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펄스형 전자기장 자극을 통해 DNCB로 유발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 분석

        이지영,김준영,이예린,김고은,이용흠,양세정,Lee, Jiyoung,Kim, Jun-Yong,Lee, Yerin,Kim, Ko Eun,Lee, Yongheum,Yang, Seju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3

        Atopic dermatitis (AD),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is characterized by itchy and age-dependent lesion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significantly improved chronic ulcers and ununited fractures, providing an evidence for the application of PEMF in resolving inflammation caused by A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MF on DNCB-induced AD in animal models. Five male hairless mice (6 weeks old) per group were assigned to a normal group, a sham group, and two PEMF groups (15Hz, 75Hz). Mice were treated with 2,4-Dinitrochlorobenzene (DNCB) to induce uniform AD among all groups excluding a normal group. To examine the inflammatory progress and the improvement of AD after the PEMF stimulation, images are taken with various cameras for non-invasive evaluation and the results are express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vis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EMF effectively improved skin lesions without the use of drugs.

      • KCI등재

        특징 선택과 서포트 벡터 머신을 활용한 에너지 절도 검출

        이지영,선영규,이승우,김진영,Lee, Jiyoung,Sun, Young-Ghyu,Lee, Seongwoo,Kim, Jin-Yo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5

        As the electricity grid systems has been intelligent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users connected to the grid is available to acquired and analyzed for the power utilities. In this paper, the energy theft problem is solved by feature selection methods, which is emerging as the main cause of economic loss in smart grid. The data preprocessing steps of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five steps. In the feature selection step, features are select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mutual information (MI) based method, which are filtering-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erformance of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is higher than the case of using all the input features of the input data for the case of the MI 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 전력 그리드 시스템이 ICT 기술의 발달로 지능화됨에 따라 그리드에 연결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에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인 에너지 절도 문제를 특징 선택과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해서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전처리 과정은 다섯 단계다. 전처리 단계에서 필터링 기반 특징 선택 방법인 분산 분석 기반 방식과 상호의존정보 기반 방식을 활용해 특징을 선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 데이터의 특징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보다 상호의존정보 기반 특징 선택을 이용하면 적은 입력 특징을 이용해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분류기로부터 더 높은 분류 성능을 얻어 낼 수 있다.

      • KCI등재

        마커 제어 워터셰드와 타원 적합기법을 결합한 다중 교모세포종 분할

        이지영,정다은,이현우,양세정,Lee, Jiyoung,Jeong, Daeun,Lee, Hyunwoo,Yang, Seju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4

        In order to analyze cell images, accurate segmentation of each cell is indispensabl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accurate cell image segmentation is not easy due to various noises, dense cells, and inconsistent shape of cell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ombines marker-based watershed segmentation and ellipse fitting method for glioblastoma cell segmentation. In the proposed algorithm, in order to solve the over-segmentation problem of the existing watershed method, the marker-based watershed technique is primarily performed through "seeding using local minima". In addition, as a second process, the concave point search using ellipse fitting for final segment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concave points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compared three algorithms with other algorithms along with the calculation of segmentation accuracy, and we applied the algorithm to other cell image data to check the generalization and propose a solution.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과 학습기법을 이용한 부동산가격지수 예측

        이지영,유재필,Lee, Jiyoung,Ryu, Jae Pil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방법론이 발전하고 있지만 부동산 분야에 대한 연구는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불어 일반 시장 참여자들의 지식이 확장되면서 정성적인 심리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원천 데이터가 아닌 심리적 부분을 반영한 정량 데이터를 텍스트마이닝과 k-meas 알고리즘을 통해 수집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신경망 학습을 통해 주택 지수의 방향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데이터를 학습 기간으로 하고 2020년도를 예측 기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두 가지 CASE에서 예측 능력이 약 80% 이상으로 우수하였고 주택지수의 상승 구간에서의 예측 강도 또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의사결정에 있어서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에게 인공신경망과 같은 과학적 방식의 활용도 증가 및 고전적 방식에서 벗어난 원천 데이터의 대체 데이터 확보 등에 대한 노력이 증진되기를 기대한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ata-driven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developed.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f data collection in the real estate field of research. In addition, as the public becomes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real estate market, the qualitative sentiment comes to play a bigger role in the real estate market.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that reflects sentiment using text mining and k-means algorithms, rather than the existing source data, and to predict the direction of housing index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ata from 2012 to 2019 is set as the training period and 2020 as the prediction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scientific method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s rather than the use of the classical methodology for real estate market participants in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 KCI등재후보

