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대(宋代) 설숭(契嵩)의 유불융합(儒佛融合)

        이창안 ( Lee Chang-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본고에서는 송(宋) 초기에 활동하였던 설숭(契嵩; 1007~1072)의 사상 가운데 유불융합과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였다. 송대는 당(唐) 중기에 형성된 조사선(祖師禪)이 가장 활발하게 유행되었던 시기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송을 건국한 태조로부터 유학을 중시하여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까닭에 상대적으로 불교, 특히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조사선이 위축되었으며, 심지어 `폐불(廢佛)`의 주장도 출현하였던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설숭은 한편으로는 `유불융합`의 사상적 제시를 하여 유학자들의 비판에 대응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사선의 선맥(禪脈)을 정리하여 선종의 정통성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설숭의 노력으로 말미암아 유학자들의 불교비판이 상당히 중지되었고, 또한 선종의 다시 부흥하는 계기를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설숭의 `유불융합` 사상은 그의 저술을 모은 『심진문집(?津文集)』 19권에 잘 나타나있지만, 여기에는 다양한 주제로 방대하게 유불관계를 논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진문집』 가운데 권1~4에 실린 『보교편(輔敎編)』 상, 중, 하의 3권으로 한정하여 `유불융합`의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설숭은 유교의 핵심을 `중용(中庸)`으로 파악하고, 불교의 핵심을 『단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묘한 마음”으로 규정하여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제창하고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효(孝)`를 설정하여 불교의 `오계(五戒)`, `십선(十善)`이 유교의 `오상(五常)`과 `인의(仁義)`와 조금의 차별도 없음을 논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역시 불교와 유교는 `세간`과 `출세간`의 차별이 또한 나타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그러므로 세상을 다스림에 유교가 없어선 안 될 것이요, 출세(出世)를 다스림에 또한 불교가 없어선 안 될 것이다.”라고 결론내리고 있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儒佛融合) among Qisong(契嵩; 1007~1072)`s thought in the early Song dynasty. Song(宋) dynasty is the peak time of Patriarchal Seon formed in the middle of Tang(唐) dynasty. But on the one hand, Patriarchal Seon as a mainstream was relatively intimidated and even the opinion of Buddhism Persecution was inaugurated in those days. Because the founder of Song dynasty had put emphasis on 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Under the situation on the one hand, Qisong(契嵩) suggested the thought of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order to face the Confucian scholars` criticism, on the other hand, he made an effort to keep the legitimacy of Seon Buddhism by arranging the lineage of Patriarchal Seon. Owing to his effort, the Confucian scholars` criticism on Buddhism had been considerably decreased and it made an opportunity to revive Seon Buddhism. Qisong(契嵩)`s thought of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as well appeared in his 『The Collection of Simjin`s Works(?津文集)』 volume 19, but he discuss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gigantically in various themes in the book. Therefore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ithin three volumes, from the vol.1 to vol.4 in 『The Collection of Simjin`s Works』. Qisong(契嵩) understood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as the core of Confucianism, and `the subtle mind` in 『Platform Sutra(壇經)』 as the heart of Buddhism, then he advocated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He also prov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humanity and justice(仁義) in Confucianism and the five Buddhist commandments(五戒), ten great virtue(十善) in Buddhism by seting up `filial duty(孝)` concretely. Nevertheless the difference of `secular society` and `samgha(僧家)` is appeared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So he lastly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of Confucianism to rule the secular society. and there is a need of Buddhism to rule samgha.”

