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ikuchi-Fujimoto Disease, A Possible Complication of Rituximab Treatment

        이지원,장혜진,이상택,강희경,하일수,정해일,Lee, Jiwon,Chang, Hye Jin,Lee, Sang Taek,Kang, Hee Gyung,Ha, Il Soo,Cheong, Hae Il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1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6 No.2

        리툭시맙(Rituximab)은 CD20에 대한 키메라형 IgG1 단클론 항체로 스테로이드 의존성 또는 난치성 신증후군에 대한 새로운 치료약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툭시맙의 약제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스테로이드 의존성 신증후군을 앓고 있던 9세 남아에서 수차례의 리툭시맙 사용 후 기쿠치병(Kikuchi-Fujimoto disease)이 병발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기쿠치병은 자연 회복의 양성 경과를 보이는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으로 아직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증례에서는 환자의 말초 혈액 B 면역세포 수치가 매우 감소되었을 때 발병하였으며, 이후 환자의 B 면역세포가 회복되면서 서서히 자연 소실되었다. 이 증례는 비록 병리 조직학적 진단은 뒷받침되지 못하였지만 임상적으로 진단된 기쿠치병이 리툭시맙 사용의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연관성을 시사하는 첫 번째 보고로써, 소아 신증후군에서 리툭시맙 사용의 안전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Rituximab, a chimeric anti-CD20 IgG1 monoclonal antibody, has been used as a rescue therapy for steroid-dependent or refractory nephrotic syndrome. However, the adverse effects of rituximab are yet to be investigated. We report a case of a 9-year-old boy with steroid-dependent nephrotic syndrome who developed Kikuchi-Fujimoto disease after several cycles of rituximab therapy. Kikuchi-Fujimoto disease is a benign, self-limited necrotizing histiocytic lymphadenitis of unknown etiology. In the present case, Kikuchi-Fujimoto disease developed when the peripheral blood B-cell count of the patient was at nadir, and the lesion regressed slowly but spontaneously after recovery of the B-cell count. To our knowledge, although the pathologic diagnosis of Kikuchi-Fujimoto disease was unavailabl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Kikuchi-Fujimoto disease with clinical diagnosis as a possible adverse effect of rituximab.

      • KCI등재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 약물 가감(加減) 원리

        신승원,이지원,황민우,이준희,고병희,이의주,Shin, Seungwon,Lee, Jiwon,Hwang, Minwoo,Lee, Junhee,Koh, Byunghee,Lee, Euiju 사상체질의학회 2016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8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a hypothetical principle to add or abstract herbs for modifying Taeeumjowi-tang.Method Based on Jema Lee's literatures such as Dongyisusebowon and Dongyisasangsipyeon, we analyzed contents related to Taeeumjowi-tang and its modification. Moreover, we reviewed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ecularities of Taeeumin symptomatology and applied the theory to induce the principle of the modified Taeeumjowi-tang in Sasang medicine.Results and Conclusions 1) We have found 10 modified Taeeumjowi-tang from Dongyisasangsipyeon. 2) Mahwangjowi-tang (麻黃調胃湯), Gogijowi-tang (固氣調胃湯), Shingijowi-tang (腎氣調胃湯), Euiyiinjowi-tang (薏苡仁調胃湯), Gamijowi-tang (加味調胃湯), and Gyeongheomjowi-tang (經驗調胃湯) are modified for Taeeumin who have original symptoms of more severe cold tendency. Especially, Gogijowi-tang helps to circulate energy-fluid from esophagus to skin, while Shingijowi-tang directly aids the function of esophagus. 3) Seungjijowi-tang (升芷調胃湯), Seunggeumjowi-tang (升芩調胃湯), Seunggijowi-tang (承氣調胃湯), and Jowisokmyung-tang (調胃續命湯) are modified for Taeeumin who have originally cold symtoms, accompanied by heat tendencies. Especially, Seungjijowi-tang helps to eliminate mild heat existing throughout skin and flesh, while Seunggeumjowi-tang gets rid of severe heat swarming in the flesh parts. Seunggijowi-tang can take away the most severe heat symptoms in the whole body

