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의 지형학과 동백림 사건의 문화정치

        임유경 ( Lim Yu Kyung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2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that oc-curred in 19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incident and examine its cultural-political meaning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a fact-finding repor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By studying diplomatic documents of the Korean Government, statements of the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and articles of the press as well as records of people who were involved in the incident, this paper identifies several issues which should be discussed more intricately. In the second chapter, I look into the cultural-political meanings of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ld War. The incident shows the rapid changes that took place in Korean society and the strained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late 1960s. This incident is worthy of notice because it illustrates the way the two different systems represented in South and North Korea accepted the Cold War in different ways. A hot war atmosphere can be detected in the midst of the in-ternational Cold War. The two different systems in the Korean Peninsula started to break “the balance of terror” form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late 1960s when the Cold War was multipolarized. South and North Korea attempted to shift the re-gime in what could be considered a retrograde movement for what would the atmosphere of international detente in the early 1970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is incident reveals the locality of the Cold War. In the third chapter, I examine the cultural-political meaning of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in the context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anticommunist system.” According to Heinlich Hanover, who was a lawyer of Isang Yun, this incident compelled people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free world`s governments, which were caught up in anti-communism during the 1960s. This incident clearly shows a series of processes by which the Park Chung-Hee regime used anticommunist ideology to spread the effects of power all over the country. In this chapter, I discuss how anticommunism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s of “normality of order” and “specificity of Korea” in the 1960s by dealing with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I also analyze notes from the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which were at the center of this incident. This incident reveals the process by which the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turned into an administrative technocrat under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1960s. Finally, in the forth chapter, I examin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the East Berlin North Korean Spy Ring Incident and the ensuing cases related to the disturbing of the public peace in the late 1960s. Although these incidents occurred independently, they did not exist separatedly. Being recalled, arranged, and mediated in a specific frame, they took on the same meaning. The purpose of this chapter is to explore this mapping process and its important role in the militarization of the whole nation and fortification of the whole country. Specifically, I study the echo of “the duet of construction and national defense” in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60s and how the country developed under this condition. I al-so examine how the combination of construction and defense metaphorically expressed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became a medium for constructing a “solidarity of terror.”

