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지와 컬러 정보를 결합한 안면 분할 기반의 손실 함수를 적용한 메이크업 변환

        임소현,전준철,Lim, So-hyun,Chun, Jun-chul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4

        메이크업은 사람의 외모를 개선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메이크업의 스타일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한 개인이 본인에게 직접 메이크업을 하는 것에는 많은 시간적, 비용적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메이크업 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메이크업의 자동화를 위해 메이크업 변환(Makeup Transfer)가 연구되고 있다. 메이크업 변환은 메이크업이 없는 얼굴 영상에 메이크업 스타일을 적용시키는 분야이다. 메이크업 변환은 전통적인 영상 처리 기반의 방법과 딥러닝 기반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딥러닝 기반의 방법에서는 적대적 생성 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두 가지 방법 모두 결과 영상이 부자연스럽거나 메이크업 변환의 결과가 뚜렷하지 않고 번지거나 메이크업 스타일 얼굴 영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메이크업의 뚜렷한 경계를 표현하고 메이크업 스타일 얼굴 영상에서 받는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영역을 분할하고 HoG(Histogram of Gradient)를 사용해 손실 함수를 계산한다. HoG는 영상 내에 존재하는 에지의 크기와 방향성을 통해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에지에 대해 강건한 학습을 수행하는 메이크업 변환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을 통해 생성된 영상과 베이스 모델로 사용하는 BeautyGAN을 통해 생성된 영상을 비교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성능이 더 뛰어남을 확인하고 추가로 제시할 수 있는 얼굴 정보에 대한 사용 방법을 향후 연구로 제시한다. Makeup is the most common way to improve a person's appearance. However, since makeup styles are very diverse, there are many time and cost problems for an individual to apply makeup directly to himself/herself.. Accordingly, the need for makeup automation is increasing. Makeup transfer is being studied for makeup automation. Makeup transfer is a field of applying makeup style to a face image without makeup. Makeup transfer can be divided into a traditional image processing-based method and a deep learning-based method. In particular, in deep learning-based methods, many studies based o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have been performed. However, both methods have disadvantages in that the resulting image is unnatural, the result of makeup conversion is not clear, and it is smeared or heavily influenced by the makeup style face image. In order to express the clear boundary of makeup and to alleviate the influence of makeup style facial images, this study divides the makeup area and calculates the loss function using HoG (Histogram of Gradient). HoG is a method of extracting image features through the size and directionality of edges present in the image. Through this, we propose a makeup transfer network that performs robust learning on edges.By comparing the image generated through the proposed model with the image generated through BeautyGAN used as the base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as superior, and the method of using facial information that can be additionally presented as a future study.

      • KCI등재

        공공기관은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책임운영기관 사례 분석

        임소현 ( So Hyun Lim ),최영준 ( Young Jun Choi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3

        사회적 가치가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도입된 지 4년 차에 접어들었음에도 일선 현장에는 여전히 사회적 가치의 개념과 구현방식에 대한 혼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방향성과 제도적 지원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공공기관이 추구해야 할 사회적 가치의 개념 틀을 가치의 수준에 따라 구성하였다. 이후에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책임운영기관 관리역량평가보고서의 사회적 가치 파트 문서 내 빈출 키워드와 내재 토픽, 토픽 분포를 분석해냄으로써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창출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이론적 개념 틀을 준거 삼아 평가해보면 첫째, 현재 공공기관에서는 절차적 가치에 대한 관심은 높은 반면 지속가능성, 안녕, 공동체와 같은 실질적 가치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둘째, 현재 공공기관에서는 많은 사회적 가치들 중에서 일자리 창출, 근로조건 및 근무 환경 개선 등을 포괄하는 노동이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면 아직까지 공공기관은 사회적 가치의 포괄성과 균형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일선 현장의 적극적인 관심과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제도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Although four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social value was introduced for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organizations, much confusion has been found in terms of what social value is.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how public organizations understand social value and implement various activities to embody it. In so doing, first, reviewing the literature, this study will form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ocial value that public organizations should pursue. Afterwards, we will critically review the understanding of public organizations by analyzing frequent keywords, embedded topics, and distribution of topics through the method of text mining. This paper will analyze 25 Responsible Administrative Public Agencies, and the text data of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Values” section in the 「2019 Management Competency Evaluation Report」 will b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se organizations neglected some components of substantive social value such as well-being,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whereas they creatively used the ‘innovation’ component as procedural social value, which existing literature has not fully paid attention to. Finally, we will discus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nd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ublic organizations to enhance social value.

