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普賢十願歌〉의 漢譯양상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8

        This article is the full-scale work which study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translation into Chinese poetry. I studied in the two sides, structure of contents and form. In chapter 2, I found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part of contents’ structure. Name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half which is from the 1st work to 5th work is [Buddhist → myself(poetic speaker) → me&others]. And the structure of second half is same with it of the first half. In chapter 3, I examined the basic structure of Korean songs(Hyang-Ga) and Chinese poetry. Korean songs have 5 lines and Chinese poetry 8 lines. So, I compared the translation appearances according to one lines in chapter 4. As a result, there were 3 kinds of translation principles, which are creation&addition, materialization and deletion. In chapter 5, I examined the translation aspects according to larger unit, more than two lines and found that Korean songs were translated into [4lines+2lines+2lines] or [2lines+4lines+2line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wo structure. In conclusion, I studied the whole structure of a three stage structure in Korean songs and a four stage structure in Chinese poetry. The whole structure in sequence of 11 works has antithesis, so the structure of antithesis in the one work agrees with that of whole 11 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find the translation condition of Hyang-Ga(Korean songs) which is the sequence works into Chinese poetry in the history of diglossia in Korea.

      • KCI등재

        기획 논문 :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6 No.-

        본고는 서사를 즐기는 새로운 한 방식으로서 온라인게임에 주목하고, 이를 문학적 현상으로 보고 고전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것이다. 2장에서는 문학사의 전개에 있어서 새로운 갈래의 생성을 둘러싼 향유층과 매체의 변화 중심으로 개관하면서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이 어떤 문학사적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향유층과 매체 변화, 새로운 갈래의 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논란 등을 중심으로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문학사의 담당층이 소수의 상층남성에서 상하남녀, 나아가 디지털매체의 서사를 통해 상하남녀노소가 모두 문학사의 주체로 등장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의 서사의 한 향유방식으로서의 온라인게임은 문학사에 새로운 주체로서 청소년의 등장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문학사의식에 기반한 문학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literary history by means focusing on online games as a new way to enjoy the narrative and Korean classical novels by comparing and reporting it as a literary phenomenon. Chapter 2 looked at changes in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surrounding the creation of new genres in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ture examined whether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on any literary historical location. Chapter 3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change, focusing on such a controversial procedure that appears on the emergence of new genres looked at the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specifically. And I looked at the appearance of enjoying people(readers) of literary history, especially from a small number of upper male gender to high and low class, men and women, age and youth people were appeared as the subject of attention in the course of literary history. Chapter 4 was a enjoyment way of narrative as an online game now means the emergence of youth as a new subject in the literary history, so highlighted that literary history education must be made based on literature consciousness.

      • KCI등재

        설화교육의 의의와 방향 탐색을 위한 <천냥점> 설화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국어교육학회 2014 국어교육연구 Vol.55 No.-

        This paper shows the meanings of the nationalwide 〈Thousand-Nyang -Divination〉 Tale of 85 versions. I classified this tale into 7 typ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types. And I explored 3 aspects’ meanings of this tale, namely textual, traditional, and present meanings. Though this tale has transmitted by ordinary people, but the meanings of this tale are not simple. This tale deliver the messages of our lives. These are as follows. First, The best wisdom is to respect others’ lives important as my own life, and this is the way to solve my life’s problems. Second, life is not simple, it has the other side’ truth, so we should know there are the irony and paradox. Through this article, I tried to find the present value of narrative literature. It has not the rhetorical devices, but it has the wisdom penetrates the time and space. So it needs to find the position of narrative tales in our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한시 화답문화의 국어교육적 가능성 탐구

