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조 스위치를 사용한 ZVS Two-Switch 포워드 컨버터에 대한 연구

        정민혁(Min-Hyuk Jung),김용(Yong Kim),엄태민(Tae-Min Um),이규훈(Kyu-Hun Lee),이동현(Dong-Hyun Lee)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In this paper, a new soft-switching Two-switch Forward converter topology has been proposed. Compared with conventional two-switch forward converter, the proposed converter employs an auxiliary switch and a clamp capacitor to instead of two reset diodes, not only its duty cycle can exceed 0.5 to achieve wide range input voltage, but also soft switching can be achieved for all switches. Especially, voltage stress across main switches can be clamped at 1/2V<SUB>in</SUB>, voltage stress across auxiliary switch can be clamped at V<SUB>in</SUB>. In addition, due to clamp capacitor series with the transformer, duty ratio can be extended with equation [수식삽입]. Therefore, as a kind of better cost-effective approach, it is very attractive for high input, wide range and high efficiency application.

      • Boost 컨버터와 Half-Bridge 인버터를 결합한 단일전력단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연구

        정민혁(Min-Hyuk Jung),김용(Yong Kim),배진용(Jin-Yong Bae),엄태민(Tae-Min Eom),조규만(Kyu-Man Cho)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This paper presents the Electronic Ballast combine Boost Converter with Half-Bridge Inverter. A Boost Converter is used to control input power factor and a Half-Bridge Inverter is used to drive the fluorescent lamp. The two stages were unified to simplify the design. This electronic ballast presents simplicity of control, allowing the use of small switches when compared another topologies of ballasts.

      • 단위면적당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섬진강수계 상수원 목표수질 달성여부 평가

        정민혁 ( Minhyuk Jeung ),범진아 ( Jina Beom ),정재운 ( Jaewoon Jung ),윤광식 ( Kwangsik Yoon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영산강·섬진강수계는 광역상수원의 수질개선을 위해 제도적인 노력과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제도 도입 시행 후 20여년이 경과하면서 수변구역 내 오염원 제거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주암호와 동복호의 수질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섬진강수계 상수원(주암호, 동복호, 상사호, 수어호, 탐진호) 지류 지천의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BOD, TOC, T-P의 목표수질 달성도 평가를 통한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 지류 지천의 상이한 유역면적으로 인해 발생된 유달부하량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단위면적당 부하량을 산정하여 각 하천의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평가하였다. 단위면적당 부하지속곡선 분석 결과, 수질항목별 미달성률은 BOD가 평균 9.7%, TOC 3.7%, T-P 32.6%로 섬진강수계 상수원의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서는 T-P의 수질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수원 지류지천별 목표수질 미달성률는 주암호가 BOD 10.0%, COD 10.0%, T-P 38.4%, 동복호 BOD 14.4%, COD 0.0%, T-P 34.4%, 상사호 BOD 6.7%, COD 0.0%, T-P 30.0%, 수어호 BOD 0.0%, COD 0.0%, T-P 20.0%, 탐진호 BOD 18.7%, COD 8.7%, T-P 40.0%로 분석되었다. 모든 상수원에서 T-P가 가장 높은 미달성률을 보였으며, 특히 탐진호와 주암호는 T-P의 목표수질 미달성률이 40.0%와 38.4%로 분석되어 T-P의 수질개선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건설 프로젝트 생산성 평가를 위한 측정 기준 수립

        김준영,윤인석,정민혁,주선우,박성은,홍영민,조종우,박문서,Kim, Junyoung,Yoon, Inseok,Jung, Minhyuk,Joo, Seonu,Park, Seungeun,Hong, Yeungmin,Cho, Jongwoo,Park, Moonseo 한국건설관리학회 202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3 No.3

        In general construction project planning ratio of manpower and quantity of outputs produced, such as the construction estimate standard, is used as the criterion for labor productivity. This method is highly effective in construction projects with repetitive work,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pply in large-scale projects with high complexity. This is because the influence of non-work time caused by various work interruption factors that act complexly on the productivity of the project is greater than the average labor productivity derived from the performance data of the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productivity measurement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orks and the cause of non-working time. To this end, first, detailed work processes and their non-work factors for each work type are defined, and the Adv-FMR technique is develope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them. Next, based on the concept of obtainable productivity, methods for comparative productivity analysis by work type, evaluating non-work factors, and deriving productivity improvement methods are proposed. Finally, a case study is conducted to validate that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Adv-FMR data can support the decision-making of construction managers on productivity management.