      • KCI등재

        소련기행과 두 개의 유토피아 : 해방기 “새조선”의 이상과 북한의 미래

        임유경 ( Lim Yu-k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이 논문은 해방기 ‘소련기행’을 통해 당대 문학자들이 가졌던 “새조선”에 대한 구상과 이러한 세계가 갖는 유토피아적 성격, 아울러 여기에 투여된 그들의 정념과 이상에 관하여 논의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초창기 북한이 구상한 민족 국가의 ‘유토피아적 성격’이 어떻게 ‘파국의 이미지’를 동반하며 굴절되어 갔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이 논문은 해방기 한반도에서 물리적 영토의 재편과 더불어 ‘주체의 영토화’가 수행되었다는 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소련기행이라는 사건/ 텍스트가 갖는 의미를 재론하였다. 해방기 북한 문학자들의 소련기행을 논의함에 있어 포스트식민 상황이나 모더니티의 경험이라는 차원을 염두에 두는 가운데, 이 텍스트들이 어떻게 ‘정치적 상상’(political imaginary)의 재편에 관여하며 또한 이 상상을 통해 소련의 현재와 조선의 미래를 접속시켜나가고자 했는가를 논의해보려는 것이다. 해방기 ‘정치적 상상’의 재편을 통해 ‘냉전의 지정학’이 작동되던 방식과 정치적ㆍ제도적인 차원의 경계구성에 연동되어 심리적인 규율체계가 재정립되고 ‘존재-장소’에 대한 상상의 재편이 이루어지던 방식을 소련기행은 엿볼 수 있게 해줄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이 논문은 해방 직후 정치적ㆍ문화적 경계의 재편 속에 추진된 소련기행이 어떤 의미와 효과를 가졌는지에 관하여 재론하되, 논의를 1946년 당대에 국한하지 않고 최근의 북한사회에 이르기까지의 보다 넓은 시간적 맥락에 접속시켜보고자 했다. 이때 이음매 역할을 하는 것은 오랜 시간 북한에서 중요한 국가 이데올로기로 작동한 바 있는 두 개의 인식론적 기획, 즉 ‘사회주의적 기획’과 ‘민족적 기획’이다. 소련기행이 해방 직후 북한 사회가 모색한 인식론적 기획의 일단을 일찌감치 확인시켜주는 사례라는 점에 주목하여, 아울러 이러한 기획이 현재까지도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북한사회를 통시적으로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을 모색, 제시해보고자 한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논문은 그간의 소련기행 연구(사)를 보다 두텁게 하는 동시에, 북한(문학)연구의 다각화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문제틀을 모색해본다는 목적 하에 구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ravelogues of the Soviet Union written by North Korean litterateurs, who sought for planning a new world as the spirit of the times, to discuss the meaning of nation-state in post colonial context. Travelogues of the Soviet Union in the liberation period are significant texts for reflecting the perception and imagination on post colonial nation-state. Furthermore travelogues contribute productive perspectives for explorating political / cultural origins of North Korea. This article contains two main topics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ravelogues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political / cultural national planning in the liberation period, especial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1946. Second, it is inevitable to compare travelogues of North Korean litterateurs with travelogues written by other intellectuals for understanding the epistemological idea of litterateurs who planned travelogues of the Soviet Union. Travelogues of the Soviet Union reveals the meaning of political imagination of Korean litterateurs for New Chosun. Especially, those texts reveal how North Korean intellectuals utilized political vision imported from the Soviet Union to construct a socialist state and compete with South Korea. Travelogues have significance for providing symptomatic instances that how North Korean Society would mummify the utopian dreams which were invented through imitating the Soviet Union.

      • KCI등재

        1980년대 출판문화운동과 옥중기 출판 연구

        임유경 ( Yu Kyung L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9 No.-

        이 글은 1980년대 출판계의 이례적인 특성들 가운데에는 여전히 주목되거나 설명될 필요가 있는 것들이 많이 남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이 시기에 발생한 ‘옥중기출판 붐’ 현상에 관심을 기울이고자 한다. ‘옥중기 출판 붐’이 출판문화운동의 일환으로 불러일으켜진 것이자 한국사회의 중요한 변화들을 돌이켜보게 만든 하나의 사건으로 존재했음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 글은 1980년대의 격변하던 정치적 상황과 출판계 동향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 이른바 ‘옥중기 출판 붐’이 일게 된 구체적인 맥락들을 구성해보고자 한다. 한국에서 아직 본격화되지 못한 옥중기 연구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고 유관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글은 시론적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옥중기’는 억압받는 익명의 사람들에 대한 ‘지워져서는 안 될 기억들’과 대면하게 하고, 반공국가의 ‘불가촉대상들’에 다가서게 만드는 텍스트라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이 특수한 글은 문학적 글쓰기의 한 양식으로 고려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대사를 바라보는 눈’의 형성에 관여하는 사료로서의 가치도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옥중기가집필되고 출간되는 과정을 살피는 일은 책의 사회사를 써나가는 작업을 통해 당대의 지성사·문화사를 재구성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옥중기라는 대상과 그것에 관한 연구가 갖는 의미를 되비추고, 이를 통해 한국현대사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도 복합적인 이해를 갖는 일은, 쓰여지지 않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가산(加算)적 역사의 균질하고 공허한 시간을 조각내는 실천적·의식적 노동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fact that the “prison writing publishing boom” that happened in the 1980s was partly brought about by the publishing culture movement and was an event that made the South Koreans look back at the important changes that had occurred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o achieve this purpose, an attempt was made to reconstruct the detailed contexts of the prison writing publishing boom by reviewing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and the publishing trends in the 1980s. The prison writings in South Korea need to be dealt with and regarded as important because they will enable the people to face “the memories that should not be erased” of oppressed and anonymous people, and to approach the “untouchables” of the anti-communist country. These special writings can not only be considered a form of lit-erary writing but also have the value of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form “eyes looking at the contemporary history.” The significance of reviewing the diaries written in prison,their meanings, and the researches that have conducted on them lies in the fact that such endeavor can equip the South Koreans with a more extensive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s a practical and conscious effort to tear into the homogeneous and empty time of universal history by tracing the unwritten history.

