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블레이드 형상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 축류 수차의 유동특성 및 구조적 안전성 연구

        장승수(Seungsoo Jang),제영완(Yeong Wan Je),김명우(Myung Woo Kim),김윤제(Youn-Jea Kim)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5 No.7

        본 연구에서는 유동해석을 통해 마이크로 축류 수차의 블레이드 형상 변화에 따른 유동특성을 연구하였다. 첫째, 평평한 블레이드 형상과 NACA 하이드로포일 형상을 적용한 모델을 비교하였는데, 후자가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둘째, NACA 하이드로포일 모델의 두께에 대한 영향성을 고찰하였는데,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출력 및 낙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블레이드 압력면 앞전 부근의 역압력구배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후, NACA 하이드로포일 모델에 대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해 단방향 유체-구조 연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전단 변형 에너지설에 입각한 항복안전계수 및 수정 Goodman 식을 이용한 피로안전계수 계산 결과,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무한수명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유량의 탈설계점에서는 안전계수가 감소하여 무한수명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micro axial turbine were studied via flow analysis according to the blade configurations. First, flat and NACA hydrofoils were compared, and the latter was observed to have better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s of blade thickness of the NACA hydrofoil were evaluated, and the output power and head tended to increase as the blade thickness increased; this observation was related to the variations in the effects of the adverse pressure gradients in the vicinity of the pressure-side leading edge. Thereafter, a one-way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NACA hydrofoil model. The calculations of the yield safety factor based on the distortion energy theory and fatigue safety factor using a modified Goodman equation show that the material is structurally safe and has an infinite lifespan. However, at the off-design points of the high flow rate, the risk of fatigue failure increases as the fatigue safety factor decreases.

      • 소형 CRLH Metamaterial 전송선을 이용한 이중대역 브랜치 선로 결합기의 설계 및 제작

        장승구(Seung-Goo Jang),류재종(Jae-Jong Ryu),이우성(Wu-Seong Lee),문연관(Yeon-Kwan Moon),김하철(Ha-Chul Kim),최현철(Hyun-Chul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1

        In this paper, a design procedure of compact composite right/left handed(CRLH) transmission line is proposed. conventional RH transmission line consists of lumped elements and microstrip line, in the suggested design procedure. It is implemented in a dual band branch line coupler. A size of the dual band branch line coupler using compact CRLH transmission line has been reduced by 19.7% from a dual band branch line coupler using conventional CRLH transmission line.

      • 안전한 IPTV 서비스를 위한 멀티캐스트 DRM 시스템의 인증 기법에 관한 연구

        장승재(Seungjae Jang),전상엽(Sangyeob Jeon),이영구(Younggu Lee),전문석(Moonseog Jun)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D

        IPTV 서비스를 위한 멀티 캐스트 DRM 시스템은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하여 그룹키나 채널키가 유출될 경우 불법적인 방송시청을 방지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멀티캐스트 DRM 시스템에서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하여 키가 유출될 경우 사용자 아이디와 디바이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디바이스를 인증하고 현재 채널번호에서 얻은 그룹 번호와 사용자가 가입된 그룹 번호를 비교하여 채널에 대한 인증을 제안함으로써 기존 CAS의 문제점인 단방향 통신을 해결, IPTV의 잠정인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였고,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채널을 이용한 두 가지 요소 인증으로 안전성을 향상 시켰다.

      • KCI등재

        직장인 음주행위와 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장승옥(Jang Seung-Ock)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variety of drinking indicators and self-reported work performance. Data from a cross-sectional mailed survey analyzed 2,645 workers who drank at least once during the past year. Employees were asked about frequency of drinking, frequency of excessive drinking, alcohol abuse from the CAGE, and work performance measured through a series of questions about work problems during the prior year. The number of times respondents experienced work performance problems was regressed on the drinking measures, a variet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rinking culture in their workplace. The frequency of self-reported work performance problems increased, generally, with all three drinking measures which were also related to sex, age, occupation and drinking culture. Alcohol abuse and the frequency of excessive drinking were the stronger indicators of work performance problems, and drinking culture in workplace and demographic factors were moderat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problem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employers should develop clear policies limiting drinking on the job and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for enhancing bonding between co-workers without excessive drinking. Workplace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aim at informing all employe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work performance as well as the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and interpersonal areas.