      • KCI등재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선사상과 임제종의 관계

        이창안 ( Lee Chang-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1650년 가까이의 긴 역사를 지닌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근·현대 한국불교계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다.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의 탄생과 근대 한국불교학의 탄생과정에 있어서 종조논쟁과 한국불교정체성의 확립은 가장 중요한 과제였고 그 과정에 도의국사와 원효 그리고 보조 지눌과 태고 보우 등이 크게 부각되었다. 그런데 현재 한국불교조계종과 대한불교태고종은 선과 교의 양종이 통합된 통불교의 성격을 띠고 있고, 승려들 대부분은 17세기에 확립된 ``임제-태고 법통설``에 의하여 청허 휴정과 부휴 선수의 법맥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불교의 정체성 문제는 청허 휴정 및 그의 선교관과 선사상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다음의 네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한국불교에 있어서 휴정이 차지하는 위치는 실질적인 중흥조에 해당함을 밝혔다. 둘째, 휴정의 선사상은 조선 중기 억불상황과 선종과 교종이 통합되어진 상황 속에서 조사선을 근본으로 하면서도 교종의 사상을 포용하고, 나아가 유교와 도교 간에 화해와 조화를 시도하며, 호국불교의 형태를 띠면서도 정치와는 거리를 두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휴정은 지눌이 규봉 종밀의 영향 하에 초기 선종의 배경 하에 자신의 선사상을 전개한 것과는 다르게, 선종이 크게 활약한 5가 7종을 배경으로 하여 선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휴정은 혜능과 마조와 임제를 잇는 임제종의 종지종풍이 선종의 정통이며, 자신이 그것을 계승하고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지만 기타의 종파의 선사상 또한 수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휴정의 선사상이 지닌 현대적 의의는 무엇이며, 그것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With a long history, closely 1650 years, Korean Buddhism still contains some identity problems which are dealing one of the biggest problem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In 1941, when was recorded as the birth of modern Buddhsim in korea, and the birth of Choseo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argument about the Buddhist founder and establishments of Korean Buddhism`s identity are most important problems to solve. A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Buddhism, many Buddhist masters such as Doeui, Wonhyo, Bojo-jinul and Taego-bowu, were largely highlighted in the fields. However, the present features of Korean Buddhism, Jokye order and Taego order, were evolved as the unified forms of Zen Buddhism and non-Zen Buddhism. Also most of the modern Buddhist monks in Korea, they accede the religious tradition of Cheongheo-huejeong and Buhyu-seonsu on the ground of the theory of Linji-Taego`s religious tradition settled in 17th century. According to those features, the identity problems of present Korean Buddhism should find the answer with Cheongheo-hyujung`s viewpoint on Zen and non-Zen and his Zen thought. This article ranged over four problems with above-mentioned concept. First, the master Hyujeong`s occupied position was the substantial founder in Korean Buddhism, Second, Huejeong`s Zen thought had been developed under mid-Choson dynasty`s anti-buddhism situation and the conditions of Zen and non-Zen`s unified period. His Zen thought is mainly rooted in Zushi-chan(祖師禪) but also embraced non-Zen Buddhism, furthermore, it shaped as the form of the patriotic Buddhism, but also had distance with country`s political matter. Third, compared to master Jinul, who were developed Zen thought under the Guifeng-zongmi(圭峰宗密)`s influence, Huejeong, in contrast, developed his Zen thought with the back ground of the five family seven sects, when Zen was big succeed. Huejeong had clearly shown the succession of Linji school`s tradition, which was descended from Huineng(慧能), Mazu(馬組) and Linji(臨濟), but he also clarified that he accepted other denomination`s Zen thoughts. Lastly, this article examined what is the contemporary meaning of Hue jeong`s Zen thought, and what is lesson for modern people.

      • KCI등재

        백파 긍선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

        이창안 ( Chang-an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본고는 『선문수경』에 나타난 백파 긍선의 삼종선에 대한 문제에서 출발한다. 백파는선(禪)을 조사선, 여래선, 의리선의 셋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조사선에 임제종과 운문종을 배대하고, 여래선에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동종을 배대하고 있으며, 의리선에 화엄을 배대하고 있다. 그런데 조사선과 여래선에 선종 5가를 각각 배대한 백파의 관점에는 청허 휴정 이후 조선후기 불교계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이 집약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백파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조선 후기 선사상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목적 아래 다음의 세 가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백파의 삼종선 사상은 어떠한 목적에서 출현하였으며, 그 사상적 연원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핵심은 임제의 3구를 통하여 선의 문구(文句)를 판별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백파가 조사선과 여래선을 구별한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 임제종과 운문종이 조사선으로 분류된 특징은 무엇이고,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동종이 여래선으로 분류된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백파가 선종 5가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던 내용에 대한 특징과 한계 및 그 의의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백파의 인식은 조선후기 선종의 청허계와 부휴계 문파들의 공통된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것으로서, 이는 선종 5가의 역사적 사실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지만 조선후기 선사상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는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paper starts on the problem of “Baekpa-Geungseon(白坡亘璇, 1767~1852)’s Three Kinds of Meditations(三種禪)” in the book,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禪文手鏡)』. Baekpa divided Zen into three kinds of meditations, Patriach-Meditation(祖師禪), Tathagata-Meditation(如來禪), and Principle-Meditation(義理禪). Among these meditations, he matched Patriach-Meditation into Linji school(臨濟宗) and Yunmen school(雲門宗), Tathagata-Meditation into Weiyang school(위仰宗), Fayan school(法眼宗) and Caodong school(曹洞宗), and Principle-Meditation into Huayan school (華嚴宗). By the way, in Baekpa’s viewpoint, the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in the late Choseon Buddhism world after Cheongheo-Hwujeong had been summar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Choseon Zen Buddhism through Baekpa’s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So I handled the next three problems under the purpose. First, I tried to inquire the reason why Baekpa’s Three Kinds of Meditations had been appeared and the source and characteristics in his thought. The point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istinct the Zen phrase through Linji’s three phrases(臨濟三句). Secondly, studied the standards for the Baekpa’s distinction of the Patriach-Meditation from the Tathagata-Meditation. And then I tri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ind of meditation. Thirdly, I tried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s, the limit and the meaning of Baekpa’s understanding of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His understanding speaks for the common recognition of the division of Cheongheo’s line and Buhyu’s line in the late Joseon Zen Buddhism. It is a little far from historical fact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but it gives u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understand Zen Buddhism in the late Joseon.

