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사성 체계를 이용한 역사교과서 서술방식 분석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이해영(Lee, H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역사교과서 서술은 최대한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여 저자의 의도를 최대한 숨기려고 하지만 문장형식과 같은 장치를 통해 서술상에 그 의도가 드러나기 마련이다. 현재 역사교과서가 민족주의 중심으로 쓰여졌다는 비판과 더불어 학생들이 이런 영향을 받아 국가의 발전, 고통과 시련의 역사, 국난극복의 역사 등으로 역사를 이해한다는 연구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역사교과서 서술 방식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좀더 실증적으로 확인해보고자 체계기능언어학의 요소들 중 관념적 의미를 이루는 동사성 체계를 기반으로 동아시아사 교과서와 한국사 교과서의 임진왜란 서술을 분석하 였다. 임진왜란을 다루는 동아시아사와 한국사 교과서 속의 참여 주체자와 프로세스를 살펴본 바 두 교과서가 추구하고는 서술의 방향이 달랐음을 알았다. 각각 교육과정도 다르게 서술되어 있기 때문에 두 교과서의 서술도 다를 것이라고 자연스럽게 생각할수 있다. 그러나 한국사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맞춰 서술하면서도 임진왜란을 국난극 복의 역사적 사례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표면적 서술과 달리, 암묵적으로 민족주의에 입각한 관점이 담겨져 있었다. 요컨대, 한국사 교과서가 민족주의 관점에서 임진왜란을 다루고 있음을 동사성 체계로 입증할 수 있었다. 반면, 동아 시아사 교과서는 3국의 국제전으로 임진왜란을 인식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aimed to study how to differentiate the imjin war’s description between korean history textbook and east asian history textbook using transitivity system. If many people interpret differently at same event, the texts should be also describ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viewpoints. Transitivity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participant, process, and circumstances shows faithfully th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wo textbooks are reflected on the each curriculum sincerely. In east asian textbook, imjin war is considered as international war in the textbook. But in the korea textbook, imjin war is considered as the case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except the contents which the korean curriculum presented. Though korean history curriculum don’t suggest this viewpoints precisely, the textbook stresses the history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implicitly.

      • KCI등재

        순자사상의 분합(分合)논리

        이해영 ( Lee Haeyoung ) 동양철학연구회 2017 東洋哲學硏究 Vol.90 No.-

        순자의 자연관 인간관 사회관은 모두 분(分)과 합(合)의 논리로 해석할 수 있다. 순자는 인간을 자연계의 질서에 의해 살아가는 존재이되 주관능동성을 지녀 자연계에 인위를 가할 수 있는 특수한 존재로 보았다. 자연계의 질서와 인간의 역할을 구분하는 천인지분과 자연계의 질서를 바탕에 두고 인간의 역할을 다한다는 능참은 인간의 양생(養生)이라는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순자는 인간관에서 인간의 자연성에서 비롯하는 욕망의 실재를 인정하고, 그 바탕 아래에서 욕망의 충족 문제를 논의하였다. 그는 인간은 자연성을 지니지만 분별과 도리를 알 수 있고 능동적 의식작용을 하는 특수한 존재라고 보았다. 이것이 성위지분이다. 순자는 인간은 분별의 능력으로 본성을 변화시키고 인위적 노력 통하여 단순한 개인적 존재라는 차원을 벗어나 바람직한 사회적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여겼다. 그것이 성위합의 의미이다. 순자는 사회관에서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적합하고 정당한 분별[分義]과 조화로운 통일[和一]로 정리하였다. 욕망의 존재인 개인은 동시에 공동체의 구성원인 사회적 존재이다. 순자는 개인이 사회 속에서 갈등과 분쟁을 최소화하면서 욕망을 충족하는 방안을 예라는 사회규범에서 찾았다. 순자는 정당한 분별에 따라 규정된 예에 따라 개개인이 욕망을 충족[養欲]하면 사회는 조화롭게 통일될 수 있다고 보았다. 순자의 분과 합의 논리는 사실과 가치의 합일이다. 분은 객관적 사실과 인위의 구분이고, 합은 이 객관적 사실을 인위의 주관능동성에 의해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가치로 바꾸는 것이다. 순자의 자연관 인간관 사회관을 관통하는 분과 합의 논리는 인간의 양생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Xunzi`s view of nature, human view and the view of society can be interpreted as the logics of `distinction(分) and integration(合)`. Xunzi regarded a human being as the general being under the natural order and he also regarded a human being as a special being with subjective-active fiber who can add artificial changes to nature. `The distinction between heaven and a human being(天人之分)` that distinguish the natural order from the role of a human being and `active participation(能參)` that perform a human being`s duty under the natural order, these two things are the ideas that intend to create value named `the nurture of human life(養生)`. Xunzi`s human view accepted the existence of desire in a human being and contemplated `the fruition of desire(養欲)`. He regarded a human being as a natural being but he also regarded a human being as a special being that have discernment, oughtness and active consciousness. This is the meaning of `the distinction of active fiber(性僞之分)` Xunzi contemplated that a human being can change human fiber through discernment and can be a desirable social being through artificial efforts. This is the meaning of `the integration of active fiber (性僞合)`. Xunzi`s view of society can be arranged in two ideas `justifiable distinction(分 義)` and `harmonious integration(和一)`. An individual is a human being who has desire and is also a social being as a member of society. Xunzi suggested Li (禮) as a social norm that can make an individual fulfil desire and can minimize social conflict. Xunzi contemplated that an individual fulfil his or her desire with Li(養欲), on the basis of defined distinction, the society can be harmoniously integrated. Xunzi`s logics using distinction(分) and integration(合) is `the unification of reality and value`. Distinction(分) is that of objective fact and artificiality. Integration(合) is changing objective fact to general and objective value through subjective-active artificiality. Xunzi`s logics using distinction(分) and integration (合) under the view of nature, human view and the view of society was the thing to achieve `the nurture of human life(養生)`.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배합사료 종류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해영 ( Haeyoung Lee ),유해균 ( Hae-kyun Yoo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3