      • KCI등재

        성별과 직장 규모, 직위에 따른 근로자 음주행위에 관한 연구

        장승옥(Seung Ock Ja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7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rinking behavior among workers based on gender, size of company and position in the workplace. The survey of workers employed m Seoul, In-cheon, and Kyungki-do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91.6% were reported as the current drinkers, 73.5% of subjects reported that frequency of drinking were twice per month to three times per week. 26.7% of worker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the binge drinker and about 40% of drinkers have experienced lowered job performance due to the hangover. Drinking behaviors such as the frequency of the drinking, binge drinking, and hangover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gender, size of company and position in the workpl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der and position in workplace should be considered for alcohol related problem prevention and especially the higher position in big companies should be the primary concern.

      • KCI등재
      • 기획논문 : 상주지역 퇴계학파(退溪學派)의 학문과 사상 ;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철학과 경세론

        장승구 ( Seung Koo J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우복 정경세(1563-1633)는 서애 류성룡의 수제자로서 퇴계의 再傳 제자에 속한다. 그는 상주 출신의 남인으로서 서애의 뒤를 이어 중앙정계에서 활발한 관직생활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높은 권위를 유지하며 17세기 초반 영남 학계를 대변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는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등으로 국난이 지속되던 가장 어려운 시기에 관직생활을 하였다. 우복은 서애로부터 퇴계의 『주자서절요』를 물려받아서 간행함으로써 퇴계학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주자대전』 가운데 중요한 글을 선택하고 모아서 『주문작해』를 편저함으로써 『주자서절요』의 한계를 보완하고 주자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우복은 학통상 퇴계학파에 속하는데 일부에서 그의 리가설은 율곡설을 지지하는 것처럼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존 『우복집』을 분석해보면 그의 철학은 기본적으로 퇴계학파의 입장을 지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리기설에 있어서 리와 기의 일물설을 비판하고, 리와 기의 차이점을 구분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격물과 물격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도 퇴계의 理到學을 계승하여, 格物을 손님을 청하는 것으로 物格을 손님이 오는 것으로 비유하고 있다. 사단칠정론에 있어서는 사단을 칠정의 일부로 보지 않고, 양자를 구분해서 보려는 입장이다. 칠정도 형기가 아니라 성명에서 나오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성인의 경우에 가능하고 일반인들에게는 어렵다고 인식한다. 공부론에 있어서는 存養은 靜時의 공부만이 아니라, 靜時와 動時를 겸한 統體 공부라고 인식한다. 공부는 성인의 경서에 대한 세밀한 학문적 탐구의 과정을 거쳐서 높은 단계의 정신 경지를 지향해야지, 그러한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깨달음을 추구하는 것은 안 된다고 여겼다. 우복은 선조대부터 시작하여 광해군을 거쳐 인조대까지 벼슬을 하였다. 그 중 광해군 때에는 시련이 많았고 낙향하여 은거하기도 하였으나 인조대에는 중용되어 대제학·대사헌·이조판서 등의 고위직을 역임하였다. 특히 우복은 선조대부터 경연관으로 명성을 날렸으며, 인조대에는 8년에 걸쳐 장기간 경연에서 경서를 강의하면서 국정을 논하는 기회를 가졌다. 우복의 경세론은 그가 올린 상소문과 경연강의를 통해서 살펴볼 수가 있다. 광해군에게 올린 상소를 보면 우복은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 왕실이) 절검을 해야 하고, 인재의 선발과 등용이 공정해야 하며, 군주의 일심을 바르게 하기 위한 수양과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조가 반정에 성공하고 나서 올린 『弘文館 八條箚」에서는 ``큰 뜻을 세울 것``, ``성학에 힘쓸 것``, ``종통을 중시할 것``, ``효와 경을 다할 것``, ``간쟁을 받아들일 것``, ``보고 듣는 것을 올바른 계통을 통해서 할 것``, ``궁궐의 법도를 지킬 것``, ``백성들의 인심을 안정시킬 것`` 등을 건의하였다. 정묘호란을 겪고 나서 올린 『玉堂論時務箚』에서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는 총포가 중요함을 강조하고, 총포 사수 1만 명을 양성하고, 조총 1만 정을 구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우복은 예론에서는 명분과 실제를 조화시키려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교육에 필요한 예절과 관련하여 『養正篇』을 편저하였으며, 고금의 상례를 모아서 『喪禮參考』를 지으려 했으나 완성하지 못했고, 禮記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 『思問錄』을 저술하였다. 요컨대 우복은 17세기 초반 예학 및 성리학 발전에 기여한 학자이면서, 동시에 생리학적 철학과 경세론을 실천으로 옮긴 모법적 관료이자, 민본주의적인 경세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서인 학자와의 교류를 통해서 퇴계학을 서인에게 이해시키려고 노력하는 등 학문적 교류와 소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Ubok(愚伏) Chung Kyung-se(鄭經世, 1563-1633) was a prominent official and scholar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He was a leading disciple of Ryu Sung-ryong, whose mentor was Toegye Lee Hwang. Ubok represented the scholarly and political position of Nam-in(南人, Southern fact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ilosophy and Politics of Ubok Chung Kyung-se. In Li(理)-Qi(氣) philosophy, Ubok basically follows the philosophical theory of Toegye. According to Ubok, Li can not be one thing with Qi. The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Li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material nature of Qi. In regard to the meaning of Gyeokmul(格物) and Mulgyeok(物格), he explains it as follows. If one investigates the principles of things, the principles of things arrive at one`s mind. This can be compared to inviting a guest. If one invites a guest, then the guest comes. Ubok recognizes the active aspect of Li. Regarding the way of self cultivation, the specific course of classical study is an essential step to attain the noble spirituality of the sage. With regard to politics, Ubok thinks the self-cultivation of ruler is most basic and important for good government. Preserving ruler`s mind and scholarly learning are two essential ways to self cultivation. Besides self cultivation, he emphasizes the financial retrenchment and just personnel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Li-Qi philosophy, Ubok had much interest in the ritual. In line with Kim Jang-saeng, he had led the era of ritual study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practice of ritual, Ubok pursued the harmony between ritual norms and current customs. Ubok communicated with scholars from opposite school. Through academic exchange with Seo-in (西人, Western faction) scholars. Ubok made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cholarly position of other school and to explain his school`s theory of New-Confucianism toward Seo-in. Ubok not only have developed Korean Neo-Confucianism, but also have played the exemplar role of Neo-Confucian official.

