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커 제어 워터셰드와 타원 적합기법을 결합한 다중 교모세포종 분할

        이지영,정다은,이현우,양세정,Lee, Jiyoung,Jeong, Daeun,Lee, Hyunwoo,Yang, Seju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4

        In order to analyze cell images, accurate segmentation of each cell is indispensabl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accurate cell image segmentation is not easy due to various noises, dense cells, and inconsistent shape of cell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ombines marker-based watershed segmentation and ellipse fitting method for glioblastoma cell segmentation. In the proposed algorithm, in order to solve the over-segmentation problem of the existing watershed method, the marker-based watershed technique is primarily performed through "seeding using local minima". In addition, as a second process, the concave point search using ellipse fitting for final segment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concave points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compared three algorithms with other algorithms along with the calculation of segmentation accuracy, and we applied the algorithm to other cell image data to check the generalization and propose a solution.

      • KCI등재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펄스형 전자기장 자극을 통해 DNCB로 유발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 분석

        이지영,김준영,이예린,김고은,이용흠,양세정,Lee, Jiyoung,Kim, Jun-Yong,Lee, Yerin,Kim, Ko Eun,Lee, Yongheum,Yang, Seju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3

        Atopic dermatitis (AD),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is characterized by itchy and age-dependent lesion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significantly improved chronic ulcers and ununited fractures, providing an evidence for the application of PEMF in resolving inflammation caused by A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MF on DNCB-induced AD in animal models. Five male hairless mice (6 weeks old) per group were assigned to a normal group, a sham group, and two PEMF groups (15Hz, 75Hz). Mice were treated with 2,4-Dinitrochlorobenzene (DNCB) to induce uniform AD among all groups excluding a normal group. To examine the inflammatory progress and the improvement of AD after the PEMF stimulation, images are taken with various cameras for non-invasive evaluation and the results are express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vis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EMF effectively improved skin lesions without the use of drugs.

      • KCI등재

        특징 선택과 서포트 벡터 머신을 활용한 에너지 절도 검출

        이지영,선영규,이승우,김진영,Lee, Jiyoung,Sun, Young-Ghyu,Lee, Seongwoo,Kim, Jin-Yo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5

        As the electricity grid systems has been intelligent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users connected to the grid is available to acquired and analyzed for the power utilities. In this paper, the energy theft problem is solved by feature selection methods, which is emerging as the main cause of economic loss in smart grid. The data preprocessing steps of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five steps. In the feature selection step, features are select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mutual information (MI) based method, which are filtering-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erformance of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is higher than the case of using all the input features of the input data for the case of the MI 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 전력 그리드 시스템이 ICT 기술의 발달로 지능화됨에 따라 그리드에 연결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에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인 에너지 절도 문제를 특징 선택과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해서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전처리 과정은 다섯 단계다. 전처리 단계에서 필터링 기반 특징 선택 방법인 분산 분석 기반 방식과 상호의존정보 기반 방식을 활용해 특징을 선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 데이터의 특징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보다 상호의존정보 기반 특징 선택을 이용하면 적은 입력 특징을 이용해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분류기로부터 더 높은 분류 성능을 얻어 낼 수 있다.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과 학습기법을 이용한 부동산가격지수 예측

        이지영,유재필,Lee, Jiyoung,Ryu, Jae Pil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방법론이 발전하고 있지만 부동산 분야에 대한 연구는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불어 일반 시장 참여자들의 지식이 확장되면서 정성적인 심리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원천 데이터가 아닌 심리적 부분을 반영한 정량 데이터를 텍스트마이닝과 k-meas 알고리즘을 통해 수집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신경망 학습을 통해 주택 지수의 방향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데이터를 학습 기간으로 하고 2020년도를 예측 기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두 가지 CASE에서 예측 능력이 약 80% 이상으로 우수하였고 주택지수의 상승 구간에서의 예측 강도 또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의사결정에 있어서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에게 인공신경망과 같은 과학적 방식의 활용도 증가 및 고전적 방식에서 벗어난 원천 데이터의 대체 데이터 확보 등에 대한 노력이 증진되기를 기대한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ata-driven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developed.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f data collection in the real estate field of research. In addition, as the public becomes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real estate market, the qualitative sentiment comes to play a bigger role in the real estate market.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that reflects sentiment using text mining and k-means algorithms, rather than the existing source data, and to predict the direction of housing index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ata from 2012 to 2019 is set as the training period and 2020 as the prediction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scientific method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s rather than the use of the classical methodology for real estate market participants in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 KCI등재후보

        현대영화 몽타주의 '파편화(fragmentation)' 경향 연구

        이지영,LEE, Jiyo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7 트랜스- Vol.3 No.-

