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敍事)의 기억(記憶) 구성(構成) 원리(原理)와 그 표현(表現) 교육적(敎育的) 의미(意味)

        정래필 ( Jeong Rae-pi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人間은 過去의 記憶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때, 새로운 삶의 可能性을 發見할 機會를 갖는다. 그 方法 중의 하나가 記憶을 構成해 敍事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主體는 過去의 自身과 대면하게 되며, 現在의 立場에서 기억을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박완서의 소설에서 보듯이 ‘오빠의 죽음’이라는 事件을 기억해내는 敍述 主體의 관점에 따라 죽음의 과정이 달라지며, 동일한 인물에 대해서도 現在의 主體에게 갖는 意味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따라서 사고나 감정 등은 다른 방식으로 드러난다. 이 글은 記憶의 敍事 構成 原理로 기억에 대한 主體의 立場 드러내기, 對抗記憶을 통한 새로움 추구의 계기 마련하기, 和解를 통한 자아 회복 등을 제시한다. 이렇듯 記憶을 構成하는 原理는 敍事表現敎育의 내용과 방법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敍事로 表現할 수 있는 事件을 記憶해내는 能力을 신장시키고, 記憶에 대한 自己 治癒 能力을 갖게 한다. Human finds the opportunity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of life when he frees himself from past memories. One of the ways to do this is to construct memory and express it in narratives. In this process, the subject confronts himself in the past and organizes the memory from his current position. As shown in Wan Seo Park's novel, the process of death change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narrator who remembers ‘her brother's death.’ Even if one person tells the story, the thoughts and emotions change according to its meaning for the subject and the message that has to be told. This study presents the subject's stance toward memory, pursuing newness through contre-memoire, and recovery of oneself through reconciliation as the construction principles of memory narratives. The memory construction principles would harmonize the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narrative-writing training, extend abilities which remember events, keep self curable abilities about memory and help learners improve their narrative-expression abilities.

      • KCI등재

        전(傳) 양식(樣式)을 변용(變容)한 현대소설(現代小說)의 교과서(敎科書) 수록(收錄) 양상(樣相)

        정래필(鄭來必) ( Jeong Rae-pi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3

        본 논문은 ‘전(傳) 양식을 변용(變容)한 현대소설’이 수록된 교과서의 교육 내용을 검토한 후 전통적 글쓰기 양식의 변용에 대한 교과서의 관점, 그리고 ‘전 양식(樣式)을 변용한 현대소설’이 갖는 교과서 제재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을 고찰했다. 전 양식을 변용한 현대소설’은 근대소설의 문법을 넘어서는, 전통적 서사구조를 계승하고 재해석한 이야기 등과 같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전 양식을 변용한 현대소설’을 교과서 제재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공했고, 이들 소설은 개정 7차 교육과정 이후 『국어』와 『문학』 교과서의 정전(正典)으로 자리 잡는 추세이다. 「유자소전」과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와 같은 전 양식을 변용한 현대소설 작품은 등장인물의 말하기를 통해 ‘해학(諧謔)과 풍자(諷刺)’라는 ‘한국어의 특수한 자질’을 보여주는 동시에 전통적 ‘전’ 양식을 계승하기 때문에 교과서의 제재로 선택된다. 즉 전 양식을 변용한 현대소설은 성취기준을 통합적으로 운용하기에 적합한 텍스트였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두 작품은 문학사적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뿐만 아니라 『국어』 교과서의 주요 제재로 수록되고 있다. 기왕에 정전으로 자리 잡는 추세라면 이 두 작품의 교과서 제재로서의 가치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생산적으로 활용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containing 'modern novels that transforms jeon styles', and then considers the textbook's perspectives on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writing styles, and its value as a textbook sanction for 'modern novels that transforms jeon styles'. Considered the possibility. 'modern novels that transforms jeon styles' are evaluated as a story that inherits and reinterprets the traditional narrative structure that goes beyond the grammar of modern novels. This provided the possibility of using “modern novels that transforms jeon styles” as textbook sanctions, and these novels have become the can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after the 7th revised curriculum. Modern novels, which use jeon styles such as < YuJasojeon > and < Hwang ManGeun said so >, show the 'special qualities of Korean' such as humor and satire by speaking of the characters and at the same time inherit the traditional 'jeon' style. It is chosen as a sanction for textbooks. In other words, 'modern novels that transformed the jeon style' were suitable texts to integrate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se reasons, despite the controversy of literary history, the two works are listed as major sanctions not only in literary literature but also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f the trend is settled as a cease-fire in the pa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value of these two works as textbook sanctions and find ways to use them productively. This paper examines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modern novels that transforms jeon styl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fiction literature in the 1990s and 2000s, the tradition of inheritance and creation,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 KCI우수등재

