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부부의 건강 삶의 질 모형에 대한 다집단 분석

        장윤경 한국거버넌스학회 201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0 No.1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QOL) of multicultural couples, and proposed basic materials required for improving the health conditions of them. As such,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 this study established a HQOL model by deriving predisposing factor, enabling factor, need factor and health behavior factors that reflect the vulnerabilities of multicultural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2 spouses of multicultural couples (211 couples) in the City of Gwangju and the Jeolla Nam-Do region (South Jeolla Province in Kore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PC 16.0, and, through AMOS 16.0, the analysis of multi-group analysis for verifying the dyadic differences of multicultural couple’s HQOL model were performed. Multicultural couple’s fit index for the HQOL model was acceptable. Based on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dyadic differences for the HQOL model, the two groups’ configural invariance was established, however, it was learned that, because the metric invariance was rejected, the structure models of the husband and wife that affect the HQOL were not found to be simil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improving the HQOL of multicultural couples, it is suggested that dyadic–level programs with considerations given to the difference of couples be developed, and also suggested is the need for studies that analyze the effects. 본 연구는 다문화 부부의 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복합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다문화 부부의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다문화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문화 부부의 건강 삶의 질 모형의 부부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부부의 건강 삶의 질 모형의 적합도는 수용가능 하였으며, 건강 삶의 질 모형에 대한 부부 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다집단 분석 결과, 두 집단의 형태동일성은 성립되었으나, 측정 동일성이 기각되어 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부인과 남편의 구조 모형이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다문화 부부의 건강 삶의 질 영향요인을 부부단위에서 살펴 본 연구이며, 다문화 부부의 건강 삶의 질 구조에는 부부 간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다문화 가족의 정책을 개발함에 있어 부부간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며, 후속 연구를 통해 다문화 부부의 건강 삶의 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COVID-19와 건선

        장윤경,석승휘,김동현 대한건선학회 2020 대한건선학회지 Vol.17 No.1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aused by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 2) virus,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since December 2019. Most of COVID-19 patients exhibit mild-to-moderate symptoms and recover without sequelae, however some patients progress to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r multiple organ failure,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Psoriasis is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represented by innate and adaptive immune dysregulation, which is targeted by immunomodulatory therapies. There is uncertainty concerning the outcome of COVID-19 infection in psoriasis patients who are receiving conventional immunosuppressive medications or biologic therapies. In this review, we will discuss about what dermatologists need to aware of and what we can help patients as dermatologists.

      • KCI등재

        공간 데이터의 분포를 고려한공간 엔트로피 기반의 의사결정 트리 기법

        장윤경,유병섭,이동욱,조숙경,배해영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3 No.7

        Decision trees are mainly used for the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in data mining. The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hoods are very important when conducting classification for spatial data mining in the real world. Spatial decision trees in previous works have been designed for reflecting spatial data characteristic by rating Euclidean distance. But it only explains the distance of objects in spatial dimension so that it is hard to represent the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and their relationships. This paper proposes a decision tree based on spatial entropy that represents the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with the dispersion and dissimilarity. The dispersion presents the distribution of spatial objects within the belonged class. And dissimilarity indicates the distribu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classes. The rate of dispersion by dissimilarity presents that how related spatial distribution and classified data with non-spatial attributes are. Our experiment evaluates accuracy and building time of a decision tree as compared to previous methods. We achieve an improvement in performance by about 18%, 11%, respectively. 의사결정 트리는 데이터 마이닝의 분류와 예측 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실생활에서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분류를 수행할 때에는 인접 데이터의 위치와 분산도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공간 의사결정 트리는 데이터의 공간적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각 객체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비율을 엔트로피로 반영하여 트리 구축 시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공간 객체간의 거리 비율만을 설명할 뿐 공간 차원에서의 데이터 분산 정도와 각 분류된 클래스간의 연관관계 등은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도와 차별도 기반의 공간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의 분포도를 반영하는 공간 의사결정 트리를 제안한다. 분산도는 분류된 클래스 내의 공간 객체 분포도를 나타내고 차별도는 다른 클래스 내 공간 객체와의 분포도 및 관계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산도와 차별도의 비율을 엔트로피 계산 시 이용함으로써 비공간적 속성으로 분류된 각 클래스가 공간적으로는 얼마나 뚜렷하게 분류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제안 기법은 정확성과 계산 비용에 있어서 기존 기법보다 각각 약 18%, 11%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KCI등재

        疑代非疑用法的用考察

        장윤경 한국중어중문학회 2006 中語中文學 Vol.38 No.-

        疑問代詞라 함은 의문을 표시하는 대사로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의문을 표시하는 형식(特指疑問句)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쓰였던 의문문의 형식 중 하나이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의문대사들의 의미변화에 따라 다양한 비의문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문대사의 비의문용법을 심도깊게 분석하기 위해 화용론적 접근법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즉 의문대사가 비의문용법으로 쓰일때, “預設” “疑問域” “焦點”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으며 의문대사의 비의문용법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묘사와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Plasma Fibroblast Growth Factor 23 Concentration Is Associated with Intracranial Cerebral Atherosclerosis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장윤경,김진권,우호걸,류동열,오형중,송태진 대한신경과학회 2020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16 No.1

        Background and Purpose Fibroblast growth factor 23 (FGF23) is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via nitric-oxide-associated endothelial dysfunction and calcium-phosphate-related bone mineraliz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the plasma FGF23 concentration with intracranial cerebral atherosclerosis (ICAS) and extracranial cerebral atherosclerosis (ECAS).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262 first-ever ischemic stroke patients in whom brain magnetic resonance was performed and a blood sample acquired within 24 h after admission. Plasma FGF23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presence of ICAS or ECAS was defined as a ≥50% decrease in arterial diameter i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The burden of cerebral atherosclerosis was calculated by adding the total number of vessels defined as ICAS or ECAS. Results Our study population included 152 (58.0%) males. The mean age was 64.7 years, and the plasma FGF23 concentration was 347.5±549.6 pg/mL (mean±SD). ICAS only, ECAS only, and both ICAS and ECAS were present in 31.2% (n=82), 4.9% (n=13), and 6.8% (n=18) of the subjects, respectively. In multivariate binary and ordinal logistic analyses, after adjusting for sex, age, and variables for which p<0.1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 plasma FGF23 concentration (per 100 pg/m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ICAS [odds ratio (OR)=1.07, 95% CI=1.00–1.15, p=0.039], burden of ICAS (OR=1.09, 95% CI=1.04–1.15, p=0.001), and burden of ECAS (OR=1.06, 95% CI=1.00–1.12, p=0.038),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ECAS (OR=1.05, 95% CI=0.99–1.12, p=0.073). Conclusions The plasma FGF23 may be a potential biomarker for cerebral atherosclerosis, particularly the presence and burden of ICAS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