyze characteristics of spacial expression in space of digital media into potential, trans-active, and semiosis space. It would be possible through analyzing examples in digital poetic perspective to overlook new methods of design in 21th and various perspectives and possibilities of medial space design.

      • KCI등재

        인스타그램 헤어미용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행동의도 연구

        정재원 ( Jae-won Chung ),양은진 ( Eun-jin Yang ) 한국미용학회 2021 한국미용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results as useful basic data in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hair beauty industry. By conducting a self-written questionnaire to 270 Instagram users in their teens to 40's or ol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hair beauty content characteristic perceived by consumers on Insta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hair beauty content appeared as intimacy, interest, and verity,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was divided into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hair beauty content and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and gender. Third, hair beauty cont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when consumers empathize with hair beauty content and recognize intimacy, and when truthfulness of information is transmitted, consumers show positive reaction to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Since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study related to Instagram hair beauty content, in the future, if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interview which is related to this study is conducted, results more in-depth are expec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