        영화학자 뱅상 아미엘은 자신의 저서 <몽타주의 미학>을 통해 몽타주의 타입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소개한다. 서사 몽타주(Montage narratif)와 담론 몽타주(Montage discursif), 대응 몽타주(Montage decorrespondances)가 그 구분법으로, 이 세 가지의 부류는 거의 대부분의 영화들이 속하는 미학적 부류를 포괄하는 개념이 된다. 초기의 영화들은 편집의 본질적이고 기본적인 기능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성향은 시간이 흐를수록 연출자의 목표를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이처럼 서사를 결합시키는 '방법론'으로서가 아니라 '목적'을 지향하는 몽타주의 방식을 본고는 표현적 몽타주(Montage expressif)로 지칭하고, 이를 진정한 몽타주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며 논의를 시작한다. 몽타주 단계에서 표현적 몽타주 작업은 총 세 단계의 결정을 통해서 이뤄진다. 일차적으로 러시 필름 중 필요한 부분만을 선정하는 '선별'의 과정을 거친 후, 이 선택된 필름들을 일정한 순서대로 결합시키는 '결합'의 과정, 그리고 쇼트의 지속 시간을 고려해 장면연결을 결정하는 '연결'이 몽타주의 마지막 단계가 된다. 물론 예외는 있다. 고전적 서사의 픽션 영화가 클로즈업을 사용할 때, 혹은 모델이나 중성적 동물의 오브제를 사용할 때 영화는 관객의 감정을 끌어당기는 '담론 몽타주'나 '서사 몽타주'가 아닌, '대응 몽타주'의 경향을 유도하고, 이는 몽타주의 일반적 의미를 거스르는 측면에서 예외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클로즈업이나 대응몽타주가 사용하는 '콜라주'를 통한 연결, 혹은 '불확실한 연관성'을 지닌 작품의 몽타주 경향을 '현대영화의 파편화(fragmentation) 경향'이라 명명하며 이를 분석하려 한다. 현대영화에서 몽타주의 파편화는 영화의 연속적이고 구조적인 속성들을 깨트리고, 영화의 표면에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서사(narration)의 구조를 혼동시킨다. 이처럼 클로즈업에서 시작된 몽타주의 파편화의 경향은 현대적 이미지의 확장성에 관한 해답을 줄 수 있으리라 본고는 바라보고 있다. The film scholar Vincent Amiel divides into three types of montage through his book The Aesthetics of Montage ; Montage narratif, Montage discursif, and Montage decorrespondances. These three categories are the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aesthetic class to which most movies belong. Early films pursued the essential and basic functions of editing, which tend to be modifi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director's goals over time. In this way, "Expressive Montage" is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s of montage, not as a 'methodology' that combines narrative but as a 'purpose'. In the montage stage, the expressive montage work is done through three steps of decision. The process of 'combining' to combine the selected films in a certain order,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which selects only necessary parts of the rush film, and 'connection' to determine the scene connection considering the duration of the shot. The connection is the final stage of the montage. There are exceptions, of course. When fiction films of classical narratives use close-ups, or when using models or objects of neutered animals, the film induces the tendency of a "montage decorrespondances" rather than a "montage narratif" or "montage discursif".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tendency of montage of works with 'uncertain connection' through 'collage' used by close-ups and montage decorrespondances as 'fragmentation tendency of modern films'. The fragmentation of the montage in contemporary film breaks the continuous and structural nature of the film, and confuses the narration structure that is visible on the surface of the film. The tendency of the fragmentation of the montage, which started from this close-up, seems to give an answer to the extensibility of the modern image.

      • KCI등재

        독서 수준을 고려한 노인 독자의 유형 설정과 이에 따른 독서 프로그램 현황 분석

        이지영 ( Lee Jiyoung ) 한국독서학회 2023 독서연구 Vol.- No.67

        이 논문에서는 독서 수준에 따라 노인 독자를 유형화하고, 노인 독자의 독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문식 입문 노인 독자는 글깨치기를 시작하여 유창성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하는 분이다. 문해 교육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어 반복 학습, 통합 교육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기초 문식 노인 독자는 3R 기초 문해 단계이기는 하나 독자로서 온전한 책 읽기 경험이 필요하다. 이때 그림책 독서 프로그램이 유용하다. 생활 문식 노인 독자는 글을 읽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으므로 적절한 텍스트와 독서 프로그램이 있다면 독서를 향유할 수 있다. 전문 활동 노인 독자는 높은 문식 능력을 가지고 인지적 차원의 독서 능력과 정의적 차원의 독서 태도를 두루 겸비한 독자로서 개인적 독서에서 사회적 독서로 전환하여 독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다. 노인 독자가 행복하고 성취감을 느끼는 독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인 독자의 독서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노인 독서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tegorization of older adult readers based on their reading level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ading programs tailored to their needs. Older adult readers in the basic literacy stage are acquiring writing skills and striving for fluency. For this group,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ocus on learning by rote and integrated education. Basic literacy older adult readers are at the 3R literacy level but require comprehensive book reading experiences as a reader. Therefore, a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can be beneficial. Living literacy older adult readers have no difficulty reading; they can enjoy reading if they have appropriate texts and reading programs to stimulate them. Professional older adult readers demonstrate advanced literacy skills, including cognitive reading ability and a positive affective reading attitud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nsitioning from individual to social reading, contributing to developing a reading cul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actice various reading programs considering the reading level of older adult readers. This can help foster a reading culture among older adults and promote social engagement through reading activities.

