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소고 : 나딩스의 배려교육(care education) 관점에서

        이조은,조아라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건강이 유아의 건강을 위한 도구나 수단이 아닌 그 자체로 배려 받아야 한다는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를 나딩스의 배려교육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이를 요약하자면, 첫째, 항상 배려자의 위치에서 타인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전념하는 유아교사가 자신은 배려 받고 있는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건강 또한 피배려자의 위치에서 유아, 부모, 원장, 그리고 사회의 배려를 받아야 하며, 유아교사 스스로도 자신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건강한 배려의 관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나딩스가 말한 우정의 관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모두가 건강한 상호적인 행복의 교육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관심 및 지원을 촉구하며, 이는 배려 중심의 상생적인 유아교육공동체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necessity that the healt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as a tool or means for early childhood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Noddings' caring education. To summarize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an early childhood teacher who always devotes himself to the health and happiness of others from the position of a caring person is being considered. Second, the healt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also be considered by infants, parents, principals, and society from the position of the recipie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mselves should be able to consider their own health. Finally, in order to establish a healthy caring relationship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riendship relationship described by Noddings is necessary. In this relationship, a healthy mutual happiness education for everyone can be realized. Through this study, a new perspective and support for the healt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urg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can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a win-w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centered on consideration.

      • KCI등재

        Kristeva의 시선으로 유아 내러티브 새롭게 바라보기

        이조은,조희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ulia Kristeva’s approach to texts, ultimately providing a new framework based on that approach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narratives. For this purpose, above all, the study tries to get an understanding of Kristeva’s theory by identifying her thoughts and view of text itself, especially focusing on ideas found in that theory. Based on that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ings that are possible to young children’s narratives provided they are in association with Kristeva’s text theory. First, young children should be as ‘speaking subjectivity’ themselves. Second, young children’s narratives can be viewed and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genotext’. Third, Young children’s narratives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as focusing how those narratives develop a harmony of phenotext and genotext into generating meanings. Through these moves,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helping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narratives in a different, comprehensive way based on Kristeva’s perspective and for viewing young children as those who are competent enough to freely create a poetic language beyond the conventional language system and develop the meaning-making process. 본 연구는 Julia Kristeva가 다루는 텍스트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 내러티브를 이해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Kristeva의 이론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그녀의 이론에서 주요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녀가 텍스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과 관점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Kristeva의 텍스트론과 연관 지어 도출할 수 있는 유아 내러티브에 대한 새로운 적용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유아들을 말하는 주체로서 인정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유아 내러티브를 발생텍스트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현상텍스트와 발생텍스트라는 두 유형의 조화로운 발현을 통하여 유아의 내러티브가 의미를 생성해나가는 데 초점을 맞추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하여, Kristeva의 관점을 토대로 유아 내러티브에 대한 새롭고 폭넓은 이해는 물론, 기존의 언어 체계를 벗어나 자유롭게 시적언어를 창출해내고 의미 생성의 과정을 이루어나가는 역량 있는 존재로서 유아를 바라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포스트휴먼과 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이조은,강승지,이연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과 교육에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온라인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포스트휴먼’과 ‘교육’을 주요 키워드로 하는 총 14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포스트휴먼과 교육 관련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그리고 예술교육 분야에서 가장 많았고,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육적 방향을 탐색하거나 교육과정의 개발 및 방법론적 제안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과 시선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포스트휴먼에 대한 풍부한 사유와 심도 있는 고찰을 토대로 유아교육에 적용하려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포스트휴먼으로서 유아의 주체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포스트휴먼 담론과 관련하여 교육에서의 최신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유아교육 분야에 접목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이에 대한 문헌고찰 및 현장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이들의 이야기 공동체에서 발견한 공존과 생성의 교육생태계

        이조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hildren’s story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ecology. We evaluate examples that demonstrate how the story board adds value as an educational ecosystem created by the intermingling of a community of individuals. Initially, the children’s story community is a single life network in which multitudes of layers coexist. Through differences in stories, children discover an ecosystem, much like a rhizomatic map that makes endless new creations. The story community describes the existence of various areas of interplay, flow, and interaction that cannot be reduced simply to a language. The story community can provide meaningful playtime and new alternatives for children who exist among many in an ecosystem of education and thus, continue the experience of coexistence and creation. 본 연구에서는 교육생태학적 관점에서 아이들의 이야기 공동체를 바라봄으로써 이야기판이 수많은 생명과 존재들이 얽혀 함께 생성해가는 하나의 교육생태계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몇 가지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첫째, 아이들의 이야기 공동체는 수많은 다양체들이 서로 얽혀 공존하는 하나의 생명네트워크이며, 둘째, 차이를 통해 끝없이 새로운 생성을 이루어가는 리좀적 지도로서의 생태계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다루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야기 공동체에는 언어로 환원될 수 없는 다채로운 관계망과 흐름, 상호작용의 영역이 존재한다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생태계에서 수많은 생명들 가운데 하나의 생명으로 존재하면서 공존과 생성의 경험을 이어가는 아이들에게 이야기 공동체가 의미 있는 놀이이자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