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산 무화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정미란,김병숙,이영은 원광대학교 생활자원개발연구소 2002 생활자원개발연구 Vol.4 No.-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Korean figs(Ficus carica L.), physico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Korean common type figs in the different ripening stages. Moisture contents decreased, but the contents of protein, fat, carbohydrate and soluble solids increased according to the ripening of fruits. K was detected as the most abundant one of all the minerals and Ca, Mg, Na, Fe, Mn, Zn and Cu were the next in order. The mineral contents decreased slightly with ripening. Especially, Ca, Mg, Mn, Fe and Zn were higher in the unripened Ⅱ stage figs.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assayed with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ripened figs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figs were relatively high and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the water one. Therefore, the methanol was the better solvent than water for the antioxidative compoun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orean figs are relatively the good sources of minerals, especially the Ca and the antioxidative compounds.

      • KCI등재

        Kudsuphilactone B, a nortriterpenoid isolated from Schisandra chinensis fruit, induces 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human ovarian cancer A2780 cells

        정미란,김혜미,김현지,최정혜,장대식 대한약학회 2017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40 No.4

        A phytochemical study on the fruits ofSchisandra chinensis led to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of nineteen compounds. The structures of the isolateswere determined to be schizandrin, deoxyschizandrin,angeloylgomisin H, gomisin A, gomisin J, (-)-gomisin L1,(-)-gomisin L2, wuweizisu C, gomisin N, meso-dihydroguaiareticacid, kadsuphilactone B, a-ylangenol, aylangenylacetate, b-chamigrenal, b-chamigrenic acid,4-hydroxybenzoic acid, protocatechuic acid, p-methylcarvacrol,and indole-3-acetic acid. Of these, some lignans anda nortriterpene showed cytotoxic activity in human ovarianand endometrial cancer cells. In particular, a nortriterpenoidkadsuphilactone B exhibited significant cytotoxicactivity with IC50 values below 25 lM in both A2780 andIshikawa cells. Kadsuphilactone B induced apoptotic celldeath and stimulated the activation of caspase-3, -8, and -9and the cleavages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Caspaseinhibitors attenuated the pro-apoptotic activity ofkudsuphilactone B. In addition, kadsuphilactone B alteredthe expression levels of B cell lymphoma 2 (Bcl-2) familyproteins. Moreover, activation of MAPKs was modulatedby kadsuphilactone B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kadsuphilactone B induces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via theregulation of Bcl-2 family protein and MAPK signaling.

      • KCI등재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학생의 읽기이해력 예측변인 탐색

        정미란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poor comprehenders and normal readers on a set of memory, language and higher-order processing tasks, (2) to identify the best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each group. Eighty students in 3 to 6 grad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40 poor comprehenders and 40 normal readers. The poor comprehenders were characterized by poo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ith normal decoding skills. Th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ree experimental sessions. A decoding test, a sentence comprehension test and a nonverbal cognitive test were administered in the first session. A memory test, a language test and a higher-order process test were administered in the second sessi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at text level was administered in the third session. The memory test tapped 3 different types of memory ; short-term memory, digit-working memory and verbal working memory. The Language test was composed of a confrontation naming test, a analogical reasoning test, a grammatical judgment test and a syntactic awareness test. An inferencing task was used to test higher-order processing skills. For data analysis,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carried out to explore group differences across memory(short-term, digit working memory and verbal working memory), language(confrontation naming, analogical reasoning, grammatical judgment and syntactic awareness), higher-order process(inferencing), and reading comprehension(sentence and text comprehension). To identify the best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each group, a Pearson correlate analysis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ANOVA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f group, with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ing less well than the normal readers on the combined dependent variables(Wilks' Lambda = .290, F(10, 69)=16.863, p<.001). In the follow-up univariate analys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ed in the verbal working memory, confrontation naming, analogical reasoning, grammatical judgment and syntactic awareness, inferencing, sentence comprehension and text comprehension, but not in short-term memory and digit working memory. In correlation analysis, on the data from the normal readers,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ly three independent measures; analogical reasoning, confrontation naming and inference. Poor readers'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measures except for digit working memor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best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normal readers was analogical reasoning(R²=55.4%). And the best predi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of poor readers were confrontation naming, verbal working memory and analogical reasoning(R²= 71.7%). 본 연구는 3~6학년 읽기이해부진학생 40명과 일반학생 40명, 총 80명을 대상으로 읽기이해에 관련된 언어능력, 기억능력, 상위인지능력의 수행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집단의 읽기이해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변인을 알아보고, 읽기이해력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이 무엇인지 비교하였다. 실험 과제는 읽기이해에 관련된 언어능력(사물이름대기와 단어유추, 문법판단, 구문인식 과제), 기억능력(단기기억, 숫자 작업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과제), 상위인지능력 검사(추론과제)로 구성되었다. 두 집단 학생들의 언어, 기억, 추론, 읽기이해 과제의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중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집단 별로 각 변인들과 읽기이해력의 상관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집단 별로 읽기이해력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MANOVA 결과, 사물이름대기, 단어유추, 문법판단, 구문인식, 단기기억, 숫자 작업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추론, 문장 이해, 단락글 이해의 선형조합에 대한 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각 변인 별 비교에서 단기기억과 숫자 작업기억은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일반학생의 읽기이해력은 단어유추, 사물이름대기, 추론 3개의 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읽기이해부진학생의 읽기이해력은 사물이름대기, 단어유추, 추론, 문법 판단, 단기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구문인식 순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 일반학생의 읽기이해력 예측변인으로는 단어유추만이 유의하였고, 반면에 읽기이해부진학생은 사물이름대기, 언어성 작업기억, 단어유추 3개의 변인이 읽기이해력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해석, 이후 연구에 대한 제언,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정미란,박재원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0 주관성연구 Vol.- No.51