      • KCI등재

        논문 : 들뢰즈의 예술철학에서 윤리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지영 ( Jiyoung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3

        본 논문은 들뢰즈의 예술 철학에서 윤리적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예술이 들뢰즈의 전체 존재론적 구도에서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예술의 존재론적 전제 조건으로서의 무한한 카오스가 예술, 철학, 그리고 과학이라는 상이한 영역들에서 규범적인 지향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존재론적 규범성의 의미는 구체적인 예술인 영화의 경우 더욱 구체적으로 그 미학적, 윤리학적 함축들을 드러낸다. 특히 들뢰즈가 ‘좋은 영화’, ‘나쁜 영화’라는 표현들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들뢰즈 영화 철학의 윤리학적 함축을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예술 일반과 영화 모두에서 존재론적인 조건으로서의 무한은 규범성을 가진다. 그러한 규범성은 미학적인 것이면서 동시에 윤리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생성하는 삶의 역능을 상승시키는 힘으로서의 좋음이 바로 그 규범성의 구체적인 내용이며, 그 규범성은 미학이냐 윤리학이냐에 따라 다른모습과 대상들을 가질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일의적이기 때문이다. 윤리학과 미학은 결국 일의적인 실체의 서로 다른 양태들일 뿐이다. 그리하여 들뢰즈의 내재성의 철학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영화의 경우를 경유해 살펴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예술에서는 윤리적으로 좋지 않지만 미학적으로 좋은 작품이란 불가능하다. 들뢰즈의 철학에서 진정 아름다운 예술 작품 혹은 진실로 의미있는 예술 작품이란 결국 우리가 좋은 삶을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해 우리로 하여금 다르게 보고사유할 수 있게끔 해주는 작품일 것이다. 끊임없이 변형되는 삶의 역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예술 작품이 어떤 것일 수 있는지 쉽게 대답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들뢰즈와 더불어 우리는 매 순간 마주하게 되는 비루하고 절망적인 이 세계와의 관계에서 지향해야 할 규범성을 파악하게 되고, 이제남은 것은 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어떤 새로운 양태들로서의 길들을 창조하느냐일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ethical possibility in Deleuzian philosophy of art. For the discussion, firstly, I will show the infinite chaos as the ontological precondition of art functions as normative directionality in the areas of art, philosophy and science while showing art’s status in Deleuzian ontology. The aesthetic and ethical meanings of art are manifested more concretely when we consider his discussions on cinema as a specific a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what is the ethical implications of Deleuse’s film philosophy centering on the meanings of the expressions of ‘good film’ and ‘bad film’. The infinite as an ontological precondition is normative in art in general and cinema. The normativity implicates aesthetical and ethical meanings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good’ as a power, which ascends the transformative power of life, serves as normativity that is fundamentally univocal no matter how different its objects are. In Spinoza’s terms, aesthetics and ethics are different modalities of the univocal substance. Thus,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there is an artwork that is good aesthetically even though it is not good ethically. We can say that beautiful or meaningful artworks are artworks that make us to see and think differently in order to live a good or noble life. I cannot answer easily tothe question of what kind of artwork can augment the power of life, but, with Deleuze, we know, at least, there is a normativity we should pursue in this miserable and desperate world. So what we now have is what kinds of artistic paths --as different modalities of the normativity-- we should create in order to go to the direc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의 조절효과

        이지영(Jiyoung Lee),김성원(Sungwo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 교수효능감, 자아탄력성, 동료교사 관계의 수준과 네 변인 간의 상관관계, 테크노스트레스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교사 20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 자아탄력성, 동료교사 관계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 교수효능감, 자아탄력성, 동료교사 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 테크노스트레스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는 부분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테크노스트레스로 인해 교수효능감이 낮은 경우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의 내·외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echnostress,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th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also intende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these four variables, and any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on the association of technostress and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from September 3, 2018 to September 29, 2018,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echnostress at a moderate level, and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at slightly higher levels. There were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technostress and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and positive associations among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A partial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chnostress and teaching efficacy, was foun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a high level of technostress on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be alleviated dependant on the levels of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 KCI등재

        필리핀인 학습자대상 한국어교육 연구동향

        이지영 ( Jiyou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필리핀인 학습자대상 한국어교육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통계분석과 키워드분석을 활용하여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60편을 연구물의 특성, 영역, 키워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위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연도별로는 2011-2015년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학술지논문은 다양한 학회에서 연구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는 결혼이민자, 교육일반은 한국어와 한국어교육에 대한 영역의 연구가 많았다. 또한 연구주제는 언어습득, 연구방법은 질적연구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키워드분석결과 결혼이민여성과 다문화가정의 주제어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다양한 필리핀인 한국어 학습자를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ilipino learners.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d by using literature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keyword analysis to divide 60 degree thesis and academic dissertations into characteristics, areas, and keywords of the research material. Research Results First, the most number of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1-2015 by year. Journal articles were being studied at various academic societies. Seco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rriage immigrants, and in the case of education in general, there were many studies on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the research topic was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research method was qualitative research the most. Lastly,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the most common keywords wer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se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various Filipino Korean learners as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