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해 婆娑石塔의 原形에 대한 고찰

        전지혜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3

        It is said that, in the Geumgwan-sung Pasa stone stupa article of the Samguk-yusa, the Pasa stone stupa was brought by Heo Hwang-Ok to keep her boat safe from a rough storm during her voyage from her home country Ayodhya to Gaya. That stone stupa is currently enshrined in Pasa-gak which is in front of the Royal tomb of the queen Heo Hwang-Ok, but it looks different from a typical stone stupa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composed of stylobate part, body part and upper parts at a glance. Besides it may look like a stone tower which is piled up with any stones which can be generally seen everywhere such as a mountain path or a temple, because of too much worn-out. However, the Pasa stone stupa cannot be excluded when people talk about Heo Hwang-Ok of the Garak-guk, and also it is a weighty and symbolic heritage of the history of Gim-hae region. In spite of that, an individual study of the Pasa stone stupa has not been made at all except for a survey which was executed by a local historian in 1980’s. Of course,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at such as the uncertainty of a location and period of Ayodhya well known for a home country of Heo Hwang-Ok and a tale in the Samguk-yusa, and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Pasa stone stupa does not have its original form due to serious worn-out. Hence, the present writer has studied the original form of the Pasa stone stupa observed in the 13th century by Iryeon who wrote the Geumgwan-sung Pasa stone stupa article in the Samguk-yusa, individually focusing on the Pasa stone stupa itself without a consideration of any tales of Heo Hwang-Ok. With the story in the Samguk-yusa the original form of the Pasa stone stupa may be the initial appearance of that stupa when Heo Hwang-Ok shipped it on her boat, but it is hard to infer how the stone stupa exactly looked like at that time from six parts remaining currently, apart from the uncertainty of the tale. Then the present writer believes that a practical plan of a study of the value of Pasa stone stupa which is proven only through tales is to find out answers from more obvious evidences. In this study the present writer has surveyed present state of stone stupas in Gim-hae area, and classified materials for the Pasa stone stupa referring to old maps, old literatures and glass plates from the Empire of Japan government-general of Chosen building, and studied the original form of the Pasa stone stupa at the same time. 『三國遺事』 「金官城婆娑石塔條」에 따르면 婆娑石塔은 기원전 48년 許黃玉이 고향인 阿踰陀國을 떠나 가야로 올 때 바다의 풍파를 잠재우기 위해 싣고 온 것으로 전해진다. 그 실물은 현재 김해 首露王妃陵 앞 婆娑閣에 안치되어 있는데, 한눈에 보아도 한반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가 갖추어진 일반형 석탑의 모습은 아니다. 게다가 훼손의 정도가 너무 심해서 산길이나 절집에 놓여있는 단순히 돌을 쌓은 돌탑으로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락국의 허황옥과 관련하여 파사석탑은 빼놓을 수 없는 주제로 언급되고 있으며, 김해의 지역사에 있어서도 상징성을 갖는 중요한 유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사석탑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1980년대 향토사학자의 조사에 그치고 있다. 물론 그 까닭은 허황옥의 고향으로 알려진 아유타국의 위치 비정과 그 연대를 비롯하여, 『삼국유사』에 나오는 설화의 불확실성, 그리고 가장 큰 까닭은 석탑이 이미 심각한 훼손으로 원형을 잃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허황옥과 관련된 설화를 벗어나 독립적으로 파사석탑 자체에 주목하여 『삼국유사』 「금관성파사석탑조」의 찬자인 13세기 당시 일연이 목격한 탑의 원형을 고찰하였다. 『삼국유사』의 설화에 따르자면 아유타국에서 배에 싣고 왔을 당시의 모습이 탑의 애초의 원형이겠으나, 설화의 불확실성을 차치하더라도 남겨진 6매의 부재를 가지고 현재로서는 그 답을 제시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보다 분명한 것에서 답을 찾아나가는 것이 오히려 설화 속에서만 그 가치를 인정받는 파사석탑의 현실적인 연구방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 글에서 지역적인 배경에 따라 우선 김해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석탑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고지도와 고문헌, 그리고 조선총독부 유리건판을 활용하여 파사석탑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는 동시에 그 원형을 고찰했다.