      • KCI등재

        모듈러 건축의 타워크레인 배치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최적화 모델 개발

        윤성부,박문서,정민혁,현호상,안수호,Yoon, Sungboo,Park, Moonseo,Jung, Minhyuk,Hyun, Hosang,Ahn, Su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1

        최근 모듈러 건축의 고층화와 함께 현장에서의 T/C 사용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T/C의 대수, 제원 및 위치를 결정하는 TCLP는 프로젝트의 공사비용, 공사기간, 안전,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에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TCLP는 추가 장비 투입, 재설계 등의 작업으로 이어져 공사기간과 공사비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관리자는 현장조건, 양중대상, T/C 제원 등 수많은 제약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에 적합한 TCLP를 수립해야 한다. 하지만 다중 T/C를 사용하는 건설현장의 경우 추가적인 고려사항과 변수들로 인해 경험과 직관을 통해 TCLP를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용과 간섭면적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다중 최적화(multi-objective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T/C 대수, 제원 및 위치를 선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일 최적화 방식과 달리 다중 최적화를 통한 TCLP 수립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비용과 간섭면적의 trade-off를 고려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완료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With an increasing trend toward high-rise modular construction, the simultaneous use of tower cranes at a modular construction site has recently been observed. Tower crane layout planning (TCL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st, duration, safety and productivity of a project. In a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particularly, poor decision about the layout of tower cranes i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like additional employment of cranes and redesign, which will lead to additional costs and possible delays. It is, therefore, crucial to conduct thorough inspection of field conditions, lifting materials, tower crane capacity to make decisions on the layout of tower cranes. However, several challenges exist in planning for a multi-crane construction site in terms of safety and collaboration, which makes planning with experience and intuition complicated. This paper suggest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 for selection of the number of tower cranes, their models and locations, which minimizes cost and conflict. The proposed model contributes to the body of knowledge by showing the feasibility of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TCLP decision-making process with consideration of trade-offs between cost and conflict.

      • 예산대(曳山臺) 동력전달장치 복원연구와 설계

        김상혁 ( Sang Hyuk Kim ),정민혁 ( Min Hyuk Jung ),이강원 ( Kang Won Lee ) 충북대학교 사학회 2010 忠北史學 Vol.24 No.-

        Yesandae(曳山臺) is comprehensive stage for puppet play direction in Chosun Period. We analyzed Korean and Chinese related artifacts for understanding of Yesandae`s power supply mechanism. We built the Yesandae`s 3D computer graphic model and miniaturized model based on related literature and artifacts. We also reproduced puppet`s simple motion which powered by Yesandae`s wheels.

      • KCI등재

        초고층 건축공사의 리프트 수직 환승운영 최적화 방안 연구

        문주용,박문서,이현수,정민혁,Moon, Jooyong,Park, Moonseo,Lee, Hyunsoo,Jung, Minhy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6

        Recently, the number of super high-rise building projects have been increased after recovering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n super high-rise building project, vertical lifting is critical to overall project productivity, due to its limited lifting equipments. Also for projects which buildings' height are higher than 400m, transfer operation in lifting is inevitable because of lifts' maximum lifting height. In transfer operation, setting a transfer floor is essential for saving lifting time of resources. In this research,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modeling with AnyLogic 7.0 software and metaheuristic optimization with OptQuest software, the method of optimizing a transfer floor for workers during the morning peak time is proposed. Comparing to the result of the case which transfer floor is designated to the middle floor, setting optimized transfer floor significantly decrease the total lifting time of workers. By using proposed simulation and optimization tool, saving budget and time through increasing available working hour is expected. 최근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로부터 회복되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초고층 건축공사 프로젝트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수직 리프트 양중은 리프트 양중 장비 대수의 제약으로 인해 초고층 건축공사 프로젝트에 있어서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건물 높이가 400m 이상 되는 초고층 건축공사에서는, 리프트의 최대 운행높이로 인해 환승운영방식의 리프트 양중이 필수적이다. 환승운영방식 리프트 양중에서의 환승층 지정은 자원들의 양중 시간 단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AnyLogic 프로그램을 통한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및 OptQuest 최적화 프로그램을 통한 메타휴리스틱 방식의 최적해 탐색으로 오전 출근시간대의 작업원 양중 시 환승층 최적화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중간층을 환승층으로 지정했을 때와 비교한 결과, 최적 환승층을 지정했을 때 작업자들의 전체 양중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도구를 사용 시 초고층 건축공사 프로젝트에서 작업원들의 가용 작업시간 증가를 통한 비용 절감 및 프로젝트 공기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탐진호 수질 관리를 위한 중점관리하천 선정과 관리방안 마련