      • KCI등재

        만성 족저 근막염 환자에게 전향적으로 시행한 스테로이드 주사와 주사침 천공술

        이지원,정진화,Lee, Jiwon,Chung, Jin-Wha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needle fenestration with a corticosteroid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lantar fasciitis. We hypothesized that needle fenestration would be as effective as a corticosteroid injection while avoiding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the corticosteroid. Materials and Methods: Forty female patients with unilateral chronic plantar fasciitis who did not respond to a minimum of 6 months of various conservative treatments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a corticosteroid injection or needle fenestration. Visual analogue scale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ore were used for all patients before treatment and at 3-, 6-, and 12-month following treatment. Results: The corticosteroid injection group had a before-treatment average AOFAS Ankle-Hindfoot score of 56.4, which increased to 87.3 at 3 months and 78.2 at 6 months after treatment but decreased to 62.4 at 12 months. The needle fenestration group had a before treatment average AOFAS ankle-hindfoot score of 49.5, which increased to 77.8 at 3 months and 92.1 at 6 months after treatment and remained at a high score of 89.4 at 12 month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in either group.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lantar fasciitis, needle fenestration is as effective at 3- and 6-month post-treatment as a corticosteroid injection. Also, unlike a corticosteroid, its effect remains until 12 months post-treatment.

      • KCI등재

        영점 강제 다중 사용자 MIMO 전송 시 셀 간 정보 교환을 활용한 협력적 PF 스케쥴러의 성능 평가

        이지원(Jiwon Lee),성원진(Wonjin Sung) 대한전자공학회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7 No.2

        다중 사용자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에서 협력적 전송을 기반으로 한 협력적 PF (Proportional Fair) 스케쥴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평균 전송률의 로그 합 성능의 개선이 가능하다. 단일 셀 기반의 기존 PF 알고리듬은 여러 채널 환경에 대하여 그 성능이 평가되어 왔으나 여러 개의 기지국들이 스케쥴링에 참여하여 한 프레임 동안 다수의 사용자를 스케쥴링하는 알고리듬의 제시 및 성능 평가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셀에 속하는 인접한 세 섹터에 위치한 기지국들이 사용자들의 채널 정보를 교환하여 다중 사용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협력적 PF 스케쥴러를 분산 다중 사용자 MIMO 시스템에 적용하고 사용자 평균 전송률의 로그 합 성능을 평가한다. 또한 그 성능을 기지국 간의 채널 정보 교환 없이 자원을 할당할 사용자를 각자 선택하는 병렬적 PF 스케쥴러와 자원 할당 시 선택할 수 있는 동시 사용자 그룹의 모든 조합을 검색하는 full-search 협력적 PF 스케쥴러의 평균 전송률의 로그 합 성능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에 적용된 협력적 PF 스케쥴러는 하위 사용자 평균 전송률의 로그 합 성능 측면에서 병렬적 PF 스케쥴러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또한 모든 조합을 검색함으로서 가장 큰 평균 전송률의 로그 합 성능을 나타내는 full-search 협력적 PF 스케쥴러의 성능의 대부분을 달성하면서도 연산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킨다. Multi-user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require collaborative PF scheduler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og sum of average transmission rates. While the performance of single cell based conventional PF schedulers has been evaluated over various channel conditions, scheduling algorithms by multiple base stations which select multiple users over a given time frame and their performance require further investigations. In this paper, we apply a collaborative PF scheduler to the distributed multi-user MIMO system, which assigns radio resources to multiple users by exchanging user channel information from base stations located in three adjacent sectors. We further evaluate its performance in terms of the log sum of average transmission rates. The performance is compared to that of the full-search collaborative PF scheduler which searches over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user groups, and that of a parallel PF scheduler that determines users without channel information exchange among base stations. We show the log sum of average transmission rates of the collaborative PF scheduler outperforms that of the parallel PF scheduler in low percentile region. 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PF scheduler exhibits a negligible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compared to the full-search collaborative PF scheduler while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achievabl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바슐라르의 시적 상상력에 따른 한옥의 원초적 거주공간의 존재방식