      • KCI등재

        일본 니시노미야시의 지역기반 장애인복지 실천 사례연구

        전지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0 No.40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적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장애인의 일상적 삶의 구성요소를 검토하고, 일본의 중증장애인 통합적 공생사회 구축 사례를 통해 장애인의 일상적 삶이 가능하게 되는 지원체계의 요소를 알아보았으며, 한국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적 삶은 ‘자기결정권 하에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지역사회에서 주체적으로 관계를 맺고 시민으로서 권리를 보장받으면서 하고 싶은 활동을 하고 살아가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 특히 제도적 측면에서의 사회권 보장과 심리사회적 측면에서의 관계성 구축을 통한 삶의 일상성이 보장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정상화, 자립생활, 사회적 포함 등의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 결과, 장애인의 일상적 삶의 구성요소는 삶의 공간, 삶의 관계, 삶의 방식, 삶을 위한 지원과 조력의 4가지 요소로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삶의 공간은 지역사회이어야 하며, 삶의 방식은 자기결정권 보장을 통해 결정되어야 하고, 삶의 관계는 이웃이나 가족 친구와 같은 사회적 관계망구축을 통해 마련되고, 삶을 위한 지원과 조력은 소득보장 및 사회서비스 지원 등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종합적인 장애인의 지역 내 일상적 삶을 지원하는 사례로서 일본의 니시노미야시를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니시노미야시는 공생마을 만들기를 위한 거점공간인 아오바원을 중심으로 장애인이 지역에서 완전한 주체로서 일상적 삶을 영위하도록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다. 중증장애인도지역의 거점공간에서 의미있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애 친화적인 체계는 본인중심계획과 지역의 네트워크를 통해 구축되었다. 개호지원, 권리옹호지원, 이동지원, 지역사회지원 등이 지역의 다양한 활동과 자립생활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다차원적인 장애인의 일상을 창조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있었다. 사례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일상적 삶을 지역에서 어떻게 지원해 나갈 것인지와 관련하여 한국 장애인복지실천에 던지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How is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ssible? First of all, I examined the elements of everyda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elements of the support system that enables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case of Japan s integrated society for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Korea.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conceptualized as receiving the necessary support under their self-determinatio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in the community, and enjoying their rights as a citiz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oretical discussions such as normalization, independent living, and social inclusion, the components of everyda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as the four elements of life space, life relation, way of life, welfare support system for life. Here, the space of life must be a community, the way of life must be determined through self-determin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life is establish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ocial networks such as neighbors and family friends. The welfare support system for life is income support and job opportunity. I looked at Nishinomiya City in Japan as a case to support the daily life in this comprehensive disability area. Nishinomiya City was equipped with a support system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ive their everyday life as a citizen in the community through Aobaen, a base for co-operative town development. The severely disabled also had a meaningful social role in the base area of the area, and this disability-friendly system was built through self-centered planning and local network. As a result of various activities and independent living in the area, such as nursing care support, rights advocacy support, mobility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a process of creating a multidimensional daily life of a person with disabilities was being prepared. At the end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described how follow - up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support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유럽연합의 문화주권을 찾아서: 디지털 저작권 개혁을 중심으로

        전지혜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3 No.1

        Le 15 avril 2019, le Conseil de l’Union européenne a approuvé définitivement la directive sur le droit d’auteur dans le marché numérique. Cette directive a pour but de mieux protéger les éditeurs de presse par la création du droit voisin, et d’obliger les plateformes à filtrer les contenus mis en ligne pour respecter le droit d’auteur. Pendant presque trois ans d’âpres négociations, les acteurs dans le domaine de la culture ont combattu les GAFA(Google, Apple, Facebook et Amazon) qui ont mené une intense bataille de lobbying contre le droit d’auteur. Par ailleurs, bien que la directive soit entrée en vigueur en France à partir du 24 octobre 2019 pour la première fois en Europe, Google a refusé de rémunérer les éditeurs de presse, faisant valoir l’énorme trafic qu’il apporte aux sites de presse. La France et l’Union européenne réagiront donc en régulant les plateformes avec des sanctions plus rapides. La raison pour laquelle l’Europe aspire à la réalisation de la directive sur le droit d’auteur, c’est que l’Union européenne, créée sans aucune mention sur la culture, renforce maintenant sa vision et son intégration à travers la «culture». Par conséquent, ce qui est profondément en jeu dans cette réforme du droit d’auteur numérique, c’est l’esprit de l’Europe, sa culture et sa créativité. L’Union européenne devrait donc poursuivre ses initiatives non seulement pour assurer une concurrence loyale, mais aussi pour retrouver sa souveraineté culturelle, en faisant évoluer des rapports de force qui étaient déséquilibrés.