        The aggress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is a cause of difficulty not onl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but also for families and professional care provi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cognition structure and types of aggress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lthough 41 P samples classified 43 Q samples, the final 35 were analyzed by invalidating 6 people with invalid loading values. Four cognition types of aggression in ASD were classified. The first type is ‘Co-existent acceptance’, which emphasizes the coexistence with non-disabled perso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ggression. The second type is ‘Active distancing’, which recognizes the aggression as a risk factor. In order to prevent damage, it was recognized that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need to be isolated and restricted. The third type is ‘inclusive care’, which recognized that active consideration and help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ggression were important for reducing symptoms in ASD. The fourth type is ‘non-sympathetic disconnection’, which was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not wanting to tolerate the aggression in ASD with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 aggression in ASD. 본 연구는 인식 유형별 교육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간호대학생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P표본 41명을 대상으로 43개의 Q표본을 분류하게 하였으나, 적재치가 유효하지 않은 6명을 무효처리하여 최종 35명을 분석한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격성에 대한 4개의 인식 유형이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상생적 수용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격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바탕으로 비장애인과의 공존을 강조하였고, 제2유형은 ‘적극적 거리두기형’으로 공격성을 위험요인으로 인식하며 피해 예방을 위해 자폐스펙트럼 아동 및 청소년의 격리, 출입 제한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제3유형은 ‘포용적 돌봄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격성에 대한 적극적인 배려와 꾸준한 도움이 증상 감소를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제4유형은 ‘비공감적 단절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격성에 대한 낮은 수준의 이해와 공감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격성을 절대적으로 용납하지 않으려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3·1운동 수업 동향과 전망

        정미란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1 No.-

        The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over the past 30 years. This paper distinguished three periods based on changes in teachers' interests and views on the March 1st Movement.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1990s to 2008. Practices for teaching the March 1st Movement began to be announced. Classes during this period have since become the basis for the subsequent classes. The second period is from 2009 to 2015. There were new attempts to improve the perspective, content, and method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existing classes. The final period is from 2016 to the present.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were practiced a lot more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class were improved. There were five main types in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The first is an explanatory class that examines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significa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second is to recreate the situation where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The third is to read and write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The fourth is a class that deals with the March 1st Movement that took place in local areas. The last is to discuss issues and ideas concerning the March 1st Movement. Over the past 30 years,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have changed in many ways, including perspective, content, and method. The March 1st Movement classes were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memorie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our society. 본 논문은 지난 30여 년간의 3·1운동 수업 사례를 통해 3·1운동 수업의 동향과 전망을 살펴본 글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수업 관련 단행본, 연구 논문 등을 비롯해 교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수업자료를 검색하여 수업 사례를 수집·활용하였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접할 수 있는 교사 개인이나 기관에서 탑재한 각종 수업 사례와 교육부의 역사교육 우수수업사례 등도 참고하였다. 이 글은 역사 교사들이 자신의 3·1운동 수업 경험과 구상이 지금까지 전개된 3·1운동 수업 흐름의 어디쯤에 위치하는지를 가늠해보고 좀 더 나은 3·1운동 수업을 만들어가는 데 유용하다. 3·1운동 수업 사례는 3·1운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수업 내용 및 방법의 변화 양상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시기는 1990년대부터 2008년까지 약 20여 년의 기간으로 역사 교사들의 3·1운동 수업 사례가 발표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수업 사례들은 이후 3·1운동 수업 사례의 토대가 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의 시기이다. 이전 수업 사례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3·1운동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고 수업 내용, 방법 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마지막 시기는 2016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3·1운동 수업 사례가 폭발적으로 발표되었고, 수업 내용 및 방법 면에서 눈에 띄게 성장하였다. 3·1운동 수업은 내용과 수업 활동 면에서 크게 다섯 가지 형태가 있었다. 첫째는 3·1운동의 배경, 전개 과정, 의의 등을 살펴보는 설명식 수업이다. 둘째, 3·1운동이 일어났던 상황을 재현하는 수업이다. 셋째, 3·1운동의 취지와 정신을 담은 3·1독립선언서를 비롯한 여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살펴보며 새로운 독립선언서를 작성해보는 수업이다. 넷째, 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을 접목하여 3·1운동을 다루는 수업이다. 다섯째, 3·1운동을 둘러싼 논쟁점이나 생각거리를 중심으로 토론하는 수업이다. 지난 30여 년간 3·1운동 수업은 관점과 내용, 방법 등 여러 면에서 변화하였다. 3·1운동 수업은 우리 사회의 3·1운동에 대한 기억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앞으로 3·1운동의 무엇을, 어떻게 기억하는 수업을 전개할 것인가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