      • KCI등재

        김소진 문학의 기원과 분단문학의 문화사적 전환

        임유경 ( Lim Yu-k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이 논문의 목적은 김소진 문학의 중요한 토대가 된 자전적 경험의 의미와 작가가 가졌던 글쓰기의 욕망을 탐문함으로써 그의 작품들이 자기 소설의 기원을 탐색하는 수행적 글쓰기이자 분단문학의 전환을 보여주는 한 징후로서 해석될 수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은 김소진의 소설과 산문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가가 아버지를 매개로 자신의 문학적 기원을 형성해나가던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 개인사적 맥락에서 소설 창작행위가 가졌던 의미를 살펴보는 한편, ‘분단문학’이라는 문학사적 흐름 속에서 김소진의 작품이 갖는 위상과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김소진의 작품들은 그가 당시 작가로서 대면하고 있던 창작상의 고민과 이를 둘러싸고 있던 문제적 상황들을 보여주는 알레고리로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그간 서로 다른 맥락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지던 김소진의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1990년대에 창작활동을 시작한 김소진은 ‘자전적 경험’(자전적 소설)과 ‘현장 취재’(취재형 소설)에 기반을 둔 작품들을 창작하며 그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형성해나간 바 있다. 이때 두 경향은 작가의 특정한 문제의식을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에 착목하여 김소진의 작품을 분석하는 일은 ‘기자’이면서 소설가가 되고자 했고, ‘소설가’로서 기자의 소임에 대해 생각했던 작가 김소진이 어떠한 문학적 지향에 기반을 두고 글쓰기를 지속해나갔는지를 규명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나아가 이는 김소진의 소설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분단문학의 계보 안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김소진의 출현이 문화사적 전환의 한 징후로서 독해될 수 있음을 논증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the creative methodology of realism, which have become the important foundation of Kim So-jin’s literature, to demonstrate that his works can be re-read as meta-fic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s on Kim So-jin’s novels and prose to explor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is literary origin through his father,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novel writing in his pers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nalyzes the importance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division literature. Kim So-jin’s works need to be reinterpreted as an allegory that shows the problems he faced as a novelist and various related situations. This attemp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Kim So-jin’s works, which were treated individually in different contexts. In other words, Kim So-jin, who started his career in the 1990s, has formed his own unique literary world by creating works based on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autobiographical fiction) and field work (journalistic fiction). In this manner, the two different trends we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in that they had a common reflection of the author’s literary interests. Analyzing Kim So-jin’s work on this basis will be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literary orientation of Kim So-jin as a journalist who wanted to become a novelist and also a novelist who thought about journalist’s rol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is attempt illuminates the literary meaning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division literatu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argue that Kim So-jin’s appearance can be read as a symptom of the transition of literary history in the 1990s.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소설과 기억의 정치학 -비전향장기수 주제를 중심으로-