      • KCI등재

        프랑스어 명사구 구성요소 배열과 더미 개념의 유용성

        전지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En nous basant sur l’observation de l’ordre des éléments apparaissant dans le groupe nominal en français, nous proposons sa structure topologique. La structure topologique est une structure ordonnée qui montre que chaque élément d’une phrase se place dans sa propre position linéaire en fonction de la catégorie, de la fonction syntaxique et de la structure informationnelle, etc. La structure topologique du groupe nominal en français est constituée de deux champs: champ de l’amas nominal et champ du modifieur. L’amas nominal est un constituant topologique particulier, qui a une grande cohésion linéaire. Nous nous intéressons notamment au type de N1 de N2, qui se comporte comme un tout. Pour le champ du modifeur, nous remarquons que, contrairement à l’analyse de Riegel et al.(1994), les modifieurs comme adjectif, groupe prépositionnel et relative ne respectent pas toujours de strictes contraintes d’ordre. Nous considérons, suivant Abeillé & Godard(1999, 2004), que cela dépend largement du poids de chaque élément. Nous montrons également le parallélisme entre l’amas nominal et l’amas verbal. Autrement dit, dans l’amas, autour de la tête (nom ou verbe), ses dépendants se placent d’une manière similaire: d’une part, l’amas de chaque type contient les éléments grammaticaux et les éléments en classe fermée à gauche de la tête. D’autre part, il peut y avoir la formation de complexe nominal/verbal se comportant comme un tout. Cette formation a tendance à être conditionnée par le nom/verbe dépendant nu (cf. N2 sans article dans N1 de N2 vs. nom prédicatif sans article dans la construction à verbe support). Ce parallélisme entre l’amas nominal et l’amas verbal montre que la notion d’amas nous facilite la compréhension des phénomènes d’ordre de la langue française dans l’approche topologique. 이 연구에서 우리는 명사구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배열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프랑스어의 명사구 토폴로지 구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에서처럼 단순히 명사들 간의 응집성만을 고려한 것이 아닌, 닫힌 부류의 요소들과 함께 (복합)명사가 구성하는 응집성인 강한 토폴로지 단위인 명사더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명사더미는 이미 연구된 동사더미에서 착안된 것을 밝히며, 명사더미와 동사더미의 평행성에 주목하였다. 명사구 토폴로지 구조는 크게 명사더미와 수식어 이렇게 두 필드로 구성된다. 명사더미에는 응집성이 강한 명사의 결합뿐만 아니라, 명사의 앞에 나타나는 제한된 부류인 한정사, 부사 그리고 형용사도 위치할 수 있다. 명사의 오른쪽에 나타나는 수식어들은 Riegel et al.(1994)의 분석과는 달리, 엄격한 어순을 따르지 않는다. 이는 특히 각 수식어들의 무게에 따라 형용사, 전치사구, 관계절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 우리는 동사더미의 출현을 언급하고, 명사 범주에도 동사더미와 평행성을 가지는 명사더미가 출현함을 보였다. 즉, 명사와 동사는 서로 다른 통사 범주이지만, 두 유형의 더미 모두 문법요소와 복합동사/명사를 위한 필드로 구성됨을 보았다. 또한 더미 개념을 통해 프랑스어 명사와 동사가 어떤 요소들과 함께 위치하는지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음을 보였고, 응집성이라는 언어현상을 선적으로 기술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의 성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전지혜,남지현,남이해,양숙미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1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realizing the sexual life of the disabled, and tried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eir sexual lives and what factors cause such difficulties. Therefore, a mixed method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responses of 243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responded to the Sexual Life Conditions of Disabilities in Gyeonggi-do and 13 persons who participated in FGI.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arriers to sexual life of the disabled were pointed out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social awareness and lack of access. The back is absent, and it has been shown that it prevents families and disabled people from recognizing their sexual rights. Based on thi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nd education related to sexual life and sexual rights of disabilities, necessity of approach by type of disability and integrated dimension, improvement in awareness of sexual rights of disabilities, development of practically applicable educational contents, information Discussions were made on provision, training of sex counseling activists in organiza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edical support, psycho-emotional support, and establishment of a delivery system. 본 연구는 장애인의 성생활 실현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들이 경험하는 성생활의 어려움이 무엇이고 그 지원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도 장애인 성생활 실태조사에 응답한 장애인 243명과 FGI에 참여한 장애인 13명의 응답결과를 혼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성생활의 장벽은 사회적 인식과 접근 미보장의 문제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는데, 장애인을 무성적 존재로 인지하거나 장애인의 성을 억압하는 문화로 인하여 장애인의 성권리에 대한 교육, 정보 등이 부재하고, 이는 가족과 장애인 당사자에게도 자신의 성권리를 인지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 성생활 및 성권리와 관련된 정보와 교육 제공, 장애유형별 및 통합적 차원의 접근 필요, 장애인 성권리에 대한 인식개선, 실질 적용 가능한 교육컨텐츠의 개발, 정보제공, 장애인 당사자 단체의 성상담 활동가 양성, 의료적 지원, 심리 정서적 지원 및 전달체계 구축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읽기 유창성 기반 원격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부모의 읽기지도전략 사용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