      • KCI등재

        연구논문 : 설잠(雪岑) 김시습(金時習)의 『화엄석제(華嚴釋題)』와 화엄선(華嚴禪)

        이창안 ( Chang An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설잠 김시습의 『화엄석제(華嚴釋題)』는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일곱 자를 중심으로 80권 『화엄경』의 사상을 집약하여 해석한 전적이다. 본 전적은 배휴와 징관, 그리고 임제종계통의 천여유칙선사의 『어록』을 통한 인용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화엄석제』의 구성과 그 주요내용, 그리고 설잠이 본 전적을 통해 무엇을 주장하고자 했는가를 논구하였다. 『화엄석제』는 대량의 인용문을 통하여 『화엄경』에 대하여 ‘제불의 밀장(密藏)’이요, ‘여래의 성해(性海)’이고, 또한 ‘대승의 돈교(頓敎)’라고 정의를 내린다. 이후에 “일체중생의 몸과 마음의 본체(本體)”인 ‘법계’의 성격을 경전의 근본적인 취지[宗趣], 경전의 모든 사상에 공통되는 본체[通體], 또한 모든 법이 의지하는 근거[通依]로서 규정하고, 다시 그러한 ‘일진법계’는 바로 ‘지금 이 자리’, 즉 ‘당하(當下)’에 있음을 천여유칙의 『어록』을 인용하여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법계’를 규정한 이후에 지금 이 자리에서 현현하고 있는 ‘마음’을 ‘중생심[凡心]’과 ‘불심(佛心)’의 두 가지로 나누지만, 그 둘이 서로 철저하게 상즉(相卽)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또한 ‘마음’을 통해 체용(體用)의 문제를 이끌어 “깨닫고 나면 체와 용은 일치”함을 논증한다. 이렇게 ‘마음’의 깨달음을 언급한 이후, ‘깨달음’을 통해서 도달하는 경계, 즉 ‘불경계(佛境界)’를 논증하는데, ‘마음’을 ‘중생심’과 ‘불심’으로 나누지만, 그 둘이 서로 철저하게 ‘상즉’하고 있음을 밝혔기 때문에 ‘불경계’ 역시 ‘중생경계’와 끊임없이 ‘상즉’하게 됨을 밝히고, ‘바른 눈[正眼]’을 열게 된다면 “천지가 모두 불경계”임을 밝힌다. 이후에 ‘법계’와 ‘마음’, ‘체용’과 그로부터 도달하는 ‘불경계’들은 최종적으로 그를 총섭(總攝)하고 있는 ‘자기(自己)’로 귀결시키는데, 이러한 일목요연한 과정은 바로 화엄과 선을 ‘일치’시키고자 하는 의도로서 해석할 수 있다. 이후에 대량의 『천여어록』을 인용하여 ‘선교일치론’을 논증하고, 나아가 화엄을 바탕으로 한 조사선, 즉 ‘화엄선’을 제창하고자 하는 의중을 충분히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설잠의 ‘화엄선’의 제창은 비록 본고에서 상세한 논증을 하지 않았지만, 신라 화엄학이 융성, 나말여초에 형성된 ‘구산선문’이 화엄학을 바탕으로 하여 조사선을 수용하였던 점, 그리고 고려시대에 의천(義天)이 화엄을 바탕으로 ‘천태’를 수용하여 ‘선’을 섭수하려고 하는 시도, 또한 보조지눌(普照知訥)이 화엄선을 제창했다는 점 등의 사상적 전통으로 볼 때, 설잠이 ‘화엄선’을 제창하고자 했다는 결론은 결코 무리가 없다고 하겠다. Hwaeomseokjae(華嚴釋題; The interpretation of the title of Flower Adornment) by Seoljam(雪岑) Kim Siseup(金時習) is a reference manual which integrates thought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華嚴經; Avatamsaka Sutra) in 80 fascicles mainly with the seven letters of Daebanggwangbulhwaeomgyeong (大方廣佛華嚴經; Mahavaipulya Buddhavatamsaka Sutra). This book is composed of citing Eorok(語錄; Quotations) from Baehyu, Jinggwan, and Seon Master Cheonyeo Yuchik whose lineage is Linjii School. Thus, this article is to consider What Seoljam argued through this book of his. He described the Flower Adornment Sutra(Avatamsaka Sutra) as ``the Secret scripture of all Buddhas``, ``Nature-sea of