        임유경 ( Yu Kyung Lim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4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pro-North Korea prisoners` and the process of its discourse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 projects being carried out regarding pro-North Korea prisoner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from the early 1990`s to the 2000`s may be a political and cultural search to overcome the internal crisis of its system. The stories of pro-North Korea prisoners, which narrate the memories of certain persons who were pro-North Korea prisoners, began to be conveyed to the public from the early 1990`s through mediums such as textbooks, magazines, newspapers, novels and movies. The issue began to be addressed officially through major news media. As the issue became framed in a specific way, only the discourse that the pro-North Korea prisoners were prisoners of war who should have been repatriated to the North within six months of the suspension of hostilities, and their repatriation was a matter of human conscience, ethics and morality that preceded politics came to be talked about and approved as the official discourse. If a certain context surrounding the issue of pro-North Korea prisoners was formed and fixed around the news being reported by the news media, then their stories were being conveyed through the form of memoirs. And the job of narrating memories through writings such as articles and memoirs reached its climax with novels with the theme of pro-North Korea prisoners. The novels with such themes, which began to be published in the 2000`s, are the crowning achievement of the North Korean novel of formation that paints the conscious and political development of a human being through the duet of suffering and growth, and they are also the narration of the repatriation of a hero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eleological depiction. The emphasis on the rules and the termination of the narration based on telos blocks the possibility of any differing memory or story from intruding, and contributes to obtaining certainty, stability, and unity. Also, because the story ends at the point where the hero, who has undergone a holy war, returns, in other words, as the narrative of suffering becomes subjugated to the teleological direction set toward growth(the repatriation), it produces the effect of the image of North Korea(Pyongyang) as a holy place being revealed or raised. Ultimately, the authors restructured others` memories and pasts into something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novels, a cultural reproduction device of memory, and as stories with similar patterns were written by them, a single narrative was produced and established which said, pro-North Korea prisoners are patriotic fighters of unification who are carrying their cross for the sole purpose of national unification, who have put on hold or sacrificed their many desires regarding their own happiness. The dozens of novels with the theme of pro-North Korea prisoners show that, when their stories are overwhelmed with the purposeful awareness of having to be reborn as a community of memories, the memories of individuals are continuously appropriated by the authors and can only meet the fate of being publicly owned by the anonymous populace. Moreover, the planning of novels with the theme of pro-North Korea prisoners is nothing much different from mobilization planning, and such large-scale political and cultural planning suggests that the selfconfinement tendency of the North Korean society will be difficult to change.

