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DIS 전천후 기상자료 기반의 생물리학적 벼 수량 모형 개발

        이지혜,서범석,강신규,Lee, Jihye,Seo, Bumsuk,Kang, Sinkyu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벼 등 식량작물 작황 추정의 경제, 산업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생물리 모형과 원격탐사 기반의 위성자료를 활용한 작황 추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성 기반의 전천후 기상 입력자료(i.e. 기온, 대기 수증기압 포차, 일사량)와 빛 이용효율 모형을 이용한 생물리적 작물 성장 알고리즘을 벼에 적용하여 벼의 수확량을 수확 시기 보다 이르게(9월 중순 경)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03년부터 2014년까지 12년간 경상권을 제외한 국내의 군 단위 행정구역별 벼 수확량을 추정하고, 이를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현미 생산량 통계와 비교, 평가하였다. 벼 건중량, 수확지수 그리고 수확량 추정 결과는 각각 지도로 작성하여 공간적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전국 평균 추정 건중량은 평균오차(ME)가 0.56%, 평균절대오차(MAE)가 5.73%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도별 군 단위 건중량은 ME가 0.10%에서 2.00%, MAE가 2.10에서 11.62%의 범위를 보였다. 추정된 건중량은 강원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과대 모의하고, 충청 이남의 도심과 서해 인근지역에서 과소 모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중량과 유관한 통계청 자료(i.e. 볏짚 생산량)와는 상반된 변동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입력자료의 해상도(1 km)로 인한 픽셀 내 토지피복 이질성으로 인한 오차로 사료된다. 또한 생육기간 이후 수확시기의 생육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을 향후 연구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importance of rice as a global staple food, sever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rice yield estimation by combining remote sensing data with carbon cycle modell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imate rice yield in Korea using such an integrative model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in combination with a biophysical crop growth model. Specifically, daily meteorological inputs derived from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and radar satellite products were used to run a light use efficiency based crop growth model, which is based on the MODIS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algorithm. The modelled biomass was converted to rice yield using a harvest index model. We estimated rice yield from 2003 to 2014 at the county level and evaluated the modelled yield using the official rice yield and rice straw biomass statistics of Statistics Korea (KOSTAT). The estimated rice biomass, yield, and harvest index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s were investigated. Annual mean rice yield at the national level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yield statistics with the yield statistics, a mean error (ME) of +0.56% and a mean absolute error (MAE) of 5.73%. The estimated county level yield resulted in small ME (+0.10~+2.00%) and MAE (2.10~11.62%),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unty-level yield statistics, the rice yield was over estimated in the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and under estimated in the urban and coastal counties in the south of Chungcheong province. Compared to the rice straw statistics, the estimated rice biomass showed similar error patterns with the yield estimates. The subpixel heterogeneity of the 1 km MODIS FPAR(Fraction of absor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may have attributed to these errors. In addition, the growth and harvest index models can be further developed to take account of annually varying growth conditions and growth timings.

      • KCI등재

        소아 청소년에서 하악공 및 하악소설의 위치에 대한 CBCT 분석

        이지혜,최남기,김병기,김선미,Lee, Jihye,Choi, Namki,Kim, Byunggee,Kim, Seonmi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이용해 소아에서 연령에 따른 하악공과 하악소설의 위치 및 하악소설의 형태를 평가하고,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고려할 수 있는 자입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잉치 발거 또는 매복치 평가를 위해 CBCT를 촬영한 만 6 - 16세의 영상을 수집하였다. 연령에 따라 만 6 - 7세, 10 - 11세, 15 - 16세의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군당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여 총 180명의 하악지 좌우가 분석되었다. 좌우 측의 하악소설로부터 하악지의 전연, 후연, 상연, 하연까지의 최단거리를 계측하고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최단거리,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수직거리를 각각 측정하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를 기준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하악지의 전후방 및 수직적 기준점으로부터 하악소설의 위치는 연령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거리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 및 하악공의 거리는 연령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는 삼각형 형태가 가장 많았고 결절형, 절두형, 동화형 순이었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수평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하악지의 전연으로부터 연령에 따라 각각 17 mm, 18 mm, 19 mm로 증가된 지점이 권장되며, 수직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연령에 따라 교합평면 상방 2 - 3 mm, 5 - 6 mm, 9 - 10 mm로 자입점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loc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dibular lingula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ndibular CBCT images of children aged 6 - 16 years were collected. A total of 180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6 - 7, 10 - 11 and 15 - 16 years, with 30 male and female patients per group. Either side of the ramus was analyzed. The shortest distances from the anterior, posterior, superior and inferior border of the ramus to the mandibular lingula were measure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was also measured.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was measured. The shapes of the mandibular lingula was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distances of the mandibular lingula from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reference points of the ramus increased in all directions with age. The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also increased with age.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moved upwards with age. The most common shape of the mandibular lingula was triangular, followed by nodular, truncated and assimilat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hape according to age. It is recommended that the horizontal insertion point of the anesthesia from the anterior border of the ramus increased to 17 mm, 18 mm, and 19 mm according to the age group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vertical insertion point increased by 2 - 3 mm, 5 - 6 mm and 9 - 10 mm above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the age groups.

