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응급실에서 BD Safety-LokTM Blood Collection Set를 이용한 혈액배양의 안전성과 수행능 평가

        장정현,이태근,성흥섭,김미나,김윤정,이윤선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8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3 No.1

        배경: BD vacutainerⓇ Safety-Lok은 혈액배양 술기 도중 발생하는 찔림 사고를 예방하고 적절한 혈액량을 접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안전채혈기기이다. 한 삼차병원 응급실에서 혈액배양 시 안전 및 수행능에 관련된 술기와 자상사고에 대한 경험 및 의식을 조사하고, Safety Lok을 사용하였을 때의 자상사고 예방효과 및 편의성 향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7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간 응급실에 근무하는 인턴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채혈기기를 사용하기 전, 후에 혈액배양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서면으로 실시하였다. 첫 1주는 기존에 본인이 실시하던 혈액배양 방법대로 안전채혈기기 없이 실시하도록 했고, 안전채혈기기의 사용법에 대한 1시간 가량의 교육 후 2주 혹은 3주 동안 안전채혈기기를 사용하여 혈액배양을 하도록 하였다. 안전채혈기기 사용 전, 후로 혈액배양의 질지표인 접종량, 양성률, 오염률 등 검사실 자료들에 대해 비교하였다.결과: 안전채혈기기 사용 전 설문지는 인턴 18명과 응급실 간호사 30명으로 총 48명이 응답하였으며 사용 후 설문지는 인턴 18명과 혈액배양을 실시하는 전담 간호사 10명이 참여하여 총 28명이 응답하였다. 사용 전 설문지에서 인턴은 간호사에 비해 찔림 사고(27.8% vs. 13.3%)와 주사기 사용 비율(88.9% vs. 53.3%)이 높았으며 진공채혈관 사용율(38.9% vs. 60.0%)은 낮았다. 인턴은 간호사에 비해 안전채혈기기를 선호하였다(88.9% vs. 40.0%). 연구 기간 동안의 혈액배양 건수는 총 9,053건으로 이 중 안전채혈기기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고 표시되었던 혈액배양 건수는 555건이었다. Epicenter에서 모니터링한 응급실 전체의 혈액배양 호기병의 혈액양은 2.6±2.1 mL이었고, 안전채혈기기를 사용한 혈액배양 혈액양은 호기병에서 5.0±3.0 mL, 혐기병에서 6.0±3.0 mL였다. 전체의 혈액배양 양성률과 오염률은 6.2%와 0.3%였으며 안전채혈기기를 사용한 혈액 배양 중에서는 6.5%와 0.72%였다. 결론: 의료인의 혈액배양 안전 술기와 성능향상을 위해 Safety-Lok 도입이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설 편평세포암종의 예후 인자로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Drug-Activated Gene(NAG-1)의 발현

        장정현,윤현철,홍준표,강재정,송기재,전주현,최은창,김경수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7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0 No.8

        Background and Objectives:Our previous study showed that 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activated gene (NAG-1) induced apoptosis in tongue cancer cels. However, the NAG-1 expression in tongue cancer and normal tisues was not studi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NAG-1 in oral tongue cancer and normal tissues and to identify the as a valuable prognostic marker in tongue cancer. Subjects and Method:The medical records and pathologic reports of 42 tongue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as primary treatment were surveyed. Tongue cancer and normal tissues, which were obtained during the operation, were stained with anti-NAG-1 antibody using the immunohistochemical method and the H-score was calculated. Results:As a result, the higher expression of NAG-1 was observed in the cancer tissues than in the normal tissues. por prognosis. A 5-year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ases showing higher NAG-1 expresion in the cancer tissues than in the normal tisues. Conclusion:The higher NAG-1 expression in the cancer tissue suggests malignant changes in cancer tisue and poor prognosis. Therefore, NAG-1 may be a useful prognostic marker in tongue squamous cel carcinoma.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7 ;50 :677-83)

      • KCI등재
      • KCI등재

        A Case of Refractory Thrombocytopenia with 5q Deletion: Myelodysplastic Syndrome Mimicking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장정현,박찬정,서을주,이정희,박상혁,조영욱,장성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4 No.6

        Refractory thrombocytopenia (RT), classified by the WHO as a subtype of refractory cytopenia with unilineage dysplasia, is an unusual MDS subtype that initially presents as chronic pure thrombocytopenia [1]. RT is often misdiagnosed as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becausethe dysplasiain ITP is indistinguishable from that in RT [2].

      • 비타민 A와 $\beta$-Carotene의 급여가 에탄올을 급성 투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장정현,양경미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식품산업과 영양 Vol.7 No.3

        본 연구는 retinyl acetate와 $\beta$-carotene보충식이가 에탄올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흰쥐에게 비타민 A와 $\beta$-carotene을 보충한 식이를 5주간 급여한 후 에탄올을 급성으로 투여하여 혈청과 간 조직에서 생성되는 지질과 지질과산화물 함량 그리고 glucose-6-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체중 증가량은 전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없이 실험 기간 동안 증가되었으며 사료섭취량과 식이효율을 그리고 간 중량 역시 각 군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과 retinyl acetate 보충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총 콜레스테를 함량은 대조군과 $\beta$-carotene 보충군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낸 반면 retinyl acetate 보충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retinyl acetate 보충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동맥경화지수는 전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retinyl acetate 보충군에서 가장 낮았다. 간 마이크로솜 내에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재도군에 비하여 $\beta$-carotene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Retinyl acetate와 $\beta$-carotene 보충군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급성적인 에탄올 투여시에 $\beta$-carotene의 보충 급여가 지질과산화반응에 방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중의 glucose-6-phosphatase 활성도는 비타민을 정상적으로 공급시킨 대조군이 retinyl acetate나 B-carotene 보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etinyl acetat와 B-carotene 보충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재생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Carboxymethylcellulose(CMC)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장정현,박귀남,박진원,신재균,梶內俊夫,新屋義經 한국공업화학회 2002 응용화학 Vol.6 No.2