      • KCI등재

        특집논문 : 불가능한 명랑, 그 슬픔의 기원 -1960년대 안수길론

        임유경 ( Yu Kyung L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1960년대를 살아냈던 많은 문학자들은 자기를 관조하는 자기를 작품 에 등장시킴으로써 ``명랑의 불가능성``을 탐사하는 데 기꺼이 자신의 ``미천 한 용기``를 걸었다. 이 탐사가 용기를 필요로 했던 것은 ``명랑할 수 없음``이 곧 ``시대와의 불화``와 급속히 조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용 기는 직설적인 방식을 통해 발휘되기도 했지만, 많은 경우 한 걸음 떨어진 자리에서 발현되었다. 이 ``비켜선 자리``는 작가 자신의 말마따나 ``비겁함`` 으로 인해 비롯된 것이면서, 동시에 처해 있는 현실 속에서 그가 택할 수 있는, 정치적 공간을 개시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적 위치``이기도 했다. 이 글에서는 현실로부터 ``비켜 선 자리``에 자신이 서 있다고 생각한, 혹 은 그러하다고 평가받은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 가 하는 물음을, 리얼리스트라는 문학자로서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의식 하며 현실과 마주했던 안수길과 그의 작품들을 통해 탐색하고 구체화 해 보고자 했다. 안수길에게로 관심이 가닿았던 것은, 그의 어떤 소설 속 주 인공의 초라하고 비겁하고 꺼림칙해하는 모습과 ``도무지 명랑해지지 않는 다``는 고백이 유독 오래 잔상을 남겼기 때문이다. 그의 소설에서 ``명랑의 불가능성``은 단지 ``명랑할 수 없음``만이 아니라 ``명랑을 연출하는 것의 어려움``까지도 포함하고 있었다. 이것은 자기 안에 내재해 있는 불온한 심리 를 조심스럽게 예감하는 것, 나아가 시대와의 불화가 불가피함을 대면하 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여느 사람들처럼 자신의 삶을 명랑하게 기획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예감을 감당하는 것이기도 했다. 안수길은 1960년대 정치권력의 통치술에 대한 예감을 소설을 통해 표 출하는 데 꽤나 적극적인 작가였다. 그의 소설은 이철범의 표현을 빌리자 면 ``예민한 정치 감각``의 소산이자, 검열의 힘을 근거리에서 체감하며 그 자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작가 자신이 느꼈던 ``불온한 것에 대한 감 각``을 구현한 것이었다. 명랑의 불가능성이 규율 메커니즘에 길들여진 자 신을 다른 자기가 바라보는 순간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라 할 때, ``방관 자``(bystander)로 보일 수도 ``사열관(査閱官)``으로 보일 수도 있는 이 위치 에서 ``불가능한 명랑``을 인위의 힘으로 변형하지 않고 가장(假裝)하지 않 는 일, 그리고 작품의 미열을 보존하는 일, 안수길에게는 이것이 자신이 실현시킬 수 있는 ``시민윤리``의 최대치였다. courage` on exploring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by making an appearance of contemplative self in to their own works. These explorations needed a courage because the impossibility of being cheerful had to facing ``the disagreement with the epoch``. Hence, this courage was revealed often in some distant place of historical reality. It is reliable to regard escapism was appeared by ``cowardice`` in some sense, as the writer himself had confessed, but it is also important to evaluate these dispositions as the best ``methodological position`` to open political space that he could choose in the reality in which he was situated. How should we read the writers who chose to take a distant position from reality or who were evaluated to be so and their works? The basic critical viewpoint of this article is condensed in this question.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give shape to the aforesaid critical view through examining Ahn Soo-gil, who was constantly aware of his literal identity as a realist who was facing reality and his literary works. I was becoming interested in Ahn Soo-gil because a shabby, faint-hearted, and uncomfortable character of his novel and the confession of ``never becoming cheerful`` left afterimage especially for long. In his novel, ``the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includes not only ``inability to become cheerful`` but also ``difficulty of performing cheerfulness.`` This impossibility meant revealing inherent political rebellion of his own. Furthermore, this certain disagreement applied the inevitable confrontation to his own time so that the dissent of the writer could link to the premonition that he was not able to plan his cheerful life as ordinary people. Ahn Soo-gil was a writer who actively expressed his premonition about the ruling techniques of political power in the 1960s. His novel, in Lee Cheol-beom`s words, was a product of ``acute political sense.`` It also meant to give shape to the ``sense toward rebellious things`` which the writer himself felt who experienced the power of censorship at a close range and was not free from the magnetic field. If it is able to describe that the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was triggered when the other self looked at himself who was disciplined by regulation mechanism, Ahn soo-gil`s tendency not to disguise ``impossible cheerfulness`` with artificial power and tendency to preserve the mild fever of the works, could be revaluate as the most faithful ``citizen moral`` for the writer, who was situated in the position that could be seen either as ``bystander`` or as ``inspector``

