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방법과 아바타 익명성이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및 공존감에 미치는 영향: 설계기반 연구

        임태형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s and avatar anonymity on students’ social presence and copresence in metaverse-based online classes through a design-based research approach.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address spatiality and the avatar,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compared to video conferencing tools.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s (lecture vs. discussion) on social presence and copresence, and a total of 35 students from two classes (19 lecture vs. 16 discuss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purpose of Study 2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vatar anonymity (real name character vs. anonymous character) on social presence and copresence. Eight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non-parametric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pres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which the anonymity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presence than the real name group. This indicated that the anonymity and virtuality of the character determined the positive results related to student interactions. Implications for design factors to enhance social presence and copresence in the metaverse-based class environment are suggested.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repor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설계기반 연구 접근법을 통해 메타버스 기반 수업에서 수업 방법과 아바타 익명성이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과 공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메타버스가 기존 화상회의 방식 대비 갖는 특장점인 공간성과 아바타 요인을 고려하여 연구 1과 연구 2를 진행하였다. 연구 1은 공유된 공간성을 고려하여 수업 방법(강의식 vs. 토론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과 공존감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강의식 19명, 토론식 16명으로 구성된 두 분반의 참여자 35명을 대상으로 두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수업 방법에 따라서 사회적 실재감과 공존감에 차이가 없었다. 연구 2에서는 아바타 익명성(실명 캐릭터 vs. 익명 캐릭터)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과 공존감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단일 분반 8명을 대상으로 비모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익명 캐릭터 조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익명 캐릭터가 갖는 익명성과 가상성이 학습자 상호작용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 수업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공존감 증진을 위한 설계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을 보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 진로교육의 쟁점, 발전방향,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등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의견을 중심으로

        임태형,류지헌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New Horizons of Educational Research Vol.1 No.1

        우리나라 중등 진로교육은 201년 진로진학상담교사 중등교원 자격 신설과 2015년「진로교육법」제정을 거쳐 약 1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동안 중등교육 현장의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은 우리나라 진로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향에 대해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 연구는 현재 진로교육의 문제점, 발전방향, 그리고 구성원의 역할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의 중등 진로교육전문가 16인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구진은 질적분석 방법인 주제분석을 통해 문제인식, 발전방향,역할도출이라는 범주에 따라 다양한 주제들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문제인식으로는 진로교육의 목표, 진로교사, 학교 및 사회제도, 학부모, 학생 본인의 다양한 문제들이 발견되었다. 교육내용의 발전방향으로는 융복합역량, 진로유연성, 인성, 기업가정신을 제시하였고, 교육방법의 발전방향으로는 에듀테크 활용 및 AR/VR활용 교육을 언급하였다. 역할도출 측면에서는 학교현장과 진로교사, 대학 및 지자체로 구분하여 다양한 역할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발전과 지역 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위해 학교-대학-지자체 연계 발전방향을 모색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메타버스 학습환경에서 동료아바타 상호작용과 스크린의 시야각이 가상실재감 및 정서적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임태형,탁연주,류지헌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avatars in the metaverse space and the effect of immersive screens on learners' virtual reality and emotional state. Social interaction by avatars can directly affect the use experienc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if it is a learning environment to which social interaction is applied, the level of perception or emotional intervention in a metaverse-based virtual space may vary.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confirm how much deeper learners interact by making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spatial structure to implement the metaverse high.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nteracts with fellow avatars (yes vs. None) and tried to measure what changes occur according to the level of immersion of the screen as variables in the group.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virtual reality and emotional analysis. Virtual reality refers to the user's level of perception of virtual space, and here, 1) spatial reality, 2) immersion, and 3) reality sub-gain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emotional analysis attemp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1) emotional participation and 2) emotional participation. A total of 42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randomly mad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interaction with fellow avatars was set as a factor between subjects, and the immersive screen level was set as an in-subject factor to perform a two-way multivariate analysis according to repetitive trea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ovision of social interac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learner's virtual rea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emotional participation or emotion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 KCI등재

        대학 학습자들의 메타버스 기반 수업 이용의도에 대한 요인 예측: 하이브리드 SEM-ANN 접근법

        임태형,정유선,류지헌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3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in university courses. To analyze their predictive power, we employed a hybrid approach combin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The 238 university student participants, all of whom had taken metaverse-based online classes, completed a survey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 to assess their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predi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were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This study has two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introduces a hybrid SEM-ANN analysis method for identifying predictive factors; second, it identifies the key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o use the metaverse for university courses.

      • KCI등재
      • KCI등재

        A FRAM-based Case Study on Leakage Accidents in Cathod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임태형,신승현,원정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13 No.10

        In this study,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ccident prevention functions targeting leakage accidents in cathod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were analyzed using the FRAM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 method. 17 system functions of accident prevention were derived from the target accidents. Each function was connected and developed into six aspects such as input, output, prerequisites, resources, control, and time. And, the causes of leakage accidents in complex interactions were analyzed in detail. Results showed that the complex interaction and ripple effects of functional variability were analyzed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unlike the existing root cause analysis (RCA) that deals with simple cause-effect relationships. Specific response plans were derived, including systematic management of operation plans, continuous monitoring of facilities, and strengthening of worker training and information sharing mechanisms. The FRAM method confirmed that it can serve as an effective tool for accident prevention in considered new chemical processe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tool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human casualties, property damage, and environmental accidents in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 KCI등재

        MPLS 네트워크에서 PMIP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안

        임태형,이성근,박진우,Lim, Tae-Hyong,Lee, Sung-Kuen,Park, Jin-Woo 한국전기전자학회 200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3 No.4

        IETF에서 제안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Proxy Mobile IP는 이동 단말이 아닌 LMA(Local Mobility Anchor)와 MAG(Mobile Access Gateway)등의 네트워크 요소가 이동성 지원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식인 MIP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MIP보다 향상된 핸드오버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PMIP은 MIP와 마찬가지로 IP의 Best Effort Service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QoS를 보장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MPLS 네트워크에서 PMIP기반의 이동성 지원 기술을 적용하여 이동성과 QoS의 보장을 모두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조 및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Proxy Mobile IP in IETF is a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to solve the problem of host-ba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Mobile IP. PMIP shows the better performance in the aspect of mobility, but PMIP, as a legacy of Mobile IP based on "best effort service", lacks of consideration of QoS. In this thesis, a novel mobility support scheme is proposed for mobility and QoS support based on PMIP in MPLS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