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몬 머틀 추출물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특성

        이은실,이영주,김지현,전순실,Lee, Eun-Sil,Lee, Young-Ju,Kim, Ji-Hyun,Chun, Soon-Sil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ies added with lemon myrtle extract. Lemon myrtle leaves were extracted for 0, 3, 5, 7, 9 minutes, respectively, in 90℃ water and used for jelly prepar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control showed the lowest value and the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extraction time of lemon myrtle increased. The pH of L0 was significantly high and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extraction duration time. The lightness value was the lowest in the L3. The redness showed the lowest value in the L9. The yellowness showed the lowest value in the L0. In texture properties the hardness of L9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he lemon myrtle extraction du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hesiveness was highest in the L0 and lowest in the L5.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extraction dur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L5 and the jellies with lemon myrtle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extraction dura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L0 was the lowest. In the sensory evaluation overall preference, color, sweetness, texture, and lemon myrtle flavo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 KCI등재
      • KCI등재

        임신선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범준 ( Beom Joon Kim ),안지영 ( Ji Young Ahn ),박귀영 ( Kui Young Park ),이은실 ( Eun Sil Lee ),허창훈 ( Chang Hun Huh ),원종현 ( Chong Hyun Won ),권오상 ( Oh Sang Kwon ),김명남 ( Myeung Nam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3

        목적: 임산부에서 나타나는 흑선의 발생과 변화가 태아 성별, 신생아 몸무게, 산과력, 출산 형태 및 신생아 질환 유무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산부인과와 피부과를 방문한 25세에서 35세 사이의 초산부와 다산부를 대상으로 흑선의 발생시기, 소실 시기, 배꼽 위와 아래를 기준으로 한 형태학적 차이, 출산한 신생아의 성별 및 몸무게, 출산 횟수, 출산 간격, 출산 방법, 튼살 방지 및 미백 크림의 사용 유무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총 41명의 임산부 중 95.1%에서 흑선이 관찰되었고, 두께의 변화가 색깔의 변화에 선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83.3%). 흑선이 가장 뚜렷한 시기는 임신 제 3기 (62.5%), 흑선이 소실되는 시기는 초산부의 경우 출산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 (46.1%), 다산부의 경우 3개월 이내 (60%)가 가장 많았다. 배꼽 아래쪽 흑선이 더 진하고 (90%) 넓게 (79%) 나타난데 반해, 흑선의 소실은 배꼽 위쪽에서 더 먼저 (70.3%)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더 진하고 (69.2%) 넓게 (55.5%) 나타났으며, 신생아 질환 유무, 튼살 방지 및 미백 크림의 사용 유무, 출산 형태, 첫 번째와 두 번째 출산 사이의 간격은 흑선의 변화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임신 중 흔하게 나타나는 생리적인 변화의 하나인 흑선을 임상적인 측면에서 관찰한 것으로, 향후 한국인에서의 흑선의 형태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nea nigra and the sex of fetus, neonatal weight, parity, route of delivery, and neonatal disease. Methods: 41 pregnant women (20 primiparas and 21 multiparas) between 25 and 35 years were included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4. We examined the time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linea nigra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linea nigras above the navel and below the navel. Also, we observed the difference of linea nigra according to fetal sex, neonatal weight, parity, interval of childbirth, route of delivery, and the use of whitening cream by answering. Results: The linea nigra was observed in 39 persons (95.1%), and the change of width preceded the change of color among 83.3%. During the third gestational period, the linea nigra became darker the most obvious among 62.5%. Most disappeared rapidly within 3 to 6 months after childbirth among 46.1% of primiparas, meanwhile within 3 months among 60% of multiparas. The linea nigra below the navel became more darker (90%) and wider (79%) than above. However, the linea nigra above the navel disappeared faster. In cases of male babies (63.7%), linea nigra was more darker and wider. The illness of newborns, use of whitening cream, route of delivery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ubsequent childbirth were not found to affect the change of linea nigra. Conclusions: We thought that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the morphogenesis of linear nigra in Korean pregnant women.

      • 4성분계 불용성 양극 이용 전해제련 소비 전력 감소 방안 연구

        양승규 ( Seung Kyu Yang ),박정은 ( Eun Sil Lee ),김지현 ( Jung Eun Park ),이은실 ( Ji Hyun Kim ),( Ho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온실 효과로 인한 지구온난화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고,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주원인은 온실가스이다. 온실 가스는 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며, 2014년 기준 배출량의 86.8%를 차지한다. 배출 국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에 관한 대응을 위해 에너지 사용 절감에 대한 전략이 동반되어 짐으로서, 에너지 절감 기술 및 소재 개발이 필요시 되었다. 국내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하나인 전해제련 공정 또한 여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전해제련 공정은 수용액 전해조에 전극을 담그고 일정한 전류 혹은 전압을 가하여 수용액 속의 이온을 금속으로 석출하는 공정으로, 제조경비 중 전력비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산업이다. 대표적 전해제련 생산품인 아연(Zn)은 최근 국제가격 하향안정화 추세로 국내기업의 글로벌 시장경쟁력 악화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r-Ta-Sn-Pd/Ti 전극을 이용해 아연 전해제련 시 사용되는 Pb 전극과 비교 하였고, 전류 밀도 500A/m<sup>2</sup> 조건에서 전위차 변화를 통해 전력소비 감소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아연 회수량 및 전극 표면 부식성 또한 관찰하여 Pb 전극 대체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