        영화의 서술 양상을 통해 본 소설 읽기 방법 연구 - 서술자에서 초점화 주체로 -

        정래필(Jeong, Rae-pil)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소설은 영상매체에는 없는 스토리 전달자인 ‘서술자’라는 막강한 무기를 바탕으로 영화와 차별화를 꾀했고, 이는 소설을 비롯한 서사교육의 핵심 내용이 되었다. 이 연구는 서술자와 초점화 주체의 서사교육적 의미를 검토하고, 소설 원작 영화의 초점화 양상을 분석해 서술자 중심의 소설교육의 한계를 제시했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다. 서술자는 매체의 속성에 따라 서사물에 부재하기도 하지만, 초점화는 모든 서사물에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초점화는 소설 중심의 서사교육을 넘어서는 가능성을 지닌 동시에 주변부에 머물던 다양한 매체 서사를 서사교육의 장으로 이끄는 매력도 함께 지닌다. 이를 반영하듯 현행 교육과정은 ‘보는 이’를 제시하여 초점화 활동을 통한 작품 해석을 강조한다. 그러나 교과서의 활동은 초점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소설 원작의 영화는 다양한 초점화 주체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도록 하며, 가정적 상황에서 초점화 활동의 수행이 작품 해석에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이 연구는 초점화 주체의 작동 양상에 따라 기본 활동과 심화 활동으로 나누어 소설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The novel tri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film based on the powerful weapon of the narrative, the narrative, a storyteller who does not exist in the video media, and has presented this as a core content of narrativ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narrative education of focalization theory and considers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rrator-centered fiction education through the focalization strategy of film based on novels. Descriptors may be absent in narrativ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edium, but focalization appears in all narratives. In this sense, focalization has the potential to go beyond novel-oriented narrative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attracts various media narratives that stayed in the periphery. In this regard, the current curriculum suggests that the viewer be interpreted through the focalization activity. However, textbook activities do not properly reflect focalization. The film based on the novel confirms the existence value of various focalizors, and proves that it is effective to set up a domestic situation and focus on it. This study suggested a novel reading method by dividing it into basic activities and deepe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focalizor.

      • KCI등재

        일반논문3 : 문화적 기억의 문학교육적 가능성

        정래필 ( Rae Pil Je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3

        A learner carries out ``cultural activity``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Cultural memory is mechanism of memory which is interven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creation of culture. This aims to exploring content and method transmitted to ``now and here`` rather than investigating past fact itself. That is, a learner does not stay in learning past events as historical knowledge, but re-interpret past events from the view of present time. As it were, a learner creates present cultural meaning with a medium of text. This is the very reason why ``cultural memory`` should be introduced in literary education. This study sees that discourse of ``cultural memory`` can provide concrete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as cultural practice. Importance of a certain event is based on that the event is memorized as important fact, it gives influences on present time enough when there are continued changes. The event itself is not important. Such continuancy of memory becomes a power to maintain current community. Accordingly, this activity can be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 the activity to investigate formation process of cultural memory with a medium of literary text and to reorganize memory based on present cultural context.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at the dimension of ‘to find cultural memory’, ‘to understand discourse of memory’, and ``creation of meaning of cultural memory’. A learner should be a subject to create cultural memory going beyond a subject to accept transmitted cultural memory. To do this, a learner should be equipped with ability to analyze cultural memory shown on literary text and to criticize it from meta view. And literary education should play a role to cultivate a subject to accept and create cultural memory.