      • KCI등재

        액션러닝 기반 온라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협업능력에 미치는효과

        이지혜,한미라,Lee, Jihye,Han, Mira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oper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Similar experimental study of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online class. A total of 47 nursing students who were junior grade from one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aired t test using the SPSS/Window 21.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mprovement after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was significa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3.832, p<.001), academic self-efficacy(t=4.258, p<.001), and cooperation ability(t=3.853, p<.001). These findings imply the value of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to enhan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same group including control group and blended learning method using action learning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 KCI등재

        부모 이혼 과정에서 의사표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이지혜(Lee j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이 연구는 부모가 이혼하게 될 경우 함께 살게 될 양육자, 비양육자와의 만남, 전학, 이사 등 청소년의 삶과 관련된 일들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청소년들이 의사표현을 통한 참여를 원하는지 여부와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 구대상자는 인천시와 경기도 G시에 거주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391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가 이혼하게 될 경우 청소년들은 93.9%가 부모 이혼 과정에서 의사표현을 통한 참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참여를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급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표현을 통한 참여를 희망한다는 청소년 중 부모의 이혼을 경험하였으나 실제로 참여했던 청소년의 비율은 낮았다. 셋째, 의사표현을 통해 참 여하겠다고 한 청소년들은 자신의 삶이기 때문에 스스로가 선택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반면 참여하지 않겠다고 한 청소년들은 이혼은 부모님 두 분의 일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 이혼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고 청소년의 긍정적 적응과 나아가 자기실현의 삶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adolescents wan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ir reasons in determining the lives of adolescents if their parents are divorc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most Adolescents wan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bout divorce. According to gender analysis, female students wanted more participation than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Second, Among adolescents who said they wanted to participat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y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but the percentage of adolescent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as low. Third, Adolescent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had the highest number of reasons that they felt they had to choose because of their own lives.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who refused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cognized that a divorce is the parent’s dec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guide the prevention of negative effects of parental divorce and the creation of a point of intervention and strategy to promote a positive adaptation of adolescents and, ultimately, a life of self-realization.

      • KCI등재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컨설팅장학 운영 모형 검증: 시교육청과 도교육청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지혜(Lee, Jihy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컨설팅장학 운영 모형을 검증하고, 시교육청 운영 모형과 도교육청 운영 모형을 비교하는 것이다. 컨설팅장학 운영 모형의 변수들은 교육청(교육지원청)의 지원, 컨설턴트의 내용전문성, 컨설턴트의 방법전문성, 의뢰인의 전문성 신장, 의뢰인의 자발성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 각 시•도교육청에서 한국지방교육연구소로 제출한 명단에 나와 있는 컨설팅장학 의뢰인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자료는 Amos 20.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최종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²=1370.291(df=37, p=.000), RMSEA는 .085, GFI는 .950, AGFI는 .911, NFI는 .967, TLI는 .953, CFI는 .968이었으며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왔다. 둘째, 시교육청과 도교육청의 구조방정식모형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시교육청 컨설팅장학 운영 모형의 경우 도교육청 컨설팅장학 운영 모형과는 달리 교육청(교육지원청)의 지원이 의뢰인의 전문성 신장과 자발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고, 컨설턴트의 내용전문성과 방법전문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nsulting supervision operation model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d to compare the educational model of the city office and that of the provincial office. The variables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operation model are the support of the office of education (local office of education), contents professionalism of the consultant, method professionalism of the consultant, professional enhancement of the client, and voluntariness of the cli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50 clients. AMOS 20.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formity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operation model was validated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The support of the office of education (local office of education) gave the direct impact on the contents professionalism of the consultant, method professionalism of the consultant, professional enhancement of the client, voluntariness of the cli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al model of the city office and that of the provincial office. The support of the office of education (local office of education) did not give any direct impact on the professional enhancement of the client or voluntariness of the client in the educational model of the city office.