        정소연(Chung, So-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5 No.-

        본고는 한문교과에서의 한시교육이 아니라 국어교과에서 한시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한시를 짓거나 읽을 기회가 거의 없는 현대사회에서 한시 해독이나 한시 쓰기 활동을 하는 것은 국어과 교육에서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고전시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 하는 한시의 국어교육적 적용을 위해서는 작품 텍스트를 단편적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아니라 한시 갈래 전체의 특성을 문화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한시 갈래가 가지는 두드러진 문화적 특징 중의 하나는 한시를 지어서 상대방에게 주거나, 받은 이가 다시 시를 지어주는 화답문화이다. 화답시(和答詩)를 짓되 상대방의 운자를 따라 짓는 차운시(次韻詩)나, 하나의 작품을 함께 창작하기도 하는 연구(聯句) 등의 방식은 의사소통행위로서 언어 내외적인 의사소통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자구 해독이나 압운, 용사, 평측 등의 작품 분석에만 치중하면 한시 교육의 가능성이 좁아지지만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한시 화답문화에 주목하게 되면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나아가 국어교육의 길이 열린다. 구체적 방법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적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화답의 과정이 되는 작품들을 엮어서 배움으로써 소통의 과정을 알고, 화답시를 지을 대상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청자로서의 태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시를 분석 대상으로서의 물성(物性)보다는 발화자와의 대화인 인간성(人間性)으로 대할 수 있다. 화답시의 대상 작품을 선정하는 순간에는 위로와 치유를 체험하고 시인과의 소통을 경험하여 지식으로서의 한시가 아닌 소통의 주체에 주목하는 소통과정과 소통행위로서의 한시로 인식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생산적 측면에서는 한시에 한글 자유시로의 화답시 짓기, 한시에 행수를 고정한 한글시로의 화답시 짓기, 한시에 화답한 다른 학습자들의 시에 화답시 짓기 등을 통해 소통의 과정을 알고 효과적인 소통의 전략을 배우며 자신이 처한 관계적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시가 삶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효용적 가치를 가진 존재로 인식하며 학습자간의 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 상호 이해와 유대감,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Korean education on Han-si, Korean classical poetry. For that, I access Han-si as a culture, not just text itself. So I pay attention to responding culture of Han-si as a communicative act, and approach in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 theory. We can see the communicative features from responding poetry, bouts-rimes, co-creation. These creation cultures of Han-si are communicative acts which have sender and addressee, message, channel and feedback, etc. In the middle ages, creation of works in Korea, also in East Asia had been a communication act forming a bond of friendship and sociability. Today, it is meaningful as creative convention for the growth of communicative ability, community spirit and upright character in Korean education, for the expansion of literary culture in literar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in need of "communicative" creation than creating action itself to increase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해동유요(海東遺謠)》에 나타난 19세기 말 20세기 초 시가(詩歌) 수용 태도 고찰 -노래에서 시문학으로의 시가 향유를 중심으로-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본고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문헌인 《해동유요(海東遺謠)》에 나타난 편저자의 수용 태도를 살펴본 것이다. 2장에서는 작품의 목록과 배열, 구성 등을 통하여 한시의 비중이 상당한 점과 작품들이 일련의 관련성을 가지고 작품군으로 배열되고 있는 점, 기존 작품의 수용이 적극적 창작으로까지 나아간 점 등을 통해 국어시가의 노랫말을 기록하는 기존의 가집으로서의 성격보다는 시로서 한시와 국어시가를 대등하게 인식하고 시가에 대한 감상과 수용자의 인식 태도를 기록하는 시집의 역할이 크다고 보았다. 특히 기원전 4세기부터 12세기까지는 한시 위주로, 12세기 이후에는 한시와 국어시가를 함께 수록하고 있어서 국문 매체의 시대에 한시와 국어시가가 공존하는 시가사적 흐름을 잘 포착하였다. 나아가 편저자가 직접 짓거나 한역한 신출작을 소개하고 이 역시 수용자로서의 적극적 태도라는 점을 밝혔다. 3장에서는 편저자의 수용태도를 잘 보여주는 청홍점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추출하였다. 청홍점이 찍히지 않은 곳을 빼고 작품을 읽었을 때에 대화체가 약화되고 반복, 나열 등의 리듬감과 노래의 맛이 적어지는 등의 노래로서의 구술성이 적어지는 점, 내용 전개에 요긴하지 않고 장황한 설명이나 묘사는 빠지고 내용의 핵심적 전개를 보이는 점, 하층민의 삶에 해당하는 내용은 빠지고 상층 취향의 풍류를 즐기는 주제가 강화되는 점 등을 통해 노래로서의 시가가 아니라 시문학으로서 시를 읽어내는 지식인으로서의 수용 태도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해동유요》가 놓여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시가 향유의 한 측면이지만 특수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공동 향유 작품의 개인화, 가창 가사의 시각적 읽기 향유의 흔적들로서 《해동유요》의 문헌에 접근하였고, 이는 고전시가에 대한 수용 태도의 한 단면이자 고전시가의 수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관련해 교수학습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scribes the acceptance of Hae-Dong-Yu-Yo(海東遺謠), which is a book the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into the genre of poetry. In chapter 2, I searched for lists, constructions and arrangement of poems in Hae-Dong-Yu-Yo(海東遺謠). The book has not only 39 poems (gasa) in Korean, but also more than 20 poems (hansi) in Chinese. I also found two new poems by the editor of the book. This shows that the receiver fully accepts the poetry and that he has equal consideration for Korean songs as well as hansi ones. In chapter 3, I focused on the red and blue points inside letters. When we read only the red and blue points within the poetry, I realized that Hae-Dong-Yu-Yo(海東遺謠) created these for poetry’s literary value, not for music or songs. This reveals how the editor of Hae-Dong-Yu-Yo(海東遺謠) received the older famous poems as his own. This shows us the degree of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and therefore leads us to believe that this can be of use to present learners as well.