      • KCI등재

        교과서의 서사 수용에 대한 비판적 연구:

        정래필(Jeong Rae P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교과교육에서 서사를 학습 도구로 활용하는 것과 국어교과에서 본격적으로 서사 장르를 가르치는 것과는 다르다. 국어교과에서 서사교육은 ‘기존의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 중심의 교육을 확장하여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다양한 문화 체험’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최근에는 국어와 윤리 교과 이외에도 서사와 무관할 것 같은 수 학이나 물리 교과에도 교과서 활동 방법으로 서사를 적극 수용한다. 이는 서사의 ‘이 야기의 힘’이 교과의 지식을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결과 로 보인다. 대부분의 교과에서 서사를 활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서사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둘째 서사는 어려운 교과지식을 쉽게 전달한 다. 그런데 교과서를 검토해보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구성한 서사 활동 은 교과지식에 대한 관심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않는다. 서사가 지닌 장점을 충분 히 고려하지 않은 결과라 할 수 있다. 교과서는 서사가 지닌 본질을 고려하여 활동 을 구성해야 한다. 교과서는 서사의 허구적 상상력에 주목하고, 서사와 교과지식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해야 하며, 스토리텔링의 대화성과 소통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교과교육은 서사의 본질과 교과지식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할 필 요가 있다. It would be naturally different between using narrative as a learning tool in the education for textbook and actively teaching narrative genre in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narrative education develops from education focused on genre of literature, that is, novel to acceptance of routine, popular, and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 Recently besides Korean language and Ethic, narrative is actively accepted even in mathematics and physics curriculum which seem not be related to narrative. This would come from judgement that power of story by narrative can help students learn knowledge of textbook. Most textbooks uses narrative. What are the reasons? There are two main reasons that have been said. First, Narrative induces interest of learners. Second, Narrative easily conveys difficult knowledge in the textbook. The two reasons are far from this - to explore essence and principle of narrative, and connect to knowledge in the textbook. In the education for textbook, it would be necessary to accept narrative by considering knowledge in the textbook, essence and function of narrative, and capacity of learners in regards to narrative. Textbook introduces narrative in various ways. But knowledge in the textbook and narrative as a play are separated each other. Level of completion of narrative is low and some activities that do not consider learners capacity are suggested. In education for textbook, first of all, essence of narrative should be explored. And then, being fit to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r textbook, principle of narrative should be suggested. In addi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to use narrative by considering context according to principle of integration between curriculums for education for textbooks.