      • KCI등재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청소년 도박 키워드 분석

        장승옥 ( Seungock Ja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청소년 도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2018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의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는 첫째, 가장 많이 도출된 단어는 온라인도박, 게임중독, 예방교육, 확률형아이템,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도박 키워드 중심성 분석에서 코로나 전후 공통적으로 예방교육, 인터넷, 스마트폰, 게임중독은 중요한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며, 연결중심성, 위세중심성, 매개중심성 키워드는 코로나19 전후로 변화가 있었다. 셋째, CONCOR 분석결과 청소년들의 도박관련 현안, 도박 노출 경로와 개입방법, 동반되는 청소년 문제행동, 그리고 온라인(모바일) 게임 도박이라는 적정한 군집 4개가 도출되었다. 결론 및 제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학교중심의 개입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al awareness of youth gambling problems and to suggest effective intervention plans. Text mining and CONCOR analysis were administered using social big data collected from January 2018 to September 2022.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derived words were online gambling, gam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random game item, and Korea Problem Gambling Agency in order. Second, in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of youth gambling keywords, prevention education, internet, smartphone, and game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but there was a change in the keywords of connection centrality, prestige centrality, and intermediary centrality before and after COVID-19. Thir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four appropriate clusters were derived: gambling-related issues of adolescents, gambling exposure pathways and interventions, accompanying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and online (mobile) game gambling. Based on these results, school-based interventions that could protect adolescent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