      • KCI등재

        특집논문 : 일그러진 조국 -검역국가의 병리성과 간첩의 위상학

        임유경 ( Yu Kyung L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이 글은 해방 이후 한반도의 두 체제가 자기의 국가적 경계를 형성하는 데 ‘일본’과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매개하고 있었는지를 ‘재일조선인간첩사건’을 통해 추적해보고자 한다. 이는 두 체제의 적대적 공조에 의해 ‘재일조선인’이 ‘간첩’으로 정체화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면서, 남한정부가 탈식민과 냉전의 시간을 전유해가던 역사의 길목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칠 수밖에 없던 일본과 북한이라는 내밀한 ‘자기-타자’를 외부화시키던 방식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재일조선인 청년들이 모국 유학을 위해 현해탄을 건너오기 시작한 것은 60년대 중반 한일협정이 체결되고 나서부터였다. 그리고 1971년에 이르러 이들 유학생은 불미스러운 사건의 주인공이 되어 한국의 공론장에 등장했다. 서승 · 서준식 형제가 연루되었던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을 시작으로 한국사회에는 유사사건이 쉼 없이 터져 나왔으며, 이 시기의 사건들은 50 · 60년대에 비해 빈도수, 규모, 사회적 파장 등 여러 면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재일조선인’과 ‘간첩’ 사이의 하이픈을 구성하는 권력의 작업이 본격화되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한반도의 두 체제에 있어 ‘일본’이라는 대상(장소)이 다변적 의미를 가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즉, 박정희 정권하에서 내셔널리즘과 반공주의라는 복수의 해석 코드에 의해 ‘북한’-‘간첩’-‘재일조선인’-‘일본’이라는 항들이 연계되고 재배치되는 과정은 보다 면밀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냉전’(반공)이라는 필터가 한편으로는 ‘최상의 적’인 ‘북한’과 연계되어 있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소위 ‘심리적 적국’인 ‘일본’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점은 다른 동포들과는 차별화되는 재일조선인의 상황을 복기하게 만든다. 북한과 일본이라는 두 항에 매개됨으로써 재일조선인의 상황은 한층 더 복잡해졌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냉전의 시간’과 ‘탈식민의 시간’의 중첩으로 인해 빚어지던, 한 가족의 신체에 켜켜이 쌓여가던 ‘불가상성(不可想性)의 시간’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이 갖는 정치적 · 문화적 의미를 논고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맥락을 구성했다. 그중 첫 번째는 ‘두 개의 한국’에 의해 ‘재일조선인’이 국가적 관심의 대상으로 발견되는 과정을 맥락화하는 일이다. 해방 이후부터 사건이 발생하는 197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재일조선인에 관한 인식의 변화 추이와 이러한 변화를 추동한 중요 요인으로서의 체제경쟁에 대한 통시적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간첩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재일조선인 및 한일관계 연구를 보충하는 한편, 새롭고 유의미한 논의의 지점을 개시함으로써 기왕의 연구사적 시각을 한층 폭넓게 확장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어, 두 번째는 60년대 중반 이후 발생하기 시작하는 일련의 대규모 간첩단 사건들과의 관련 속에서 해당 사건의 의미를 검토하는 일이다.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은 한반도의 두 국가에 있어 ‘간첩의 위상학’이 더 논의되어야 할 주제임을 알려준다. 이 사건을 다른 간첩단 사건들과 겹쳐 읽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국민’과 ‘간첩’이라는 두 주체범주의 확장과 변이를 살필 수 있다는 것이고, 아울러 재일조선인이 ‘잠재적 간첩’으로 인식되었던 맥락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보다 넓은 역사적 지평에서 보자면,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냉전이데올로기에 의해 재편된 한반도와 그 이외의 지역들 간의 경계, 아울러 한반도 내부의 두 체제 사이의 경계를 모두 건드리고 있는 중요한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해방과 분단이라는 두 개의 축을 보다 정치한 맥락에 위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의 2절과 3절은 이 두 가지 맥락을 구축하기 위해 쓰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4절에서는 해당 사건의 당사자였던 서승 · 서준식과 그의 가족을 통해 ‘재일조선인 간첩의 탄생’이 중층적 역사의 시간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지를 짚어보았다.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검역국가의 병리성, 즉 분단의 질병으로서의 ‘자기면역병’이 냉전의 유산인 동시에 풍토병적 성격을 가졌다는 점을 일깨워줄것이다. 그야말로, 냉전은 저 멀리 시베리아 반도와 아메리카에서 흘러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발밑에서’ 피어오르고 있었음을 말이다. 또한 이 사건은 우리로 하여금 탈식민과 냉전이라는 두 개의 전선이 교차되는 자리에 서 있던 주체들과 그들을 “짓누르고 있던 운명”, 그리고 그들이 “이 운명의 형태”를 응시하던 방법들에 관해 숙고하도록 이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two regimes of the Korean Peninsula made use of the Japanese 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Zainichi Koreans") in order to form their discursive boundarie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y focusing on the spy incidents of the Zainichi Kor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y incident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words such as North Korea, a spy, a Zainichi Korean, and Japan are connected and rearranged through the analysis code of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This is a research on the process by which the Zainichi Koreans were identified with spies due to the hostile rivalry of the two regimes, and how South Korea externalized Japan and North Korea that it could not help but encounter monopolization during the time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old War (anti-communism) is connected with the supreme enemy (North Korea), and also inseparably related to the so-called psychological enemy (Japan). This reminds us of the situation wherein the Zainichi Koreans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Koreans who resided oversea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Cold War, became big quarantine authorities for the prevention of disease transmission in an extensive, and yet secretive, way. The reason why the two regimes devoted themselves to a heightened state of alert and the supervision of migrating people was the fact that the migration control was at the heart of supervision and construction regarding the preventive system for a quarantine state. In South Korea, communism was the most dangerous infectious disease and, in this respect,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Anti-communist Law functioned as the strongest quarantine act. Furthermore, North Korea was the most important quarantine target for South Korea. However, North Wind (a North Korean Variable) did not only blow directly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t it also infiltrate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The most watched country among the outside place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Japan. This place held an important position of propaganda activity that was carried out b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was also considered as the contact zone, where it constantly mediat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where both parties conglutinated. This geopolitical and symbolic significance of Japan stems from the occurrence of the Cold War worldwide, and the fact that the outside world had been monopolized by the Korean Peninsula situation. Moreover, this new location has been reinforced by a series of spy incidents, which occurred in the Korean society during the 1970s. The spy incidents showed that the Cold War did not come from the distant Siberia and America, but instead, it started out from its own land. The autoimmune disease is the legacy of the Cold War; however, it also has characteristics of an endemic disease. A new immune system was reconstructed through the recode of self and non-self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fter the division period, however, the recode of self and non-self was disabled.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 government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mplied that the sociopolitical immun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started to collapse. This context reminded us that the nationalization of the people, who were able to come and go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at time, could not be discussed without mentioning the word ``spies``. For this reason, the topology of a spy should be discussed further with regard to the Cold War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questions pertaining to the reason why a spy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reorganizing the topography of the Cold War, and the reason why the Zainichi Koreans should be thought of as potential spies. The spy incidents are important in starting a productive discussion and forming a significant context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other words, this subject analyzes the self-injurious behavior, which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division, and this time of deliberation would enlighten us that the division tragedy actually pertains to the scarred faces of the people who were accused of being spies, and not the Korean Peninsula itself.