        현대영화 몽타주의 '파편화(fragmentation)' 경향 연구

        이지영,LEE, Jiyo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7 트랜스- Vol.3 No.-

        영화학자 뱅상 아미엘은 자신의 저서 <몽타주의 미학>을 통해 몽타주의 타입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소개한다. 서사 몽타주(Montage narratif)와 담론 몽타주(Montage discursif), 대응 몽타주(Montage decorrespondances)가 그 구분법으로, 이 세 가지의 부류는 거의 대부분의 영화들이 속하는 미학적 부류를 포괄하는 개념이 된다. 초기의 영화들은 편집의 본질적이고 기본적인 기능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성향은 시간이 흐를수록 연출자의 목표를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이처럼 서사를 결합시키는 '방법론'으로서가 아니라 '목적'을 지향하는 몽타주의 방식을 본고는 표현적 몽타주(Montage expressif)로 지칭하고, 이를 진정한 몽타주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며 논의를 시작한다. 몽타주 단계에서 표현적 몽타주 작업은 총 세 단계의 결정을 통해서 이뤄진다. 일차적으로 러시 필름 중 필요한 부분만을 선정하는 '선별'의 과정을 거친 후, 이 선택된 필름들을 일정한 순서대로 결합시키는 '결합'의 과정, 그리고 쇼트의 지속 시간을 고려해 장면연결을 결정하는 '연결'이 몽타주의 마지막 단계가 된다. 물론 예외는 있다. 고전적 서사의 픽션 영화가 클로즈업을 사용할 때, 혹은 모델이나 중성적 동물의 오브제를 사용할 때 영화는 관객의 감정을 끌어당기는 '담론 몽타주'나 '서사 몽타주'가 아닌, '대응 몽타주'의 경향을 유도하고, 이는 몽타주의 일반적 의미를 거스르는 측면에서 예외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클로즈업이나 대응몽타주가 사용하는 '콜라주'를 통한 연결, 혹은 '불확실한 연관성'을 지닌 작품의 몽타주 경향을 '현대영화의 파편화(fragmentation) 경향'이라 명명하며 이를 분석하려 한다. 현대영화에서 몽타주의 파편화는 영화의 연속적이고 구조적인 속성들을 깨트리고, 영화의 표면에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서사(narration)의 구조를 혼동시킨다. 이처럼 클로즈업에서 시작된 몽타주의 파편화의 경향은 현대적 이미지의 확장성에 관한 해답을 줄 수 있으리라 본고는 바라보고 있다. The film scholar Vincent Amiel divides into three types of montage through his book The Aesthetics of Montage ; Montage narratif, Montage discursif, and Montage decorrespondances. These three categories are the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aesthetic class to which most movies belong. Early films pursued the essential and basic functions of editing, which tend to be modifi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director's goals over time. In this way, "Expressive Montage" is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s of montage, not as a 'methodology' that combines narrative but as a 'purpose'. In the montage stage, the expressive montage work is done through three steps of decision. The process of 'combining' to combine the selected films in a certain order,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which selects only necessary parts of the rush film, and 'connection' to determine the scene connection considering the duration of the shot. The connection is the final stage of the montage. There are exceptions, of course. When fiction films of classical narratives use close-ups, or when using models or objects of neutered animals, the film induces the tendency of a "montage decorrespondances" rather than a "montage narratif" or "montage discursif".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tendency of montage of works with 'uncertain connection' through 'collage' used by close-ups and montage decorrespondances as 'fragmentation tendency of modern films'. The fragmentation of the montage in contemporary film breaks the continuous and structural nature of the film, and confuses the narration structure that is visible on the surface of the film. The tendency of the fragmentation of the montage, which started from this close-up, seems to give an answer to the extensibility of the modern image.