        최초체중 (IBW) 29.1 g 넙치 치어를 1종 실험사료 (ED)와 5종 국내·외 상품사료 (CD)로 7주간 사육한 결과 최종체중 (FBW), 증체율 (WG), 사료효율 (FE) 및 전어체 (WB)의 일반 성분 중 수분 및 지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지만, 생존율 및 WB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및 회분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넙치 치어는 사육실험 후에는 먹이 종류에 따라 FBW가 57.7~73.6 g, WG도 93~160%로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다. FE는 71~121%이었으며 성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IMCD구에서 73.6 g으로 가장 높은 FBW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DCCD구, DECD구 및 IOCD구에서 70.0, 68.4 및 67.8 g이었다. IHCD구에서 61.7 g으로 CD구 중에서는 가장 낮았으며 모든 실험구 중 ED구도 57.7 g로 FBW에서도 가장 낮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중간 정도의 단백질 및 지질을 함유한 국외산 M제품 (단백질 55.9%, 지질 12.7% 및 회분 15.5%)에서 가장 높은 성장, FE 및 WB 수분 함량과 가장 낮은 WB 지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다양한 먹이인 배합사료 6종류에 따라 넙치 치어의 생존율 및 WB 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및 회분 함량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7-week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ne ex-perimental diet (ED) and five different commercial diets (CD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 ED was formulated to contain 50.0% crude protein (CP) from fishmeal, casein, zein and wheat flour and 15.0% crude lipid (CL) from squid liver oil. Five CDs for seawater fish were two domestic E commercial diet (DECD) and C commercial diet (DCCD), three imported H commercial diet (IHCD), M commercial diet (IMCD) and O commercial diet (IOCD) containing 53.1~58.0% CP and 4.8~12.7% CL, respectively. Each diet was fed to triplicate groups of juvenile olive flounder initially weighing 29.1±0.8 g/fish (mean±SD) in a flow-through seawater system with a water temperature of 23.4~28.0 ℃. Weight gain (WG) was significantly greatest in fish fed the IMCD; intermediate responses were observed for fish fed the DECD, DCCD, and IOCD, while the IHCD and the ED produced the lowest WG values. Feed efficiencies (FE) were similar to WG excluding fish fed the DCCD; FE was also greatest in fish fed the DCCD. Survival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roached 100% for fish fed the all six diets in this experiment. Whole-body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were not affected excluding moisture and crude lipid by the different type of diets. Therefore, type of diets appeared to be important factor in influencing WG, FE and whole-body moisture and crude lipid of juvenile olive flounder; the best diet for juvenile olive flounder was determined to be the imported commercial M diets containing intermediate protein (55.9%) and lipid (12.7%) in natural seawater based on highest WG, and FE, respectively.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one commercially formulated diet containing intermediate protein and lipid used in this experiment could be a practical diet for juvenile olive flounder; these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between ED and CDs may be due to different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 KCI등재