      • KCI등재

        1960년대 문학과 ‘북한’이라는 알레고리- 한국문학은 북한을 어떻게 재현해왔는가

        임유경(Lim, Yu-Ky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이 논문은 북한 재현의 문학적 계보를 구성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서 분단 문학을 이끌었던 한 세대의 작가들이 창작한 작품들을 통해 한국문학사에서 분단 문제가 다뤄진 방식과 북한 재현의 역사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한다. 시론적 성격을 가지는 이 논문에서 우선적으로 조명하고자 하는 대상은 최인훈과 이호철을 비롯한 1960년대 작가들이다. 이들은 분단 문제를 사유하는 데 몰두했던 대표적인 작가로서 한국사회에서 형성되고 있던 전형적인 북한담론과 길항하며 예외적이고 차별화된 방식의 문학적 재현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학은 재현할 수 없는 것을 재현하려는 미학적 열정의 소산이지만, 이 작가들에게 문학을 한다는 것은 이러한 보편적인 딜레마 이외에도 ‘쓸 수 없는 것을 쓰는 일’이라는 현실적인 과제를 감당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더 각별한 의미를 가졌다. 이 논문은 이러한 특징들을 염두에 두면서 해당 작가들이 경험해야 했던 문학적 딜레마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분단 문학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단 문학을 이끌었던 한 세대의 문학적 성취와 딜레마에 대해 사유하는 일은 한 시대의 인식을 가능하게 했던 특수한 담론들과 그 기저에 깔려 있던 정치적 무의식을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과업이 될 것이다.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representation with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literary works created by a generation of writers who led the division literature movement.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works of Choi In-hoon and Lee Ho-chul. As representative writers who took the issue of division into account, they attempted to produce literature in an exceptional and differentiated manner, defying the typical North Korean discourse that dominated at the time. Even though literatur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duct of an aesthetic passion for reproducing things that cannot be reproduced, for these writers, literary writing wa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was an attempt to take on the specific purpose of “writing things that cannot be written.”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in different ways the literary dilemmas that the writers had to experience,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ast light on the history of division literature from a new perspective. Thinking about the significance and dilemma of a generation that represented division literature is a meaningful task, in that it allows us to reflect on the various discourses and political unconscious that construct the perception of certain historical epochs.