      • KCI등재

        혼합 연구방법을 활용한 매체 활용 발표 평가 준거 연구

        이지영 ( Lee Jiyou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2

        This research reports on factors concerning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presentations and use of media resources. To do this, the study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prior research and collected data from 607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three-way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ctors on the quality of presentations with media resources are five types of discourse. Second, factors pertaining to writing were more powerful than factors pertaining to speaking, provided ability to construct content was controlled. Third, some students were poor at constructing content but good at using multimodalities for writing while other students were good at constructing content but poor at designing slides. Fourth, even if the student had a high level of content composition, teaching “interaction with audience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media presentations. In this pap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regression coefficients. It is possible to further elaborate this study and also to construct theoretical models by using Amo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variables of media presentations.

      • KCI등재후보

        두개내 저혈압에서 두개내 고혈압으로의 진행을 안과적으로 진단한 증례

        이지영(Jiyoung Lee),정연웅(Yeon Woong Chung) 대한검안학회 2021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0 No.3

        목적: 양안 복시로 안과 내원한 환자에서 두개내 고혈압을 진단하고 그 선행 원인이 역설적으로 두개내 저혈압으로 인한 경막하혈종이었던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기저질환 고혈압이 있으며, 2개월 전 특발성 두개내 저혈압 진단 받은 29세 남자가 4일 전부터 시작된 양안 복시로 내원하였다. 양안 시력은 정상, 상대적 구심동공운동장애는 없었고, 시신경유두부종, 우측 제육뇌신경마비 소견, 좌안 시야검사에서 맹점확장 소견이 보여 두개내 고혈압을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원인 감별을 위해 시행한 뇌컴퓨터단층촬영에서 최소 2-3주 지난 경막하혈종이 발견되어 두개내 저혈압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경막하혈종이 순차적으로 두개내 고혈압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두통을 동반한 두개내 고혈압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뇌척수압이 감소되어 두개내 저혈압 발생으로 기존 두통이 지속된 증례는 있으나, 이와 반대로 두통이 지속된 두개내 저혈압 환자에서 두개내 고혈압으로 진행한 상황과 이를 안과적으로 처음 진단한 경우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어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29-year-old binocular-diplopia patient diagnosed with intracranial hypertension, caused by a subdural hematoma due to intracranial hypotension. Case summary: A 29-year-old male hypertensive patient, diagnosed 2 months previously with idiopathic intracranial hypotension, presented to an ophthalmologist with a 4-day history of binocular diplopia. Visual acuity was 1.0/0.63 (1.0) without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There was bilateral papilledema, right 6th cranial nerve palsy, and blind spot enlargement in visual field examinations, suggestive of intracranial hypertension. Computer tomography of the brain identified a 2- to 3-week-old subdural hematoma, a complication of intracranial hypotension, which may have led to intracranial hypertension. Conclusion: While persistent headaches in intracranial hypertension patients progress to intracranial hypotension due to lowered cerebrospinal fluid pressur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intracranial hypotension progressing to intracranial hypertension.