        이지원 ( Jiwon Lee ),유진형 ( 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현대의 도시공간에서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공간과의 원초적 관계성은 어떠한 존재적 특성을 갖고 있는가? 바슐라르가 제시하는 시적 상상력이 우리의 실제적인 삶과 공간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게 될 수 있는가?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의 전통 가옥인 한옥의 자연성을 통해 공간의 존재방식의 특성을 찾고자 한다. 우리의 한옥이 갖고 있는 거주공간의 자연성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징이 바슐라르의 시적 상상력의 현상학적인 측면과 어떠한 관계맺음을 하고 있는지 추적한다. 이러한 접근의 과정에서 바슐라르의 이미지의(상상력의) 현상학 중 시적 상상력의 개념을 통해 현재의 거주공간 안에 담고 가야할 본연적 가치의 필요성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바슐라르의 이미지의 현상학 중 시적 상상력에 따른 영역을 바탕으로 한옥공간에서의 시적 거주를 통한 원초적 공간의 존재방식에 관한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적 상상력이 거주공간의 원초적 특성을 어떻게 발현케 하는지에 관한 접근과 한옥의 자연친화적 공간개념과의 관계성을 드러내어 향후 인간이 체험하는 공간에 관한 현상학적인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바슐라르의 시적 상상력의 특성을 추출한 후, 이 특징들이 한옥의 자연성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본다. (결과) 한옥공간의 자연성은 자연, 가옥, 인간이 하나로 이루어지려는 전일성과 융합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자연의 역동적인 생명성을 닮은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려는 원리를 갖고 있었고, 이는 바슐라르의 몽상하는 자, 즉깨어있으면서 꿈을 꾸는 자의 적극적인 지각현상에 의해 역동적으로 재생되는 이미지의 생성과정과도 연결 되었다. 이러한 연결로 인하여 시적 상상력이 가능한 한옥의 원초적 거주공간은 상상력이 가능한 순간들의 거듭난 이미지들로 채워졌다 . 이미지들은 더 이상 고정되어있지 않고 주체적 능동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었다. (결론) 바슐라르가 몽상하는 인간의 역할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이미지는 이제까지 끊겨있었던 인간의 자아의식과 본질들과의 건강한 접촉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회복에 집중되는 현상은 결국 인간의 공간이 자연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인간이 공간을 대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즉 상상력에 따른 심상작용, 즉 시화에 근거하고 있었다. 결국 한옥의 자연성은 거주자가 자연과 친숙해지려는 삶의 태도와이를 바탕으로 한 상상력을 통해 거주자의 공간을 시화 하려는 적극적인 에너지를 향하고 있었다. 시화된 한옥공간의 생명원리인 역동적인 변형태 현상의 운동성은 적극적인 상상을 통해 이루어진 이미지의 운동성과 닮아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What kind of existential characteristic does the primordial relationship have with the space we experience in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Does the poetical imagination suggested by Bachelard have any influence on our real perceptional life and space? Concerning these aspects, this study look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ence mode of the space through the naturalness of Hanok, which is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alness of dwelling space that Hanok possesses, and aims to trace what kind of relationship it has with the aspect of phenomenology of poetic imagination described by Bachelard. The process of this approach induces the necessity of determining the inherent value that it should hold in the current dwelling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poetic imagination in Bachelard``s concept of Image Phenomenology. (Metho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ence mode of primordial space through poetic dwelling at the Hanok space based on the area according to the poetic imagination as per Bachel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pproach how the poetic imagination reveals the primordial characters of dwelling space and the setting of the phenomenological mode on the space that people experience in the future by showing its relation to the nature-friendly space concept of Hanok. After distilling the characteristics of Bachelard``s poetical imagination, it seeks to fi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naturalness of Hanok. (Results) The naturalness of Hanok space had the principle of becoming the image consistently similar to the dynamic vitality of nature due to its characteristic holism and convergence that attempts to form a unity between nature, house, and human. It was also connected to the process of becoming of image that was dynamically replayed by the active acknowledgement phenomenon of dreaming people of Bachelard, that is dreaming people who are awake at the same time. Due to these connections, the primordial dwelling space of Hanok that makes the poetical imagination possible is filled up with reborn images of moments. These images were subjectively and actively vitalized without being fixed anymore. (Conclusions) The image that Bachelard wanted to realize through the role of dreaming people plays a role in recovering a healthy contact between the self awareness of people and nature. The phenomenon that is concentrated on restoration was eventually ab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human space made with nature. This means that it was based on the energy that occurred when people face the space, that is image-interactive according to the imagination, in other words, po?tiser. In the end, the naturalness of Hanok towards the affirmative energy that was to po?tiser the space of dwellers through the imagination based on the dweller``s attitude, to become friendly with nature. The motility of the dynamic metamorphosis phenomenon that was the law of vitality of Hanok``s space that was poetiser, was similar to the motility of image which was made by the active imagination.