      • KCI등재

        소설 재구성의 읽기 교육적 의미 연구

        정래필(Jeong Rae Pil) 동남어문학회 2016 동남어문논집 Vol.1 No.41

        이 글은 텍스트 생산과 수용에 관여하는 문화적 맥락을 규명하고, 현재 학습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을 탐구했다. 이를 위해 연재본과 단행본 〈삼대〉를 비교하면서 창작 당시의 문화적 맥락이 텍스트에 반영되는 양상을 제시하고, 학습독자의 현재 문화적 상황에 따라 재구성한 〈삼대〉를 분석했다. 〈삼대〉의 연재본과 단행본은 인물의 성격이나 스토리의 전개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단행본은 연재본의 스토리 세계를 조정함으로써 그와는 다른 문화적 의미를 생성하고 있다. 〈삼대〉는 1930년대의 고정된 텍스트가 아니다. 왜냐하면 시대, 혹은 사회문화적 조건이나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제2의, 제3의 〈삼대〉로 다시 태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947년의 염상섭이 그랬듯이 현재의 학습자도 자신이 속한 공동체 내의 문화적 상황이 드러나도록 또 다른 〈삼대〉를 만들 수 있다. 비록 그것이 작가의 수준에는 못 미친다고 하더라도 학습자 역시 〈삼대〉를 재구성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소설읽기 교육의 방법과 의미를 제시했다. The newspaper serial edition and the separated volume of Samdae show differences in character of figure or development of story. The separated volume creates new cultural memory by adjusting story world of the newspaper serial edition. This is because Samdae can be born again as the second and the third Samdae, not fixed text of 1930s as era, sociocultural conditions or environment changes. Like Yum Sangsub adapted Samdae in 1947, present learners also can make another Samdae so that cultural situation of learners’ community can be disclosed. Though it does not reach level of the writer, learners can do activity to reorganize Samdae by applying cultural memory too. It should be especially noticed that Samdae is an work always printed on a textbook regardless of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This is because learners understand and assess Korean society of the past whil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ccepting view of value and world of Samdae printed on the textbook. This gives much implication in organizing activity of learners who explore cultural context in literary education, into educational contents. The study discussed on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as cultural practice.

      • KCI등재

        개별 논문 : 자전 소설의 읽기 방법 연구

        정래필 ( Rae Pil Jeong ) 한국독서학회 2007 독서연구 Vol.0 No.18

        이 글은 자전 소설의 양식적인 특징에 주목해 그 독서 행위의 성격을 살피면서 자전 소설의 읽기 과정을 밝히고자 했다. 또한 읽기 과정에서 제시될 수 있는 읽기의 내용 요소들을 제시하고, 자전 소설을 읽는다는 것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고찰했다. 자전 소설은 기억의 고백과 서술자의 이중 시점이라는 양식적인 특징을 지닌다. 기억의 고백과 서술자의 이중 시점이라는 자전 소설의 양식적인 특징에 근거해 자전 소설의 독서 행위의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자전 소설의 소통 과정은 작가, 서술주체로서의‘나’, 경험주체로서의 ‘나’, 그리고 독자 등이 얽혀 있는 복잡한 스펙트럼을 형성한다. 특히 수용의 측면에서 보자면 독자는 작가와 서술주체, 그리고 경험주체와의 대화를 통해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한다. 따라서 독자는 서술주체와 경험주체의 대화 과정을 통해 고백의 내용을 이해해야 하며, 서술자의 이중 시점이 텍스트에서 실현되는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자전 소설 읽기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전 소설의 독자는 서술 주체에 의해 구성된 기억의 실체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자전 소설의 독자는 경험 주체를 대하는 서술 주체의 태도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자전 소설의 독자는 과거의 자신과 화해하는 서술 주체의 태도에 주목해야 한다. 즉 과거의 자신과 끊임없이 화해를 시도하고 있고, 과거의 자신을 용서하기 위해 애쓰는 서술 주체의 모습을 살펴야 한다. 자전소설을 읽음으로써 독자는 과거의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기억에 대한 서술 주체의 심리 상태를 보는 과정을 통해 독자는 과거의 자신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다. 그리고 기억의 고백을 통해 과거의 자기와 화해하고 자신을 성찰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process of reading autobiographical novels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novels and on the method of reading them. The elements of reading as well as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ading autobiographical novels were examined. As autobiographical novels involve confession of memory and narration in dual voice, reading autobiographical novels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of autobiographical novels forms a complicated spectrum where author, “I” as narrating subject, “I” as experiential subject, and reader are entangled with one another. As for receiving, reader communicates with author, narrating subject, and experiential subject to provide meaning to the text. Therefore, reader must understand the content of confession by communicating with narrating subject and experiential subject and comprehend how dual voice of author is realized in the text.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following aspects of reading autobiographical novel were found: first, readers of autobiographical novels must understand the reality of confession told by narrating subject. Second, readers must concentrate on the attitude how narrating subject deals with experiential subject. Third, readers must focus on the attitude how narrating subject reconciles with himself of the past. In other words, readers must examine how narrating subject constantly attempts to reconcile with and forgive himself of the past. Reading autobiographical novels, readers comprehend how to observe themselves of the past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Also, readers can evaluate themselves of the past by observ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narrating subject as he remembers past memories. They also can understand how to reconcile with themselves of the past and reflect on themselves.