      • KCI등재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이지영(Jiyoung Lee),최현자(Hyuncha Cho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자들이 은퇴 후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은퇴자금의 충분성을 분석하고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은퇴자금 충분성을 평가하기 위해 은퇴소요자금의 산정을 통한 객관적 측면과 은퇴자 스스로 인식한 주관적 인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된 은퇴자금 충분성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투자자교육재단에서 50세 이상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2007년 실시한 은퇴자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은퇴자들은 재정적으로 충분히 준비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객관적 충분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거주주택을 제외한 모든 자산을 은퇴자산으로 사용할 경우 23.2%의 은퇴자만이 현재의 지출을 지속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25.7%가 본인의 은퇴자금이 은퇴 후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충분할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은퇴자금의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충분성의 일치 정도를 비교해보면 전체의 약 1/4에 해당하는 23.8%의 은퇴자가 자신의 은퇴자금 충분성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9%의 은퇴자들은 은퇴자금이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자신의 은퇴자금이 충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은퇴자금의 충분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계소득이나 자가 소유 여부 등과 같은 재정변수는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은퇴 준비 여부 또한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은퇴자들과 예비 은퇴자 가계를 위한 은퇴대비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Korean retirees' retirement wealth adequacy with their subjective recognition and examined determinants affecting the retirement wealth adequacy.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07 Korean Retiree Survey carried out by the Korean Investors Education Found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nalysis suggested that Korean retirees(age 50 and over) were not well prepared financially. When using their assets(except for their residence), only 23.2% had accumulated enough wealth to meet their expenses for the remainder of their life. 25.7% of retirees subjectivel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adequately covered.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23.8% of retirees' subjective recognition was not in accord with the estimation results. One of the most troubling groups is the 12.9% of retirees who were in the inadequacy group even though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the adequacy group. Retirement wealth adequacy determinants were quite different between objective adequacy and subjective recognition. Household income and ownership of a residenc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tirement wealth adequacy. Also, the importance of retirement planning to retirement wealth adequacy is statistically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private retirement planning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retirees and preretired households.

      • KCI등재

        들뢰즈의 <시네마 2>의 구조에 대한 연구

        이지영(Lee, Ji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1 No.-

        들뢰즈가 영화에 대해 저술한 그의 후기 저작 <시네마>는 흔히 베르그손 철학 개념을 바탕으로 영화라는 대상에 적용하여 영화적 존재를 비롯 시간에 대한 들뢰즈의 존재론을 전개한 책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 이러한 통념적 인식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베르그손 철학만으로 <시네마>를 독해하고자 시도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들 때문이다. 첫째, 들뢰즈의 영화에 대한 논의는 철학 개념의 적용 및 해설이 아니다. 오히려 영화라는 새로운 사유 방식의 전개를 베르그손의 도움을 받아 전개된 것이라 보아야 한다. 베르그손 개념들의 적용으로만 볼 경우 많은 중요한 개념들과 개념들의 관계를 놓치게 된다. 둘째, 과연 베르그손의 영향력이 들뢰즈 자신이 목차와 제목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절대적인가? 그렇다면 왜 시네마 2권의 후반부(6장에서 결론)에서 베르그손은 사라지고 니체만 주로 등장하는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시네마 2: 시간-이미지>의 구조를 재독해하고자 한다. 특히 니체에게서 영향을 받은 ‘거짓의 역량’ 개념의 의미를 검토함으로써, 시네마에 내재되어 있는 베르그손과 니체 사이의 긴장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영화 매체가 과거 중심의 시간성에만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 시제로 열려있음을 밝히고, 중심 시제의 이동이 함축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논의하고자 한다. Deleuze’s two volumes on films, Cinema, are known as Bergsonian philosophical application into films, which develop discussions on cinematic being and the ontology on time. This study wants aims to problematize this broadly accepted perception of Deleuze Cinema books. Because problems we face when we try to interpret Cinema books based solely on Bergsonian philosophy. Firstly, Deleuze’s discussions on Cinema are not a simple application or explanation of films. If we consider his works on cinema based solely on Begsonian philosophy, then we might miss the meaning and relations of concepts in Cinema books. Secondly, is the Begsonian influence in Cinema books so absolute that we identify his influence in the Table of Contents of Cinema? If so, we should ask the reason why Begson disappears in the last parts of Time-Image and Nietzsche appears mainly in those parts. This study therefore begins with these questions and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ower of the force’ in order to reveal the theoretical tension between Bergson and Nietzsche. In so doing, rereading the structure of Cinema 2 can also show the possibilities of Deleuze’s works, that can be open toward ‘futurity’ and connected with new kinds of objects that surround contemporary cine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