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뚝새풀을 이용(利用)한 사과원 초생재배(草生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정재식,이재석,최충돈,종도,Jung, J.S.,Lee, J.S.,Choi, C.D.,Cheung, J.D. 한국잡초학회 1998 Weed&Turfgrass Science Vol.18 No.2

        뚝새풀의 초생재배(草生栽培)에 의한 사과원 잡초(雜草) 방제(防除)의 실용화(實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뚝새풀 발생(發生) 생태(生態)에 관한 몇 가지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새풀 종자(種子)의 파종(播種) 시기별(時期別)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數)는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일(日)로 가장 짧았고, 11월(月) 25일(日) 파종(播種)에서 111일(日)이 소요(所要)되어 가장 길었으며, 출아(出芽) 소요(所要) 적산온도(積算溫度)는 3월(月) 15일(日) 파종(播種)이 $139^{\circ}C$로 가장 적었고, 8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988^{\circ}C$로 가장 많이 소요(所要)되었다. 2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생육양상(生育樣相)은 3월(月)부터 8월(月) 사이에 S자형(字型)의 생장곡선(生長曲線)을 나타내었고, 초장(長草)과 건물중(乾物重)이 3월(月) 중순(中旬)에서 4월(月) 중순(中旬)사이에 가장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며 5월(月) 중순(中旬) 이후(以後)로는 증가율(增加率)이 거의 정체(停滯)되었다. 3. 뚝새풀을 초생재배(草生栽培)한 사과원에서 뚝새풀을 제외(除外)한 초종(草種)으로는 발생량(發生量)이 망초>왕고들빼기>냉이>꽃다지 순(順)이었고, 뚝새풀의 발생(發生)이 거의 없는 포장(圃場)에서는 냉이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고 왕고들빼기>망초>꽃다지 순(順)으로 발생(發生)되었다. 4. 뚝새풀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인 3월(月) 중순(中旬)에 뚝새풀의 우점도(優點度)가 90%정도(程度)가 되면 생육(生育) 후기(後期)까지 문제(問題) 잡초(草種)인 망초 왕고들빼기 냉이 등(等)을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할 수 있었으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에 우점도(優點度)가 20%미만(未滿)이면 뚝새풀의 생육(生育) 성기(盛期)인 5월(月) 까지는 다른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으나 이후(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초생재배(草生栽培)는 다른 잡초(雜草)들의 발생(發生)을 억제(抑制)시켜 잡초방제(雜草防除)의 성력화(省力化)와 하절기(夏節期)의 과다(過多)한 지온상승(地溫上昇)을 방지(防止)하여 과수(果樹)의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on sod culture using water foxtail in apple orchard at Kyeongbuk Provincial RDA in 1996 to 1997. Period of seedling emergence varied with sowing time and accumulative temperature. Sowing at Nov. 25 required longer than 100 days, while it needed only 8 days when water foxtail was sowed at Sep. 20. In a view of accumulative temperature, sowing at March 15 needed $139^{\circ}C$ but it required about $1,000^{\circ}C$ at August 10.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eed of water foxtail has strong summer-dormancy in natural condition. Water foxtail had s-shape growth curve during growing season, and growth rate was the highest from March to May in this period. Plant height increased 2 times and 4 times for dry weight from March 20 to April 20. However, growth was decreased by summer depression after May. Major weeds in apple orchard were horseweed, akino-nogeshi and shepherd's-purse. These species were suppressed by the dominance of water foxtail. Water foxtail as a cover plant could be used for a method of weed control instead of herbicide in apple orchard.

      • KCI등재

        상사의 완벽주의와 비인격적 감독 간의 관계에서 직무성과와 분노의 역할

        정재식,최병권,김기태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1

        This study focused on perfectionism as personality characteristic and considered the anger to explain the mechanism of how supervisors' perfectionism is related to abusive supervision. In addition, drawing on trait activation theory, this study tested the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job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self-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anger and investigated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the indirect effect of supervisor's self-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on abusive supervision through anger will vary according to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job performance, respectively. A total of 118 supervisor-subordinate dyad sample was collected from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companies through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nger was significant when supervisors' job performance was low,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anger was significant when subordinates' job performance was low. In addition, supervisors' anger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abusive supervision. Regarding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indirect effects of supervisors' self-oriented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on abusive supervision via anger were significant when supervisors' job performance and subordinates' job performance was low, respectively. This study contributes to link the perfectionism, which has been mainly addressed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abusive supervision in the field of leadership and to explain the internal mechanism of how supervisors' perfectionism is related to their abusive supervision using anger and job performance as situational characteristic. The current finding also imply that supervisors need to try to understand under which conditions their perfectionist traits may lead to anger toward himself and abusive supervision toward subordinates.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축적되어 온 반면, 과연 어떠한선행요인이 비인격적 감독을 초래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상사의 개인차 특성인 완벽주의(Perfectionism)에 주목하여 상사의 자기지향 및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비인격적 감독과의 관계에서 분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특성활성화 이론에 근거하여 상사의 자기지향 및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분노를 매개로 비인격적 감독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상사및 부하의 직무성과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의 건설및 제조 회사의 상사 및 부하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한 118쌍의 상사-부하 대응 표본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상사의 자기지향 및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분노와의 정(+)의 관계는 각각 상사 및 부하의 직무성과가 낮은 경우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분노는 비인격적 감독과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된 매개 효과의 검증 결과, 상사의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상사의 직무성과가 낮은 경우에 분노를 매개로 비인격적 감독으로 이어지는 반면, 상사의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분노를 매개로 비인격적 감독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하의직무성과가 낮은 경우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간 심리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완벽주의라는 성격 특성을 리더십 분야의 비인격적 감독과 연결하고, 분노라는 감정과 직무성과라는 상황적 특성을 활용하여 완벽주의와 비인격적 감독 간의 내적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상사스스로 자신이 보유한 완벽주의 특성이 어떠한 상황에서 분노와 비인격적 감독이라는 부정적 측면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가를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베일, 환상, 그리고 “당신을 문 개의 털”:지젝 그리고 페인티드 베일 (The Painted Veil)의 소설과 영화 사이에서