Tathagata`` and ``Teaching of Sudden enlightenment`` with a number of the quotations in Hwaeomseokjae(The interpretation of the title of Flower Adornment). And then, he defined the character of ``Dharma realm(Dharmadhatu)``, which is ``Dharma-body(Dharmakaya) of the body and mind of all sentient beings``, as the fundamental tenet of the Sutra[Jongchwi(宗趣; the main doctrine)], the essence common to all thoughts of the Sutra[Tongche(通體; the Whole body)], and the ground which all dharmas are relied upon[Tongui(通依; the Whole basis)], and again emphasized that Iljinbeopgye(一眞法界; A single true Dharma realm) is ``right at this moment and right at this place``, that is, Dangha(當下, The here-ness and now-ness) by citing Eorok(Quotations) from Cheonyeo Yuchik``Mind(citta)`` manifesting itself now and here is divided into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nd Buddha-mind(Buddhacitta) but he highlighted that both of them are exhaustively identical each other, and drawing the issue of Cheyong(體用; Substance and function) from Mind(citta), made a point that "Che(體; Substance) and Yong(用; function) get identical when enlightened". In succession, reasoning Bulgyeonggye(佛境界; Buddha-sphere), that is, the sphere where one reaches when attaining enlightenment, he determined that Bulgyeonggye(Buddha-sphere) is also identical to Jungsaenggyeonggye(衆生境界; the sphere of sentient beings) constantly and when opening Jeongan(正眼; right eye), "heaven and earth will be all Buddha-sphere" because it is confirmed that even though ``mind`` is divided into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nd Buddha-mind, both of them are exhaustively identical each other. Next, ``Dharma realm(Dharmadhatu)``, Mind(Citta), Cheyong(體用; Substance and function) and Bulgyeonggye(Buddha-sphere) ultimately result in Self-nature which includes all of them, and the clear process of this could be regarded as the purpose of reconciling Hwaeom(Flower adornment) with Seon(禪; Meditation). Furthermore, he discussed Seon-gyo Ilchi(禪敎一致; unification of meditation and doctrine) by citing Cheonyeoeorok((天如語錄; Quotation from Cheonyoe) and showed enough his intention of advocating Hwaeomseon(華嚴禪; the meditation of Flower Adornment) which is Josaseon(祖師禪; Patriarchal meditation) based on Hwaeom(Flower Adornment).

