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獨占規制法 違反行爲者를 被告로 하는 間接購買者 損害賠償請求訴訟의 法的 問題

        장혜림 한국상사법학회 2008 商事法硏究 Vol.27 No.1

        An indirect purchaser action is where a person forced to pay the passed on overcharge seeks to recover as an indirect purchaser against the defendant. Anticompetitive practices damage the economic interests of private parties, especially consumers by eliminating the consumers’ right to choose effectively among competitive products. The question of indirect purchaser’s standing is an important one and will probably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rivate competition enforcement. As far as the breadth of the definition of indirect purchaser is concerned, one critical issue is how far indirect purchaser rights of action should extend. Should the right of action be limited to indirect purchasers of only the actual product that was the subject of the anticompetitive activity? Or should it include purchasers of derivative products, for example, other products containing the overcharged product as an ingredient? It is not clear what should count as a derivative product. If all indirect purchasers’ right of actions are recognized, it can be argued that it impair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private enforcement because of difficulty of bringing damages actions such as calculating and distributing damage. However, it is submitted that for full compensation, it is desirable all indirect purchasers have right to bring actions. With regard to indirect litigation, US case law is crucial because there has been critical case law of indirect purchaser litigation such as Illinois Brick and there have been much discussion of it. Therefore in this chapter, first, I introduce the case and rationaleof indirect purchaser actions in the US and then discuss those in the EU, UK and Korea. For effective private enforcement,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capacity of indirect purchasers to bring proceedings. 손해전가항변을 부정할 경우에는 민법 제750조 또는 독점규제법 제56조 1항에 의하여 보호되는 자의 범위에서 간접구매자를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으나, 손해전가항변을 인정한다면 동조의 보호범위에서 간접구매자를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은 성립되기 어렵다. 그런데 우리의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손해전가 항변이 인정되어야 마땅하기 때문에 간접구매자가 민법 제750조 또는 독점규제법 제56조 1항에 의한 구제를 원용할 수 없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첫째, 우리의 손해배상제도는 배상의 대상인 ‘손해’를 불법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재산의 감소분’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독점규제법 위반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의 소에서 피고가 손해전가 항변을 주장할 수 없어 최초 손해액 전부를 배상해야 한다면 실손보상이라는 우리 손해배상의 원칙과 모순된다고 할 것이다. 둘째, 손해전가의 항변은 그 취지상 원고가 피고의 행위로 인하여 입은 손해를 판매가격을 인상하여 이익을 보았으므로 그 부분만큼 손해액에서 배제하자는 주장이므로 민법상 널리 인정되고 있는 손익상계의 항변과 다를 바 없으므로 허용되는 것이 옳다. 셋째, 손해전가의 항변을 부정하여 손해배상제도의 예방적, 징벌적 기능이 강화되는 효과를 추구할 수도 있겠으나 우리의 경우 손해배상제도에 징벌적 기능을 미미하게 인정하고 있는 것이 그동안의 실무관행이기 때문에 그 효과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넷째, 독점규제법 위반행위에 대한 억제기능이나 징벌기능은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한 공적 집행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다는 사정도 고려해야 마땅하다.107)攀 손해전가 항변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장혜림, “손해의 전가와 독점규제법 제56조 1항 ‘손해’의 개념과 범위”, 비교사법 제14권 4호 , 2007.攀攀간접구매자가 민법 제750조 또는 독점규제법 제56조 1항에 기초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없도록 할 필연성이 없고, 헌법상 재판청구권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간접구매자의 손해배상청구를 허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StarGAN v2 기반 패션 아이템 다중 도메인 변환을 통한 이미지 생성 모델 구현

        장혜림,손봉기,이재호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11

        Various GANs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in wide application areas. In this paper, we intend to utilize the GAN model to implement a domain transformation system for multi-detailed item on fashion items. For the purpose, we experimented and implemented StarGAN v2, which is objectively verified model that can generate images converted to the desired domain style by specifying conditions. Models were created for each detailed item to minimize labeling of datasets and accurately derive transformation results according to domains. Using the pretrained image generation model, we derive a result of synthesizing styles extracted from one image into another image, and we present a plan to allow multiple domains to be transformed for one image by utilizing all of the models. Similarity between real and generated images is measur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each domain transformed by image generation model. 최근 다양한 GAN 모델이 개발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션 아이템에 대한 다중 세부 아이템 도메인 변환 시스템 구현을 위해 GAN 모델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건을 지정하여 원하는 도메인 스타일로 변환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객관적으로 검증된 StarGAN v2를 채택하여 실험 및 구현을 진행하였다. 데이터셋의 레이블링을 최소화하며 도메인에 따른 변환 결과를 정확히 도출할 수 있도록 세부 아이템별로 모델을 각각 생성하였다. 학습된 이미지 생성 모델을 활용하여 하나의 이미지에서 추출한 스타일을 다른 이미지에 합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모델들을 모두 활용하여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여러 도메인을 변환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도메인 변환 이미지 생성 모델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실제 이미지와 생성 이미지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평가 분석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혜림,이래혁,Chang, Hae-Lim,Lee, RaeHyuc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에서 구축한 2020년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여부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질문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89명의 조손가정 청소년 중 39%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했다. 또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불안과 스트레스의 점수가 높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험 비율이 높았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조손가정 청소년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의 경험은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constr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 2020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anxiety,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main results regarding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39% of 589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experienced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Also, compared with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those who experienced deterioration showed higher scores of anxiety and stress as well as higher percentages of experiencing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positively significantly influenced anxiety,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strategies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in disaster like COVID-19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규칙 준수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장혜림,임지영,권유정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1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effortful control, and regard for rule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effortful control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regard for ru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6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and 17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with the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rect path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regard for rules was insignificant, but effortful control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regard for ru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examined the path that affects regard for rul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effortful control, and regard for rules and found that attachment security and effortful contro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regard for rules. 본 연구는 유아의 애착안정성, 의도적 통제 및 규칙 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애착안정성과 규칙 준수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서울, 경기 및 경상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어머니 166명과 유아들이 다니는 교육기관의 담임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애착안전성과 규칙 준수 간의 직접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애착안정성과 규칙 준수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애착안정성, 의도적통제 및 규칙 준수 간의 관계에 있어 규칙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규칙 준수에 있어 애착안정성과 의도적통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기술훈련과 또래 주도전략 프로그램이 고립유아의 또래 수용에 미치는 효과