        한국어와 역사문화를 가르치는 태국 교수의 실천적 삶의 이해

        이해영(HaeYoung Lee),빠릿인센(Parit Yinse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태국 쏭클라나카린대학교에서 한국어, 한국역사문화를 가르치는 빠릿인센 교수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방법 빠릿인센 교수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예비면담, 질문지, 화상회의, 그리고 그의 수업 교재 및 학생의 강의평가 등을 분석자료로 하여 의미 있는 진술을 찾아 3개의 범주로 나누고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결과 빠릿인센 교수는 대학 시절에 우연히 접한 한국어를 통해 한국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유학 후 한국어를 가르치는 최초의 태국인 교수가 되어 가장 한국적인 내용을 가르치고자 고군분투하였다. 그는 의사소통수단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학생들이 한국을 진심으로 이해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한국 역사와 전통문화를 알리기 위한 실천을 하고 있다. 결론 한국과 태국 정부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도적 여건 조성, 한류의 영향으로 인한 한국어 수요 급증 등 요인과 더불어 빠릿인센 교수와 같은 이들의 실천적인 도전과 용기가 한국 문화를 태국에 정착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Objectives This paper researched to understand in depth the life of Professor Parit Yinsen, who teaches Korean language a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at Songkhlanakarin University in Thailand. Methods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Professor Parit Yinsen's life experience. Preliminary interviews, questionnaires, video conferences, and his class textbooks and student evaluations were used as analysis data to find meaningful statements, divide them into three categories, and construct narratives. Results Professor Parit Yinsen formed a deep connection with Korea through the Korean language he came across by chance during his university days. After studying abroad, he became the first Thai professor to teach Korean and struggled to teach the most Korean content. Going further than teaching Korea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he is practicing to promote the Korean language and history with the hope that students will sincerely under-stand Korea. Conclusions Professor Parit Yinsen's practical challenges and courage played a big role in establishing Korean cul-ture in Thailand. Based on his deep affection for Korea, he is working day and night to ensure that his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but continu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시민을 주제로 예비 역사교사가 구성한 융합프로그램 분석

        이해영(Lee, Haeyoung),김수철(Kim, Soo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문이과 융합프로그램을 예비 역사교사가 구성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예비 역사교사들은 역사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 융합하는 다교과적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탈교과적인 융합이 아닌 다교과적, 간교과적 융합프로그램을 구성할때는 교과간 융합을 하기에 앞서 교과의 목적이나 고유한 특징과 같은 인식론적인 이해가 선결되어야 한다. 교과의 인식체계를 제대로 이해할 때 예비교사는 융합프로그램을 자유자재로 구성할 수 있었다. 더불어 문이과 융합으로 창의적인 인간 양성을 하는 일이나 교과의 장벽을 허물어가는 융합 방식도 중요하지만, 삶의 통찰력을 배운 후 이를 토대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시민교육을 추구하는 융합프로그램도 학생들에게 일정한 삶의 방향타 역할을 해 준다. 최근에는 여러 교과가 시민교육에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융합프로그램의 가능성은 더 커졌다. 특히, 수학이나 과학 등 이과에서도 시민교육을 추구하고 있어 시민을 주제로 한 문이과 융합프로그램을 좀 더 다양하게 모색할 수도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a convergence program organized on the subject of citizen by pre-service history teacher. Pre-service history teachers interpreted citizens in their own ways and linked them to the convergence program. In the fusion of history and other subjects, the multidisciplianry method was the most common. If it is not a transdisciplinary method, the convergence program can be easily composed only by first grasp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convergence method of nurturing creative people and breaking down the barriers of the subject is important. More importantly, after learning life insights,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creativity based on them. The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should emphasize this. In this respect, citizenship education can expand its scope and depth as the subject of convergence programs.

      • KCI등재

        비타민프리믹스 무첨가시 사료 중 단백질원이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해영 ( Haeyoung Moon Lee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9 No.2

        A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value of various dietary protein sources without a vitamin premix supplementation in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Diets containing similar quantities of lipid and carbohydrate with 50% crude protein from fish meal (FM)/soybean meal (SBM)/corn gluten meal (CGM), FM only, casein/gelatin, high FM/low casein and low FM/high casein were fed to rockfish along with a commercial rockfish diet. The diet containing only 65.6% FM and the commercial rockfish diet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weight gain (WG) and feed efficiency (FE) than all other semipurified diets (SPDs); the economical diet with 52.8% FM, 10% SBM and 5% CGM produced lower WG than the diet containing FM and commercial rockfish diet, but FE and survival were similar both diets. Intermediate responses were observed for rockfish fed the SPD containing 32.8% FM and 27.4% casein, while SPDs containing 10% FM and 41.8% casein and 38.5% casein and 10% gelatin yielded the lowest WG and FE. Some differences in tissue indices and body composition of rockfish were induced by the diets containing various protein sources and levels without the vitamin premix supplementation.

      •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IOT 재배환경에 관한 연구

        이해영 ( Haeyoung-lee ),한혜영 ( Hye Young-han ),이종표 ( Jongpyo-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비닐하우스 환경 기반으로하여 스마트팜 IoT 재배 관리 환경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니티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제작하고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앱, 가상 환경의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두 환경을 동시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현한 것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재배 관리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아두이노와 각종 센서들을 사용하여 현실 물리 객체의 환경과 생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하였다. 더 나아가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재배시기와 자동 예측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차세대 디지털 트윈 스마트팜 의 시대가 열릴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