      • KCI등재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송강 정철은 한시와 시조를 모두 지은 작가임에도 그간 한시와 시조에 대해서 각각 연구가 진행되었고, 송강의 한시와 시조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는 송강의 한시와 시조를 본격적으로 비교하고, 사대부 본령의 갈래인 한시 외에 왜 시조를 필요로 했는지, 시조의 효용은 송강에게 무엇이었는지, 그럴 수 있는 이유는 매체언어와 관련해 무엇인지 규명해냈다.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송강의 한시와 시조의 주제를 비교한 결과, 한시는 작가의 삶과 밀착되어 시조보다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그러나 전쟁은 주로 한시를 통해, 백성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은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둘째, 두 갈래에서 모두 자연보다는 사람을 많이 다루나, 한시에서는 정철이 속한 사대부 남성과의 교유가 위주가 되고 상층 사대부가 많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시조에서는 임금부터 백성까지, 상하남녀노소의 다양한 사람을 다루었다. 셋째, 한시에서는 작시의 특정 상황과 특정인물이 제목 및 내용에서 잘 드러나는 데 비해, 시조에서는 ‘나’, ‘너’, ‘우리’, ‘늙은이’, ‘젊은이’, ‘부모’, ‘아들’ 등 누구나 대입할 수 있는 일반 명사를 사용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는 사람을 다루었다. 넷째, 한시에서는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지 않고 거의 일치하나, 시조에서는 실제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고 거의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시조에서 관심을 둔 사람은 실제 작가의 처지를 뛰어넘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다섯째, 상층 사대부 남성이라는 작가의 실제 신분을 뛰어넘어 상하남녀노소의 보편적 인간에 대해 노래할 수 있었던 것은 모든 인간이 죽음앞에서 동등하다는 의식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인식은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잘 드러난다. 여섯째, 보편적 인간에 대한 애정과 소통이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드러날 수 있었던 것은 매체언어의 특징과 밀접하다. 사대부 남성의 기록 매체인 한문으로 짓는 한시는 사대부 본령의 갈래로서 작가가 속한 신분과 생활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비해 시조는 상하남녀노소가 모두 사용하는 모국어로 짓기 때문에 다룰 수 있는 범위가 훨씬 넓다. 일곱째, 보편적 인간애는 문자보다 소리를 통해 표출하기가 쉽다. 문자는 사람의 손을 떠나 있고, 영원히 존재하지만 소리는 사람을 통해 전달이 되고 일회적이다. 소리의 특성은 죽음을 겪는 초초한 삶을 사는 인간 삶의 특성과 맞닿아있어서 문자로 짓는 한시보다는 소리로 향유하는 시조로 나타내기가 더 알맞다. 본고는 송강 정철 당대에 한문과 국어가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로, 상위어와 하위어로 기능했던 양층언어적 현상을 중심으로 한시와 시조를 비교함으로써 송강에게 있어서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과 갈래적 기능을 본격적으로 규명해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ough Song-Gang Jeong-Chul composed both Sino-Korean poetry (Han-Si) and Korean songs(Si-Jo), but it has not been studied in earnest. So, I researched Comparative Study of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 and Korean songs(Si-Jo) and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of genre and language choice, and what the necessity of Si-Jo was to Song-Gang Jeong-Ch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ubject, Song-Gang treated more several subjects in Sino-Korean poetry than in Korean songs(Si-Jo). Second, Song-Gang paid attention to human than nature in both genre, but the social status of people were different.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almost upper class’ male, but those in Korean songs(Si-Jo) were several, from King to farmers, men and women of all. Third,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specific men. We can know their name and status because of the title of Han-Si. On the other hand, the nouns in Korean songs(Si-Jo) are ‘me’, ‘you’, ‘us’, ‘the old’, ‘the young’, ‘parents’, ‘son’, etc, those are general nouns, so any person can be applied. Fourth,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coincide in Sino-Korean poetry, but, the distance of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far in Korean songs(Si-Jo). So, the poetic speaker can be extended to universal human, jumping over the position of real writer. Fifth, this cognition of Song-Gang Jeong-Chul comes from that all humans are equal before death. It is well showed in Korean songs(Si-Jo) than in Sino-Korean poetry(Han-Si). Six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It is closely connected the character of language choice. The Korean language is a mother tongue which all people use from birth, so, it is natural that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is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Seven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by voice, spoken language than by written language. Written language exists leaving the man and be forever, but spoken language always exists with man and be temporarily. These characters of voice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s life.