      • KCI등재후보

        경기도 학생 평가 정책에 대한 IPA

        이지혜(Lee, Jihye)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학생 평가 정책에 대하여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정책에 대한 인지정도-실행도, 정책의 필요성-실행도, 정책에 대한 기대수준-실행도로 구분하여 그 차이는 어떠한지 그리고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평가는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3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 며, IPA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에 대한 인지정도와 실행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별 학생 평가와 정의적 능력 평가가 인지수준에 비해 실행정도가 낮은 제2사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선적으로 실행도를 높여야 하는 평가이다. 둘째, 필요성과 실행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정의적 능력 평가가 필요성에 비하여 실행도는 낮은 제2사분면에 속하는 항목으로 나타나 우선적으로 실행도를 높여야 하는 평가이다. 셋째, 기대수준과 실행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별 학생평가와 정의적 능력 평가가 기대수준과 현재 실행정도가 모두 낮은 제3사분면에 위치한 평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평가는 정의적 평가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의적 평가 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필요성에 적합한 수준으로 실행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정의적 평가에 대한 개선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교사의 학생별 평가에 대하여 그 필요성, 기대수준과 함께 실행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편 논술형 평가는 현재 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할 평가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roposed study on the student evaluation policy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level of policy implementation against three criteria; awareness, necessity and expectation on the policy,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The 3-year data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was utilized for the research, and an IPA was conducted.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policy implementation against the level of awarenes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not high compared to the level of policy awareness with regard to teachers’ individualized assessmen and affective competence assessment, with result being laid on the 2nd quadrant. This indicates that the area should have higher priority in implementing a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Second, analysis of policy implementation with respect to necessity of the policy again showed the result lying on the 2nd quadrant, implying the affective competence assessment is not being executed to the level that is commensurate to the degree of necessity. This area may require preferential attention and improvement.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implementation with respect to expectation was on the 3rd quadrant, which implies that both expectation and implementation are lower regarding the teachers’ individualized assessment and affective competence assessment. In conclusion, a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is required to place priorities in raising awareness of and expectation for the policy, and in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it in connection with the teachers’ individualized assessment and affective competence assessment, while simultaneously improving the level of policy implementation. Furthermore, for the essay-type assessment, which is being implemented effectively, effor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same level of effectiveness.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사회 수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이지혜(Jihye Lee),장형식(Hyungsik Chang),박영일(Young il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은 자동차의 산업생태계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사회적 수용성은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가 성공하기 위한 중요한 영향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수요자 관점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개입 여부에 따라 부분자율주행자동차(PAV)와 완전자율주행자동차(FAV)로 정의하였다. 설문은 운전자뿐만 아니라 비운전자도 포함하여 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PAV와 FAV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르게 나타났다. PAV의 경우 운전자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 수용성에 영향을 미쳤고, FAV의 경우 외부 환경 요인들이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AV와 FAV의 수용 확산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vehicles will bring about not only changes in existing automotive ecosystem but also widespread changes in our live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Social acceptance is one of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influencing factors in the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s in terms of consumers. Autonomous vehicles in this study were defined as PAV (Partial Autonomous Vehicles) and FAV (Full Autonomous Vehicles) by drivers’ intervention or not.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20 years old including not only drivers but also non-dr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PAV and FAV were different. Factors directly related to drivers influenced PAV acceptance whil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d FAV acceptance. This study is proved that is should need different strategies between PAV and FAV for increasing those acceptance.

      • KCI등재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 Lee Jihye ),장영숙 ( Jang Youngso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201명과 그들의 부모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모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부모의 훈육행동에 대해 솔직하게 응답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유아의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에 대해 신뢰롭게 평정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 WINDOW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타인지향적 귀납과 규범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은 유아의 자율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아버지의 권력단언과 애정철회 훈육방식은 자율성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어머니의 규범지향적 귀납, 어머니의 타인지향적 귀납, 아버지의 자기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애정철회와 아버지의 권력단언 훈육 방식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는 타인지향적 귀납과 규범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아버지는 권력단언과 애정철회 훈육방식을 지양해야 하며,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는 규범지향적 귀납과 타인지향적 귀납을 많이 사용하고 애정철회 훈육 방식을 지양해야 하며 아버지는 자기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권력단언의 훈육방식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s` discipline style on their child`s autonomy and ego-resilien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1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H private pre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their parents. Parents responded for the questionnaires of parents` discipline style, their child`s autonomy and ego-resiliency. Parents were asked to answer honestly for their disciplines style and to rate reliably for their child`s autonomy and ego-resilien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3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ther-oriented induction and norm-oriented ind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s autonomy, while the fathers` power assertion and love withdrawal discipline style affected negatively their child`s autonomy. Second, the mothers` norm-oriented induction and other-oriented induction, the fathers` self-oriented ind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s ego resiliency. The fathers` power assertion and the mothers` love withdrawal, however, affected negatively their child`s ego resiliency. These results imply that mothers` use of other-oriented induction and norm-oriented induction discipline style can improve their child`s autonomy and fathers` use of power assertion and love withdrawal discipline style can lower their child`s autonomy, and that mothers` use of other-oriented induction and norm-oriented induction discipline style and fathers` use of self-oriented induction can improve their child`s ego-resiliency and fathers` use of power assertion and mothers` love withdrawal can lower their child`s ego-resil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