      • KCI등재

        여래선(如來禪)과 조사선(祖師禪)의 수증관(修證觀)

        이창안 ( Chang An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본고에서는 선종에 있어서 여래선(如來禪)과 조사선(祖師禪)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조사선의 개념이 성립하기 이전에 사종선(四種禪), 오종선(五種禪) 등의 분류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류는 대·소승의 교의에 따른 것으로부터 점차 발전하는 선사상에 의해 출현하고 있다. 여래선과 조사선의 분별은 송대 이후에 출현한 것으로, 당시에 유행하던 모든 선사상을 대상으로 각각 그 사상적 차별과 우열을 논한 것이다. 조사선의 개념은 여래선과 상대적으로 ‘돈오(頓悟)’와 ‘당하즉시(當下卽是)’를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사상적 내용은 바로 도신(道信)-홍인(弘忍)의 동산법문(東山法門)과 그를 적전한 신수(神秀)의 북종을 여래선으로 설정하고, 선종의 종전(宗典)으로 받들어지는 『육조단경(六祖壇經)』과 그 이후의 선사상을 조사선으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여래선과 조사선의 개념에 대하여 논술하고, 여래선으로서 도신(道信)-홍인(弘忍)의 동산법문(東山法門), 북종(北宗)을, 조사선으로서는 『단경』과 혜능 이후의 선사들의 ‘수증관(修證觀)’을 고찰하여 그들을 비교하였다. 동산법문과 북종의 선사상은 ‘도출수증(道出修證)’이 명확한 여래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단경』에 이르면, 선사상이 크게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무엇보다도 ‘돈오(頓悟)’를 중심으로 ‘정혜등학(定慧等學)’을 제창하고, 나아가 ‘무념(無念)「무상(無相)」무주(無住)’의 ‘삼무(三無)’를 제창하고 있다. 이러한 ‘돈오’의 입장에서는 전통적인 ‘수증’으로부터 ‘무수무증(無修無證)’으로 전환되어진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conception of Josaseon( Patriarchal meditation) and Yeoraeseon(Tathagata meditation) in Seonjong(Seon Buddhism). There were various types of Seon meditations such as Sajongseon(The four kinds of meditation), Ojongseon(The five kinds of meditation), and so on, before appearing the concept of Josaseon(Patriarchal meditation), which has developed as the thought of Seon has advanced, originated from the doctrine of Mahayana(the Great Vehicle) and Hinayana(the Smaller Vehicle). The division of Josaseon(Patriarchal meditation) and Yeoraeseon(Tathagata meditation) emerged from Song Dynasty, which was to discuss each ideological difference and, merits and demerits of all thoughts of Seon popular at the time. The concept of Josaseon(Patriarchal meditation) puts emphasis on ``Dono(Sudden enlightenment)`` and ``Danghajeuksi(On the spot is the true)``. However, the thought of it identifies Dongsan-Beopmun(East mountain Dharma gate) of Daoxin―Hongren, and Bukjong(Northern school) of Shenxiu who formally succeeded to them as Yeoraeseon(Tathagata meditation), and Yukjodangyoung(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of the main text of Seon Buddhism, as Josaseon(Patriarchal meditation). Therefore, the concepts of Josaseon(Patriarchal meditation) and Yeoraeseon(Tathagata meditation) are discussed and Dongsan-Beopmun(East mountain Dharma gate), Bukjong(Northern school) and ``Sujeunggwan(the view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in Yukjodangyeong(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are considered and compared in this article. Dosin who launched Dongsan-Beopmun, adopted ``Jebulsim(all Buddha mind)`` and ``Ilhaeng -Sammae(Samadhi of specific action)`` as Beopyo(the essential of teaching) and arranged Yeombul(Chanting Buddha) and Jwaseon(Sitting meditation) for the concrete way to attain Ilhaeng-Sammae(Samadhi of specific action). This process is ``Suhangron(the theory of the discipline)`` suggested by Daoxin. Also, as to Jeunggwa(The fruit of realization), the aim is to succeed to gain entry into Ilhaeng-Ssammae(Samadhi of specific action). Shenxiu of Bukjong(Northern school) suggests ``Daeseung-Obangpyeonmun(The gate of Mahayana five expedient menas) Shenxiu`s theory of the discipline is ``Gansimganjeong(Observing the mind observing the purity) and Jeunggwa(The fruit of realization) through this discipline is to gain entry into ``Yeoraejang-Cheongjeongsim(The embryo of Tathagata pure mind)``. Reaching Yukjodangyeong(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we see the thought of Seon has changed greatly, and especially the understanding of Bulseong(Buddha nature) has altered. This stance of ``Dono(Sudden enlightenment)`` brings about change in the conventional ``the view of Sujeung(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so to speak, the proposal of ``the three Nos``, that is, ``No thought·No form·No abiding``. Accordingly, ``the three Nos`` of ``No thought·No form·No abiding`` is proposed as Suhaeng(The discipline) and Sujeung(The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This ``Sujeung(the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of ``the three Nos`` is converted into so called, Suhaeng(The discipline) of ``the discipline without discipline`` and ``Jeunggwa(the fruit of realization)`` of ``the realization without realization`` which is stressed in later Josaseon(Patriarchal meditation).

      • KCI등재

        목회자의 선교활동 강화를 위한 방향 모색 :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설교 스피치 유형이 신도들의 종교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창안 ( Lee Chang An ),백승대 ( Baek Seung Dae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6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clergyman`s preaching speech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and to explain the rel ationships between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 and his believers` religios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Korean Christian church. In other words, through empirical study on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 and his believers` rel igiosity, this study tried to find more effective preaching speech types that can enhance Korean Christians` religiosity. This study categorized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of clergyman`s communication types and nonverbal communicati on factors which are being used in his preaching activity. And through multi-variance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on the research data of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s and his believers` religiosity, the study verified the causal relationsh ips between christian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s and his members` religiosit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of clergyman`s communication type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his preaching speech types could be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including `active·professi onal·reliable·cooperative type` and `passive·non-professional·non-reliable·control type`. Second, `active·professional·reliable·cooperative type` of eight preaching speech types appear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insp iring Korean Christians` religiosity, while `passive·non-professio nal·non-reliable·control type` proved to be the most in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