      • KCI등재
      • KCI등재

        『두시언해』와 근대시인의 번역시 비교를 통한 한시 번역시의 문학사적 고찰 - 두보의 <登高>를 중심으로 -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4 No.-

        본고는 국문이 처음 존재하기 시작한 15세기와 국문 전용이 공식화된 이후인 20세기 전반기에 한시가 어떻게 번역되고 수용되는지 비교한 것이다. 15세기는 한문과 한시가 중심이면서 국문이 존재하기 시작하는 시기이고, 20세기는 한문과 한시가 존재하지만 국문과 자유시가 중심이 되는 시기라는 점에서 대비적이다. 한문과 국문의 위상이 서로 상반되고 시에 대한 인식이 전혀 다른 중세와 근대의 한시 번역의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시가가 어떻게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지 그 문학사적 일면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세기 말에 이루어진 『分類杜工部詩諺解』(1481)(이하 『두시언해』로 지칭) 1500여 수의 번역시 중에서 근대 시인들의 두보 시 번역과 겹치는 11수의 작품을 찾고, 이 중에서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표작인 <登高>를 중심으로 『두시언해』와 박종화, 김억, 신석정의 번역시를 비교하였다. 『두시언해』의 번역시는 주석을 없애거나 줄이고, 한시 율시의 대구, 압운, 평측 등의 형식을 살리기보다 우리말로의 번역시 그 자체가 가장 완성도 있는 결과물이 되게 하였다. 이를 통해 한시와 국어시가를 모두 향유하는 지식인층의 시가 향유의 역량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도착어인 우리말로 된 번역시를 통해서 중국 한시를 조선의 시로 향유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반면 근대 시인들의 번역시는 율시의 형식성을 살리고 보존하면서도 각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율시의 형식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내용적으로 미련(尾聯)의 번역은 『두시언해』와 정반대로 번역하였다. 이를 통해 중세 동아시아 문학권의 중심 갈래인 한시를 근대에는 ‘개인’적이고 개성적인 창작 역량으로 바꾸어 근대 자국어로 된 자유시의 중요한 특징이 무엇인지를 대중을 대상으로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how Chinese poems(hansi) were translated and accept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free poetry in Korean is the center, after the 15th century, when Korean texts first existed. The late 19th century was officially declared. The 15th century is still a time when Chinese poetry and Chinese characters are centered, but the 20th century is when Chinese and Chinese characters exist, but Korean and Chinese poems are centered. Through the translation aspects of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and the two modern periods of the Middle Ages and the Chinese poetry, which are entirely different in the perception of poetry, we wan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growing up and finding self-identity. To this end, 11 of the 1,500 translation poems of the late 15th century were found overlapping with those of modern poets. Among them, < Denggao(登高) >'s translation poems of Park Jong-hwa, Kim Eok, and Shin Seok-jeong were compared. Through Chapter 2, we could see that the translation of 『Tushieonhae(杜詩諺解)』 itself became the complete result of Korean language rather than eliminating or reducing the annotation and using the forms of Daegu, rhyme, and intonation. Thus, it can be seen that intellectuals who enjoy both Korean and Korean poetry among intellectuals contribute greatly to the work of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and creating Korean and Joseon poems, which are arrival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rough Chapter 3, modern poets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Yulsi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ity, and the translation of the conclusion was translated oppositely from 『Tushieonhae(杜詩諺解)』. Through this, Hansi, the center of East Asian literature in the Middle Ages, was transformed into individual works and individual creative capability in modern times to show the public wha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free poetry in the modern vernacular are.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사회 문화적 화용 표현 양상 연구