        정재식 한국비평이론학회 2014 비평과이론 Vol.19 No.2

        Somerset Maugham‘s novel The Painted Veil and its 2006 cinematic version of the same title are exquisite works that impressively embody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of veil and fantasy in the spirit of Shelley and Hegel. Informed by Zizek’s psychoanalytic reading of Hegel, which focuses on the notion of veil and “traversing the fantasy,” this paper analyzes the mode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love, death, and forgiveness in the interspace of novel and film. Novel and film mutually illuminate each other: without Walter’s tragedy in the novel, the ending of the film can be dismissed as melodramatic suture. At the same time, without the touching mutual forgiveness and love between Walter and Kitty in the film, one cannot witness the ontological leap that breaks the fetters of perverted love, jealousy and self-hatred in the process of traversing fantasy. Herein, Zizek’s essay “A Hair of the Dog that Bit You” unexpectedly but intriguingly resonates with Walter’s last words, “The dog it was that died,” which bitterly reveals the core of his perverted love and fantasy. The essay brilliantly expresses the following paradox for considering Walter’s wound: the possibility of the cure lies at the heart of the wound, thus, the wound itself can be grace. Walter in the novel interprets his wound as just the foundation of all pain; thus, he ends up choosing self-destruction like a mad dog who bites people (including himself), but it is he who dies. On the contrary, Walter in the film, who can liberate himself from the trap of fantasy, can find the possibility to cure his fatal wound at its core through the gradual process of genuine communication with Kitty, and transform it into the power of love and forgiveness. It is the difference of the mode of the gaze toward veil, fantasy, and wound that can form a pivotal point on which the novel and the film converge and ontologically diverge. 서머셋 모옴의 소설 페인티드 베일 과 그것을 각색한 2006년 판 영화는 베일과 환상의 존재론을 셸리와 헤겔적 사유와 언어로 구현한 작품들이다. 본 논문은 베일과 환상에 관한 지젝의 정신분석학적 헤겔 읽기를 중심으로 소설과 영화 사이에서 펼쳐지는 사랑, 질투, 그리고 용서의 철학적 양태와 의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소설과 영화 사이를 주목하는 이유는 두 작품이 상호 보충적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소설 속 주인공 월터의 자기 파괴적 비극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영화의 강렬한 마지막 장면은 멜로드 라마적 봉합으로 그치게 된다. 동시에 영화 속 월터와 키티의 용서와 사랑이 없었다면 소설 속 도착적 사랑과 질투 그리고 자기 파괴의 덫을 벗어날 수 있는 도약의 단서를 찾을 수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처의 한 가운데 바로 치유의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는 역설을 강조하는 지젝의 에세이 은 소설 속 도착적 사랑과 환상의 핵심을 압축적으로 담은 월터의 마지막 말 “죽은 것은 개였어”를 철학적, 정신분석학적 으로 읽어낼 단서를 제공한다. 소설과 영화 그리고 지젝의 에세이에서 개는 상처의 기원이면서 치유의 가능성을 내포한 두 겹의 진실을 체현한다. 죽음 앞에서 반성적 성찰에 이르지만 끝내 자기 파괴적 죽음으로 돌진하는 소설 속 월터와 달리 영화 속 월터는 상처 안에 치유의 가능성이 겹쳐 있는 “당신을 문 개의 털”의 역설을 통해 자신의 도착적 환상을 가로지르면서 용서를 실천한다. 이처럼 베일과 환상 그리고 개가 체현하는상처에 대한 응시의 차이가 바로 소설과 영화가 서로 겹치면서 존재론적으로 갈라지는 중심점을 형성한다. 우리는 바로 그 지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삶의 양태들을 깊이있게 성찰하고 향유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왜냐하면 모옴이 시적 언어로 드러내듯이 우리삶의 대부분은 “삶이라고 불리는 오색 창연한 베일”이 펼쳐 보이는 환상과 실재, 증오와 용서 그리고 질투와 사랑 사이에서 번민하면서 나아가기 때문이다.

      • SCOPUSKCI등재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의 합성

        정재식,박원규 한국세라믹학회 1998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5 No.9

        The effects of catalysts and reactive conditions on the synthesis of aluminum alkoxides are investigated. HgCl2 and I2 as catalysts are used in the synthesis reaction for comparing to no addtion. The absorption peak in IR spectra according to Al-O-L bond of aluminum isopropoxide and aluminum sec-butoxide appear at near 1030cm-1 and 1060cm-1 respectively regardless of kinds of catalysts. The synthesis yield of alu-minum-isopropoxide was 90% in case of no catalyst addition and increased to all of 95% by addition of HgCl2 and I2 The synthesis yield of aluminum sec-butoxide is increased to 95% by addition of I2 catalyst com-paring to no addition.

      • KCI등재

        Monetary Stabilization Policy during Economic Crisis: Case of Korea

        정재식,김세직 한국경제학회 2004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20 No.1

        The paper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high interest rate policy in stabilizing the exchange rate during the Korean crisis, based on a nonlinear impulse response function approach. We find that high interest rates induce depreciation for a very short period, followed by a substantial appreciation for an extensive period. In contrast, a low interest rate policy would appreciate the exchange rate only for a very short period but have little impact afterwards. Our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the IMF's interest rate policy in Korea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the exchange ra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