      • KCI등재

        체제의 시간과 저자의 시간 -「서준식 옥중서한」 연구-

        임유경 ( Yu Kyung L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이 글은 서준식 옥중서한이 집필 및 출간된 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저자에게 ‘옥중기’란, 옥중에서 ‘글을 쓰는 행위’란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여러 옥중기의 필자들 가운데에서도 서준식에게 관심을 기울였던 이유는 크게 세 가지 점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첫째, 서준식이 ‘비전향’의 상태로 석방된 ‘최초의 장기수’였다는 점이다. 1988년에 성사된 그의 출옥은 한국사회에 “양심수를 양산한 시대”에 대한 성찰을 불러일으킨 역사적·정치적 사건이었다. 둘째, 서준식이 ‘재일조선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한국인’이 되고자 한 인물이었다는 점과 관련된다. 재일조선인이라는 정체성과 일본어가 모어였다는 사실로 인해, 그의 옥중기는 다른 필자들의 그것과는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졌다. 셋째, 그는 집필권이 극도로 제한된 한국의 감옥체제 하에서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텍스트 생산에 매진했다. 수인들에게는 서신쓰기와 소송관련 서류 작성이 허용되었는데, 서준식은 이 두 가지 방식의 글쓰기를 생존과 투쟁을 위한 자원으로 삼았다. 이 글은 이상의 특징들에 주목하여 서준식에게 ‘수인’이면서 ‘저자’라는 이중의 정체성이 어떻게 의식되고 또 그것이 글을 쓰는 행위를 통해 어떻게 구체적 형상으로 현시되었는지를 논의하고자 했다. 전향서를 대신하여 탄생한 옥중기는 우리로 하여금 국가의 가장 내밀한 장소에서 ‘불구의 글’을 써나감으로써 체제의 시간을 주체적으로 다시 살고자 했던 한 인물의 삶과 대면하게 할 것이다. 또한 그것은 감옥이 단지 불가피한 근대의 제도가 아니라 암묵적인 도그마를 전제로 삼아 도달하게 된한 국가의 세계에 대한 이해를 드러내주는 장소, 즉 그 자체가 하나의 “인식의 산물”이라는 점을 일깨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aborate the meaning of prison writing by studying the publication process of Seo Jun-sik’s Prison Writing. I examined the meanings of the action of ‘writing in prison’ with a focus on Seo Jun-sik’s letter written in prison as the analysis object and attempted to approach the writer’s inner desire related to it. Examining the process, in which a prison writing is written and published,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work of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intelligence and the history of culture of the time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the social history of books. Also, this thesis, which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a study on a prison writing, will stir up interest in studies on a prison writing and contribute to vitalize related studies. Among other authors, Seo Jun-sik is worthy of notice by three reasons. First, Seo Jun-sik was the first releas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 who had been unconverted his political belief. His disimprisonment, which was confirmed in 1988, was a historical/political event which had triggered the social attention to the “age for the prisoner of conscience”. Second, Seo Jun-sik was a Zainichi Korean who wanted to be a ‘Korean’. The identity of Zainichi Korean and the problem of native language had placed his writing in different context. Third, he was the most enthusiastic writer even his right of writing was extremely confined. While letters and litigation documents were the only permitted mode of writing, those had been regarded as the sources for survive and resist. Focusing on these features,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double identity of prisoner-author/author-prisoner had been recognized by Seo Jun-sik and revealed concretely through the act of writing. Prison writing, which had replaced writing about conversion, is the stage shows how the intellectual could lived in the time of the regime subjectly and authentically by the writing ‘defective articles’ in the prison, which is the most confidential place of the nation. Also it presents that prison is not only inevitable institution of modern nation but the location which could revealed the way that nation understands the world and its implicit dogma, that is to say “the product of re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