      • KCI등재

        하수처리장에서의 연계처리수 요금 개선에 따른 경제성 분석

        이지원(Jiwon Lee),길경익(Kyungik Gil)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2

        최근 고농도의 연계처리수를 인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하고 있으나, 합리적이지 못한 연계처리 요금제도로 인해 지자체에서 하수처리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며 이를 증명할 수 있는 근거나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다. 하지만, 국가 필수기반시설인 하수처리장은 일반적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를 받기 때문에 경제성 평가를 실시한 사례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 연계처리 부과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여 개선안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 대비 얼마나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는지 비교평가를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환경시설의 예비타당성 평가 자료와 노후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진행 시 책정한 비용인자와 편익인자를 참고하였고, 연구진이 자체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연계처리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편익 등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에는B/C(Benefit/cost)값이 상당히 낮았으나, 연구진이 제안한 개선안을 적용하였을 경우 B/C값이 1에 가깝게 증가하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이 제안한 연계처리 부하에 따라 연계처리 부과금을 산정하는 방식은 매우 합리적이고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high-concentration linked wastewater has been introduced into a nearby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MWTPs), but it is difficult to MWTP in local governments due to an unreasonable linked treatment charge system, and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or data to prove this. However, the MWTP, which is a national essential infrastructure, is generally exempt from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o there have been no cases where economic evaluation was conducted. Therefore, we proposed an improvement plan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linked processing charges through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evaluation of how much economic feasibilit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when applying the improvement plan by conducting an economic analysis. For this, reference was made to the preliminary feasibility assessment data of the existing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the cost factors and benefit factors established during the modernization of the ol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C(Benefit/cost) value was quite low in the past, but when the improvement proposal proposed by the researchers was appl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B/C value increased close to 1.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reasonable to calculate the linkage processing charge according to the linked wastewater load proposed by the researchers.

      • KCI등재

        전사 방식에 따른 쓰기 평가자의 베타파와 감마파의 차이 분석

        이지원 ( Jiwon Lee ),박영민 ( Youngmin Park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1

        이 연구는 평가자들이 쓰기 평가에서 손글씨로 쓴 글과 키보드로 쓴 글의 평가 과정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평가 단계별로 뇌파를 측정하고 전사 방식을 독립 변수로 설정하여 베타파와 감마파의 차이와 변화 양상을 탐색하였다. 첫째, 글 평가 결과 Cronbach α 계수에서 손글씨 .945, 키보드 .913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전사 방식 간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전사 방식 간 뇌파의 차이는 좌측 전전두엽(Fp1) 부위의 베타파와 감마파 모두 평가 단계 후기에 손글씨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 단계 전기, 중기, 후기에 대한 변화의 양상을 관찰한 결과, 전전두엽 부위의 베타파가 손글씨로 쓴 글은 평가 초반의 베타파가 거의 유지되는 반면, 키보드로 쓴 글은 베타파가 평가 초반에 비해 감소하였다. 감마파는 양쪽 조건 모두 평가 중반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평가자들이 평가 중 겪는 인지적 부담에 따른 정신적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전사 방식이 평가자의 인지적 부담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쓰기 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가의 실용도 측면에서 평가자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손글씨보다는 키보드로 쓴 글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키보드 쓰기 방식은 글씨의 후광 효과에 의한 평가 점수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저해하지 않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도 유효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anscription mode effects in a writing assessment. We conducted EEG study that focused on beta-gamma activity from 15 participants. For analysing EEG, we divided raw data into three stage (early vs. middle vs. late). These data was tested for difference in transcription modes (handwriting vs. keyboarding) with the inter-sessions. Our data suggests that both conditions were sustained high inter-rater reliability, and differences in an average score were not significant. Considering the transcription mode, beta-gamma signal in handwriting condi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keyboarding condition in the left prefrontal. Also each stage of evaluating was changed as differently trends. In the latter part of evaluating, beta activity declines in keyboarding essay condition. In contrast, beta activity maintained the level of measures in handwriting essay condition. At the middle part of evaluating, gamma activity was the highest. These relate to rater`s cognitive work load in the brain and stress during evaluating. We suggest keyboarding essay condition is good to raters, since it can reduce their fatigue. As a result, keyboarding essay condition can effect not only their performance but also fine validity,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writing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