      • KCI등재

        청년세대의 결혼과 출산 인식에 대한 시민성 관점의 접근

        임소현(Lim So-hyun),최영준(Choi Young-jun) 경기연구원 2024 GRI 연구논총 Vol.26 No.3

        극심한 저출산 현상에 대한 우려가 전 사회적으로 증폭되는 가운데 오히려 소극적으로 변해 가는 청년세대의 결혼과 출산 인식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기존 연구들은 개인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가치관이 이들의 가족형성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힌 바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요인들 이외에 사회심리적 태도로서 시민성이 결혼과 출산 인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특히, 시민효능감과 시민주도성으로 대표되는 적극적 시민성이 높을 경우 결혼과 출산 인식이 긍정적일 것으로 상정하였다. 전국 청년 752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시행한 결과, 시민효능감과 시민주도성은 결혼과 출산 인식에 양(+)의 방향으로 직접 및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민으로서의 효능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청년일수록 미래에 자신의 삶이나 사회에서 원하는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능동적 태도를 바탕으로 결혼과 출산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도적 환경으로서 청년주류화가 실현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In the midst of a severe demographic crisis, how can we understand the young people’s increasingly negative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The perception and decision to form a family is a complex function of an individual’s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individual’s values.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assive citizens tend to have a more pessimistic outlook on the future than active citizens. This study assume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itizenship and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Path analysis with 752 young individuals revealed that active citizenship consisting of civic efficacy and citizen initiative exerts both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young people who feel empowered and active are more likely to hold positive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based on their political efficacy.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youth mainstreaming environment to foster active citizenship among young people.

      • KCI우수등재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디커플링(decoupling)이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조직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소현 ( Lim So Hyun ),장용석 ( Jang Yong Suk )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1

        일-생활 균형 정책의 일환인 유연근무제는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계기로 급격히 활성화 되었지만, 선진외국에 비하면 여전히 제한적인 수준에서 운영되고 있다. 유연근무제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들 역시 양·질적으로 많은 보완이 필요하며 특히 유연근무제의 형식적 운영행태인 디커플링(decoupling)에 대한 심층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조직의 유연근무제 도입과 디커플링이 자발적 이직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조직의 규모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2017년과 2019년 사업체패널조사를 활용하여 2,447개의 공·사조직을 분석한 결과, 유연근무제의 미도입은 조직의 자발적 이직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도의 도입 정도가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현상은 작은 규모의 조직에서만 나타났으며, 디커플링이 이직률을 높이는 결과는 큰 조직에서만 관찰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의 유연근무제 도입은 자발적 이직률 감소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지만, 이를 형식적으로 운영할 경우 오히려 이직률이 증가되어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규모가 큰 조직은 제도의 실질적 운영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제도주의 조직론의 관점에서 유연근무제와 이직률 간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을 실증하고, 이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라는 대전환의 상황에 대한 관리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조직의 유연근무제 실행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실증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Flexible Work Arrangements(FWAs) have been widely adopted in Korea due to the social distancing mandated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However, there are still unsolved issu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FWAs. The extant literature, moreover, does not pay full attention to the decoupling between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FWA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doption and decoupling of FWAs affect voluntary turnover, which is also moderated by the size of an organization. After analyzing data from 2,447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obtained from the Workplace Panel surveys in 2017 and 2019, we argue that non-adoption of FWAs leads to higher turnover rates. On the other hand, the adoption of multiple FWAs reduces turnover rates for smaller organizations, while the decoupling increases turnover rates for larger organiza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adoption of FWAs can lower the voluntary turnover rate, but it may increase if the adoption is decoupled from the actual implementation. Careful attention is necessary to ensure proper implementation of FWAs, particularly in larger organiza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a complex mechanism between FWAs and turnover rate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and provides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ost-COVID-19 transitions.

      • KCI등재

        지방정부 혁신정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임소현 ( Lim¸ So-Hyun ),최정은 ( Choi¸ Jung-E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3

        After Moon Jae- in government launched, the government innovation is emphasized as means of settling social issues. Local governments are also making innovative attempts to solve local challenges. However, there is currently an imbalance in the level of innov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which poses a risk of undermining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in the long ru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 the impac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stitutions and local resources and of neighboring region o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innovatio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innovation will be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the innovation policies, which are divided into the current policies and the excellent policies with at least one award.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influence of several factors on local government innovation.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impact of Innovation Ordinances that contain governance elements have been found. We suggest the need to activate and develop collaborative governance institutions that are the cornerstone of local government innov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innovation and demonstrating that a comprehensive effort by local governments should be made to address local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