        범진아 ( Jina Beom ),정민혁 ( Minhyuk Jeung ),정재운 ( Jaewoon Jung ),윤광식 ( Kwangsik Yoon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온, 수량 등의 변화로 기저유출의 감소 등으로 수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상수원의 경우 수질개선을 위해 토지매수 사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오염원 제거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산발적 토지매수로 인하여 수질개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부분도 발생하고 있다. 상수원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과학적 방법을 통한 상수원 유역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탐진호 수질개선을 위해 16개 유입 지류지천을 대상으로 현장 모니터링과 배출부하량 산정을 통해 주요 관리 오염원과 중점관리하천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탐진호 유입 지천 중 하천 생활환경기준 Ia등급을 초과하는 하천은 BOD 2개, COD 12개, TOC 1개, T-P 10개, SS는 1개 하천으로 나타났다. 배출부하량 산정 결과, BOD, T-P 토지계 오염원이 68.7%, 75.2%로 타 오염원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유치천, 탐진강, 옴천천순으로 높았다. 특히, 옴천천의 경우 유기물항목과 T-P항목에서 목표수질을 초과하였으며, 축산계와 토지계 비중이 높고 배출부하량도 높아 중점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저감하기 위해 농경지와 축산계 오염원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옴천천 중심으로 토지매수 사업을 통해 오염원을 제거하고, 토지매수가 어려울 경우 축사 주변의 생태둥벙 등 저감시설의 조성이 필요하며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을 적극 유치하거나 물꼬 관리를 통해 농업비점을 저감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IFC활용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 프레임워크

        이진강,이현수,박문서,정민혁,Lee, Jin-Gang,Lee, Hyun-Soo,Park, Moonseo,Jung, Minhy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3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there are numerous information or data parts across many different software applications and professional specialists.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s a medium for managing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project, it is inten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reap a lot of advantages such as, automatic quantity takeoff, error-free estimation, 4D(3D+Time), 5D(4D+Cost) simulation. Nevertheless, the overall and practical effectiveness of BIM utilization is difficult to justify at this stage. While helpful, there are some limitation when BIM applied to construction management due to the differences of data processing process between BIM and work in the field, limitations of information generated from BIM object and interoperability problem among BIM applic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 a framework integrating BIM with cost-schedule information using IFC. And we construct the system prototype based on the framework and performed case study to examine the framework. The proposed framework provides the information basis for BIM based cost-schedule integration. ultimately, the framework increase the utilization of BIM and work efficiency of construction industry by supporting an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건설프로젝트 관리 과정에는 수많은 정보가 존재한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은 정보전달의 매개체로써 공정 및 원가 정보를 관리하여 4D(3D+Time), 5D(4D+Cost)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BIM 활용과정에 따른 정보의 연계 문제, BIM 객체기반 공정/원가 정보의 한계, BIM 소프트웨어 호환성 문제 등으로 인해 BIM을 활용한 공정 및 원가정보의 관리는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활용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먼저, 정보 입력 문제와 정보 표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간을 최소단위로 공정 및 원가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표준 데이터 포맷인 IFC를 활용하여 앞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BIM 소프트웨어를 연계하여 BIM을 기반으로 한 공정/원가 정보의 통합관리를 시도하였다. 이는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를 위한 정보 처리 프로세스의 기초를 제공하며, 정보 요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와 의사소통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BIM기반 공정/원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기후요소를 고려한 초고층 건설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양강혁,이현수,박문서,정민혁,황성주,Yang, Kanghyeok,Lee, Hyun-Soo,Park, Moonseo,Jung, Minhyeok,Hwang, Sungj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2

        초고층 건물공사에서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은 전체 공사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에 있어 양중시간은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로 이를 바탕으로 양중부하 및 타워크레인을 선정하기 때문에 양중계획을 위해서는 정확한 양중시간의 예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초고층 공사의 양중시간 예측은 기존의 실적자료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지만 양중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작업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바람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여 초고층 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바람의 영향을 반영한 양중시간은 높이가 올라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초고층부의 경우 기계적 양중시간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양중 지연시간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지인 서울의 풍속은 4월이 강하고 10월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양중시간을 예측한 결과 둘 간의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향후 초고층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시 바람이 양중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를 고려하여 실제 상황과 동일한 양중계획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wer crane hoisting plan is one of the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f entir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Hoisting time is the basic factor to appropriate hoisting plan which need to the hoisting load estimate and tower crane selection. With this reason, accurate hoisting time is needed to the proper hoisting plan. The current hoisting time estimation for High-Rise Building focus on the hoisting cycle time estimation with historical data. However, this method underestimated the external influences like environmental factor. Thu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hoisting time estimation model with discrete event simulation which include the wind influences with certain heigh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the hoisting time which applied wind influence is increasing with height growth. Because of the high speed wind, the upper area of building has more operation delay time than the mechanical operation time. Seoul, the research area, has the most fastest wind speed on April and the least on October. Due to these differences of wind speed, the hoisting time is estim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pril and October. This hosting time estimation model would be used for estimating the influence of wind. Moreover, this could apply to make the realistic hoisting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