        전지혜,김영태,이영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읽기 유창성 기반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부모의 읽기지도전략 및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유창성, 아동의 읽기 학습에 관한 부모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2학년이며 인공와우이식 아동 및 부모 5쌍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는 사전에 KOLRA 검사를 통해 해독은 검사 결과 25%ile 이상이지만 읽기 유창성 수행력이 낮은 아동 5명을 선별하여 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모의 읽기지도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BASA를 활용하여 자녀-부모의 읽기상황에서 부모의 읽기지도전략 사용 빈도 및 자녀의 읽기 유창성 향상도, 아동의 읽기 학습에 관한 부모 태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코칭 프로그램 사전과 비교하여 후, 유지 모두 부모 읽기지도전략 및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비모수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한 결과, 부모코칭 프로그램 사전과 비교했을 때 사후, 유지 모두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짧은 기간으로 인해 아동의 학습에 관한 부모의 태도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부모 및 아동의 읽기 유창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임상분야에서 전문가들은 부모코칭을 활용하여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와 함께 읽기와 관련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자립생활주택 전담 사회복지사의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전지혜,양숙미,원영미,이세희 한국사례관리학회 2022 사례관리연구 Vol.13 No.1

        장애인 자립생활주택은 거주시설에서 나와서 자립하는 장애인에게 자립을 훈련하고 연습할 수 있는 주거공간이다. 탈시설 논의와 함께 개별 지자체는 다양한 탈시설 사업을 이행하였고, 자립생활주택에서 자립준비를 한 장애인들은 지역사회로 정착해나갔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생활주택 전담 사회복지사가 탈시설 장애인에 대한 자립지원을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어떤 어려움이 있고 개선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인천소재 자립생활주택 전담인력을 종사하고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주관식 설문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주제어 분석방법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립에 대한 가치철학적 인식과 실질적 지원에서의 충돌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자립생활주택도 주거공간이 아닌 복지센터의 프로그램 제공기관처럼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자립생활주택 퇴거 이후 주거 마련의 어려움과 자립정착금 지원방식의 문제점, 주변 이웃과의 관계망 및 인식의 문제 등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으로 안정적 주택확보 및 자립지원금 절차개선, 종합적 자립지원 전달체계로서의 전환지원센터의 기능 강화를 제언하였고, 실천적으로는 자립생활주택 전담인력에 대한 교육, 운영매뉴얼 마련, 수퍼비젼, 및 사례관리 능력 강화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