        장혜림,홍준표 한국인간발달학회 2002 人間發達硏究 Vol.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 training and peer-initiated program on peer acceptance of isolated young children. For thi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raised: (1) Does the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improve peer acceptance of the isolated young children? (2) Does the peer-initiated strategy, in which a friendly peer stays with the isolated young children, help promote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isolated? (3) D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ffect each type of isolation? (4) Will the change in social behavior and peer acceptance of the isolated show consistency in the peer group? A 4(experimental conditions)×2(types of isolated young children)×3(intervention phases) factorial design was adopted, with all factors repeatedly measured. Eight isolated subjects were selected in two experimental groups and peer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ight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Social behavior frequency was observed three times during free playing time. Peer acceptance was measured three times ('pre-', 'post-', and 'follow-up' periods) by using the peer-rating sociometric scale. The experiment processed for 8 weeks.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rategy had the significant effects (the main effects) on peer acceptance of the isolated young children. There is, however,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ypes of isolations (A×B) and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intervention phases (A×C). (2)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types of isola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s on peer acceptance. (3) The strategy enhanced peer acceptance of isolated young children more at the 'post-' and 'follow-up' phases than at the 'pre-' phase. This proves that the social skill training and peer initiated strategy has long-lasting effects on social behavior and peer acceptance of the isolated young childre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장혜림,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a nationwide sample of 1,262 multicultural adolescents living with foreign-born mothers from the raw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order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performed analyses for direct and indirect associations and for mediation effects by utilizing the PROCESS macro method for SPSS.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First, parental support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d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Third,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lso mediated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Fourth,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was dual-mediated through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e and policy strategies to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전국 단위의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원자료로부터 외국인 어머니를 둔 1,262명의 다문화 청소년을 선별하였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분석 표본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for SPSS 방법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 간 직․간접 영향 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역시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한 ‘준주택’ 공용부의공공영역 형성 방법에 대한 연구- 호텔, 기숙사, 쉐어하우스를 중심으로 -

        장혜림,백진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8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4

        It is important to secure public realm in modern cities, but it was mainly discussed only in non-residential. However, the core of the city is housing, and there is a type of 'quasi-house' which is easy to form a public realm among the residences. Recently, 'quasi-house'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sharing that local residents and outsiders can use together,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new public and cultural space that can feel locality. The public area of 'quasi-houses' can be viewed as a public domain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people who use it, and this can b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Actor-Network Theory. From ANT viewpoint, it i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rchitecture can be extended to a public space or a public realm in a city including a resid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quasi-house', and to derive the methodology. Through ANT,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lements and logic that form the public domain based on behavior, but the elements that are not included in quantitative terms such as atmosphere are difficult to analyze.

      • KCI등재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혜림,김성천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2

        This study of the issues related to the rights of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used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essential rights of these children, issues that can be resolved and main issues of rights arising from specific developmental stages. According to delphi survey, the most essential rights for currently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Korea are right to stay in Korea, right to live with their parents,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equality, and right to social welfare, in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On the other side, the issues which are highly probable to be addressed are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live with parents, right to equality, right to social welfare, and right to stay, in order of decreasing probability. It appear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se issues and the probability of their resolution among the respondents(t=5.8, p<.001).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showed differences for various developmental stages(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본 연구는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집단심층면접, 미등록 이주아동의 개별 심층면접 등을 활용하여 미등록 이주아동의 중요한 권리영역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와 면접결과는 다음과 같다. 델파이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에게 중요한 권리는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부모와 살 권리’,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등의 순인 반면, 현실적으로 해결가능성이 높은 권리영역은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부모와 살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별 중요성과 그 해결가능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권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8, p<.001). 또한 미등록 이주아동과 전문가 면접결과,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는 발달단계별(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