        Carboxymethylcellulose, which is water soluble at room temperature, was manufactured from the cellulose material in this study. Experimental parameter included reaction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of NaOH and trichloroacetic acid. CMC was tested for solubility, degree of substitution, and tensile strength. CMC manufactured from viscose rayon was affected by the chemical concentration rather than the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Also, DS is closely related to the solubility of the CMC.

      • KCI등재

        의약품 처방 데이터 기반의 지역별 예상 환자수 및 위험도 예측

        장정현,김영재,최종혁,김창수,나스리디노프 아지즈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8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1 No.2

        Recently, big data has been growing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medical field, big data is utilize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patient-customized medical care, disease management and disease prediction. In Korea, 'National Health Alarm Service' is provid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owever, the prediction model has a problem of short-term prediction within 3 days and unreliability of social data used in prediction mode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disease prediction model using medicine prescription data generated from actual patients. This model predic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and the risk of disease in each region and uses the ARIMA model for long-term predictions.

      • SCOPUSKCI등재

        비타민 A와 β-Carotene의 급여가 에탄올의 급성 투여에 의한 흰쥐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장정현,양경미,서정숙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에탄올 투여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하여 비타민 A의 보충급여 영향을 조사하고자 흰쥐에게 AIN-76 요구량에 2배 수준으로 retinyl acetate와 $\beta$-carotene을 보충한 식이를 5주간 급여한 후 20% 에탄올 용액(3g/kg B.W)을 급성으로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그런 다음 간조직에서 생성되는 지질과산 화물 함량, 간조직에서의 관련 효소활성도와 항산화비타민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조직에서의 지질과 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beta$-carotene 공급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retinyl acetate 공급군과 $\beta$-carotene 공급군 사이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retinyl acetate 공급군이 높았고, catalase 활성과 GSH-Px 활성은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GST 활성은 에탄올만을 투영한 대조군에 비해 retinyl acetate와 $\beta$-carotene을 공급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내 retinol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retinyl acetate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에탄올 급여로 인한 간조직 비타민 A의 소모를 retinyl acetate의 급여로 인해 완화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혈청에서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내 $\alpha$-tocopherol의 함량은 retinyl acetate와 $\beta$-carotene 공급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금성적인 에탄올의 투여에 대해 retinyl acetate나 $\beta$-carotene을 보충 급여한 경우 항산화효소계 중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이 유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표적인 항산화비타민으로 알려진 $\alpha$-tocopherol의 간조직 내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A or $\beta$-carotene on oxidative damage induced by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Sprague-Dawley rats were fed on th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retinyl acetate (2.86 mg/kg diet) or $\beta$-carotene (15.2 mg/kg diet) for 5 weeks. After fed the diet, rats were administered 20% ethanol solution (3g/kg B.W.) acutely. Lipid peroxide values in hepatic tissue,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contents of antioxidative nutrient such as vitamins A and E in serum and hepatic tissue were measured. Hepatic level of malondialdehyde decreased in $\beta$-caroten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tinal acetate and $\beta$-carotene groups.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higher in retinal acetat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epatic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y of retinal acetate and $\beta$-carotene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The hepatic content of retinol increased in retinal acetate and $\beta$-carotene groups, especially, in retinyl acetat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content of retinol among the groups. Hepatic content of $\alpha$-tocophe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tinyl acetate and $\beta$-carotene groups. In conclusion,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might induce lipid peroxidation, and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retinyl acetate or $\beta$-carotene improve partly the antioxidative system through activ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and retention of hepatic $\alpha$-tocopherol in ethanol-treated rats.

      • KCI등재

        Noninvasive Detection of Specific Diagnostic Biomarkers for Atopic Dermatitis

        장정현 대한의생명과학회 2019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25 No.1

        The diagnosis of atopic dermatitis (AD) includes a test that checks allergen-mediated skin reactions and a method of measuring the total IgE and allergen-specific IgE in blood. However, these test methods are performed directly on the patient, which cause some pain or discomfort. In addition, the skin response test or IgE may result in false negative in about 20% of patients. In the present study, to identify specific biomarkers, HaCaT cells were used as a human keratinocyte that make up the skin, were treated IL-4 and IL-13 for 24 hours to induce a situation similar to keratinocytes in AD patients. In the HaCaT cells, pro-inflammatory cytokine such as IL-5, IL-6, and MCP-1 were increased by IL-4 and IL-13 and skin barrier proteins was reduced by IL-4 and L-13. This results showed that a situation similar to the stratum corneum of an actual patient is induced in HaCaT cells. And then the secretions of Kallikrein (KLK) 5 and KLK7 protease were check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t was specifically increased by IL-4 and IL-13. This showed that AD-related protease can be detected at the protein level using keratinocytes that can be taken in a non-invasive manner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AD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