        정소연(Chung, SoYeon),권순희(Kwon, S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고는 문화적 화용 표현 교육 및 문화 인식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문화 인식과 언어 표현 간의 관련성을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문화와 언어 간의 상관관계와 관련 예들을 고찰하고, 문화 인식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쓰기 과정을 개관하였다. Ⅳ장 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 60여 명의 글에 나타난 특성을 문화 경험, 문화 인식, 언어 인식, 언어 학습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그 하위의 모문화 기반의 친숙지 위주의 표현, 문화의 차이에 따른 발상의 차이, 가치관의 차이가 글에 나타난 경우, 다문화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표현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언어 표현의 문법적 오류 등의 6가지 현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본고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실제 경험에 나타난 언어활동에 기반해 문화 인식의 상관성을 추출함으로써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글쓰기 지도 시 문화 인식 능력 신장을 위한 고려 요소들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 교육 방향은 단순한 언어 지식이 아니라 문화 인식을 고려한 실천적 지식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wareness and linguistic expression by studying the writing of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motivated by a critical observation that proposes the need for pragmatic expressions of culture and cultural awareness training. To achieve this, Chapter II investigat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interrel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provides some related examples of these links, and explores teaching-learning models for cultural awareness education. Chapter III provides an overview of the writing proc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hapter IV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results, and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about 60 multicultural backgrounds students’ text as cultural experiences, cultural awareness, linguistic awareness, and linguistic learning. In addition, the following phenomena are examined as specific examples: (1) expressions of familiar knowledge based on the mother-culture; (2) different ways of thinking aris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3) different worldviews expressed in writing; (4) revealing or hiding of the multicultural identity; (5) circumstances in which this identity is not revealed; and (6) grammatical errors in linguistic expres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has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wareness and linguistic activities based on analysis of the actual experiences of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Further, this study has shed light on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cultural awareness when teaching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has demonstrated that this educational direction is geared not only toward linguistic knowledge, but also toward practical education with consideration for cultural awareness.

      • KCI등재

        황윤석의 <목주잡가>에 나타난 시(詩) 지향성의 시조사적 조명 - 18세기 시조의 시(詩) 지향성 발견을 중심으로 -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본고는 황윤석(1729-1791)의 시조 <木州雜歌二十八首>를 대상으로 18세기 시조가 시조사적으로 가지는 변화적 특징에 포착해 황윤석의 시조가 가지는 18세기적, 나아가 시가사적(詩歌史的) 전개를 해명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창작 상황면에서, 3장에서는 구성면에서, 4장에서는 내용면에서 접근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작 상황에 있어서 지방 은거나 유배기에 주로 지어진 시조 작시 경향과 달리 황윤석은 자기 생애의 가장 높은 관직 시절에 현감으로서의 책임감을 다짐하는 시조를 짓는 변화를 보인다. 둘째, 세계관을 직접 표출하는 통로로서 시조를 지으면서 구성면에 있어서는 ‘木州雜歌二十八首’로 묶어둔 일련의 작품의 연작적 유기성이 약하다. 셋째, 내용면에 있어서 자연을 다루지 않고 사람을 주요 제재로 삼아 다루었다. 특히 임금에 대한 왕(王), 군(君)의 직접적 표현과 화자 자신의 신(臣)이라는 단어 사용, 작가의 가족과 친지 관계의 구체적인 정보와 사실의 표현 등 작가와 화자가 거의 일치되고 생활밀착적인 생활시로서의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한시의 특징, 더 구체적으로는 읽는 시의 특징이기도 한데, 당시의 시(詩)란 한시였던 양층언어작가에게 시조가 시로서의 위상을 성취해가는 과정으로서 시조가 더 이상 고급문학이 아닌 노래가 아니라 읽는 시(詩)로서의 지향을 보이는 갈래로 인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목주잡가>는 18세기 사대부 시조의 변모를 통해 근대로 가는 길목의 시가사적 전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18th century poetic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Hwang Yunseok’s sijo < Mok-Ju-Jab-Ga(木州雜歌) >. First, Hwang Yunseok created this works when he is the best political position in his life, though other sijo writers had created when they are in local province or in exile. Second, the sequence structure of < Mok-Ju-Jab-Ga(木州雜歌) > is not organically, it is a kind of deviation from other historical sijo’s creative custom. And it is also a new trend to express directly writer’s view of the world by sijo. Third, the content of < Mok-Ju-Jab-Ga(木州雜歌) > did not deal with nature and dealt with human. In particular, Hwang Yunseok directly expressed the king and writer’s real family concretely. From this expression of specific information and the fact of writer, we can know that the distance of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very close and this is almost similar like hansi. Namely, Hwang Yunseok, as a diglossic poet, sought a poetry directivity. So, by Hwang YunSeok, we can find the process from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to Moder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al 18<sup>th</sup>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