      • KCI등재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정래필(Jeong, Rae-Pil)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4

        이야기그림책의 경우 전통적인 서사물과는 달리 ‘그림’을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글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시점과 인칭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고는 글과 그림으로 담론화 되는 이야기그림책의 서술 특성에 맞는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즉 글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림 이야기의 분석과 해석에도 관여할 수 있는 서술 방법이 필요한데, 본고는 서술의 초점화에 주목했다. 초점화는 이야기그림책 읽기에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과정과 전략을 제공한다. 특히 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이야기가 ‘말하는 이’ 아니라 ‘보는 이’의 관점으로 전달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초점화 이론을 읽기 방법과 전략으로 재개념화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보는 이’ 중심의 이야기 읽기는 내적초점화, 외적초점화, 독자초점화의 층위에서 진행된다. 각각의 초점화 논의를 바탕으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활동 내용을 제시했다. 독자는 보는 이와 그 대상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다음 장면에 이어질 내용을 추측하고, 장면과 장면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면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한다. 또한 독자 스스로 ‘보는 이’가 되어 상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narrative picture books,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there is a story that is conveyed through the pictures thu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work from a point of view, and a person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is paper presents a reading method suitable for the narrative of narrative picture books expressed in text and pictures. In other words, we need a narrative method that can be involv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not only the verbal narrative but also the visual narrative. This article denotes it as a focalization. Focalization provides a reading process and strategy centered on the ‘focalizor’ in reading narrative picture books. Considering that the visual narrative in a narrative picture book is conve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calizor rather than the narrator, reconceptualizing the focalization theory into a reading method and strategy is meaningful. Reading stor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is done based on the layers of internal focalization, external focalization, and reader focalization. Based on each discussion of the focalizati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소설(小說) 읽기 교육(敎育)에서 초점화(焦點化) 리론(理論)의 수행적(遂行的) 관점(觀點)

        정래필 ( Jeong Rae-pi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1

        本 論文은 焦點化 理論에 대한 小說敎育의 현황을 확인하고, 遂行的 관점에서 초점화 이론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遂行'은 초점화의 疏通 脈絡과 讀者의 解釋 過程을 결합한 소설 읽기의 실제적인 방법을 가리킨다. 讀者의 초점화는 장면의 역동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작품 해석의 통합성에 기여하며, 主體와 對象의 이분법적 관계를 초월해 脈絡에 따라 인물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이끈다. 또한 독자의 초점화는 텍스트 해석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처럼 독자의 초점화 활동은 작품 해석의 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 논문은 독자 초점화의 작동 양상과 역할을 검토한 후 '焦點化 主體의 位置 定하기', '脈絡을 考慮하여 知覺하기', '對象에 대한 觀點 形成하기' 등을 焦點化의 遂行 戰略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독자 초점화 활동과 관련된 小說 읽기 敎育의 成就基準과 內容要素를 제시했다. 본 논문은 소설교육에서 초점화 이론의 受容 過程을 제시한 후 작품 해석과 연계할 수 있는 초점화 이론의 遂行的 次元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novel education on focalization theor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focalization from a performance perspective. 'Performance' refers to the practical method of novel reading that combines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focus and the reader's interpretation process. The recent focalization theory shifts from the analysis aspect of narrative aspect to the method center of text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trend, this paper also identifies the reader' focalization and suggests a strategy for focusing on the performance level. The reader' focalization focuses on the dynamics and continuity of the scene, contributing to the integr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and transcending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leading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reader's focalization also provides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e text. Thus, the reader's focalization activities can be used as a path of interpreting the work.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independent focus, the focu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positioning the focalizor', 'perceiving by considering the context', and 'evaluat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rspectiv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presented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content elements of novel reading education related to independent focalizat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