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유현,정소희,최웅용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controling the age of adolescents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666 2nd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buk, Daegu and Busan. It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amo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atastrophiz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Second, the mai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controlling age and parents' education level are as follows. Catastrophizing, rumination, and self blam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refocus on plann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ddition, catastrophizing and rumination showed positive impact on anxiety, and acceptance and positive refocus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nxiety. Third, the gender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depression showed that the impact of catastrophism on depression was higher in female adolescents than male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counseling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in terms of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연령과 부모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 및 불안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청소년의 우울, 불안 간의 관계가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북, 대구, 부산지역에 위치한 8개의 중, 고등학교 2학년 666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녀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파국화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령과 부모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주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국화, 반추, 자기비난은 청소년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계획 다시 생각하기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국화와 반추는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수용과 긍정적 초점변경은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보면,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에 비해 파국화가 우울에 정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환자에서 원내 칸디다혈증 발생의 위험 인자

        이유현,최희정,이미애 대한감염학회 2004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6 No.4

        Background:Nosocomial candidemi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 entity in hospital not only because of increasing incidence but also because of its high fatality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nosocomial candidemia and to evaluate its clinical outcome of nosocomial candidem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aterials & Methods:We conducted a retrospective, matched case-control study in adult patients admitted to ICU from January 1998 through December 2002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ixty cases with candidemia were retrospectively identified from the records of the Department of Clinical Microbiology. The possibl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osocomial candidemia were compared between 60 patients and 120 control subjects. Results:Candida albicans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organism.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number of concomitant bacteremia (OR=17.3), number of candida infection in other site (OR=20.6), number of antibiotics used (OR=4.2), duration of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 (OR=16.1), and insertion of arterial line for more than 8 days (OR=6.9)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candidemia. Crude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candidemia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P=0.004). Conclusion:The best predictors of development of candidemia in ICU patients were concomitant bacteremia, candida colonization in other site, combined use of antibiotics, and long-indwelling arterial and central venous catheter. For the ICU patients with high risk factors of candidemia, we could consider the intervention to prevent emergence of candidemia. 목 적 : 원내 감염 칸디다혈증은 최근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면역 기능이 감소된 경우 특히 발생 빈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높은 치사율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칸디다혈증 발생의 위험 요인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파악하는데에 있다.재료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5년 간 이화여대 목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입원 기록을 검토하여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군은 진단 검사의학과 미생물실 자료에 의거, 칸디다혈증이 있었던 6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같은 시기에 중환자실에 입원하였으나 칸디다 혈증은 없었던 120명으로 짝지어 각기 28개의 가능성 있는 위험 인자와 치사율에 대해 조사하였다.결 과 : 칸디다혈증을 유발하는 균종은 Candida albicans가 24예(40%)로 가장 흔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통해서 균혈증이 동반된 경우(OR=17.3), 칸디다가 다른 부위에서도 검출된 경우(OR=20.6), 항생제 병용이 많을수록(OR=4.2), 중심정맥관 삽입 기간이 길수록(OR=16.1), 동맥관 삽입이 8일 이상인 경우(OR=6.9)가 중환자실 환자에서 칸디다혈증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었다. 보통 사망률(Crude mortality)은 환자군에서 48.3%, 대조군에서 26.7%로 칸디다혈증 환자에서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결 론:칸디다혈증의 발생은 균혈증이 동반된 경우, 다른 부위에서 칸디다가 검출된 경우에 증가하며, 항생제 병용이 많을수록, 혈관 내에 중심정맥관이나 동맥관이 장기간 유치되어 있을수록 증가하였다. 칸디다혈증의 사망률 역시 높아, 칸디다혈증의 위험이 높은 중환자실 환자를 조기에 색출하고 칸디다혈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

        신생혈관녹내장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 전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

        이유현,김리브가,장성동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6

        목적: 신생혈관녹내장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 전 시행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와 수술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신생혈관녹내장으로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총 58명(58안)이었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는 마이토마이신 C를 이용한 섬유주절제술만 시행하였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는 위의 술식에 술 전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을 추가하였다.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술 전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를 알기 위하여 시행한 군과 하지 않은군으로 나누어 섬유주절제술 전부터 수술 후 12개월까지의 최대교정시력과 안압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섬유주절제술 후 수술 성공률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기 위해 연령, 수정체 상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여부 및 섬유주절제술과의 기간, 이전 유리체절제술 여부와 술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마이토마이신 C를 이용한 섬유주절제술만 시행한 안은 26안이며 술 전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한 안은 32안이었다. 수술 후 성공률은 6개월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한 경우 81.3%로 섬유주절제술만 시행한 경우인 57.7%보다 높았으며(p=0.012) 1년의 경과관찰에서도 각각 78.1%와 50.0%로 관찰되었다(p=0.021). 또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유의한 안압 하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p=0.048) 1년 후 안압 유지를 위해 사용해야 하는 점안 안압하강제의 개수가 0.4개로 섬유주절제술만 시행한 경우인 0.8개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p=0.040). 수술 실패의 위험인자로 단변량 연구에서는 술 후 전방출혈(hazard ratio [HR]=2.872, p=0.044)과 술 전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HR=0.280, p=0.030)이었지만 다변량 회귀분석에서는 유일하게 술 전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만이 유의한 인자였다(p=0.046). 결론: 신생혈관녹내장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 전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주입술은 수술 성공을 높이는 인자이며 술 후 1년에서 섬유주절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유의한 안압 하강과 수술 후 사용해야 하는 점안 안압하강제의 개수가 적음을 보여주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reoperative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IVBI) and prognostic factors of surgical success in neovascular glaucoma patients, who underwent trabeculectomy. Methods: A total of 58 patients (58 eyes) diagnosed with neovascular glaucoma who underwent trabeculectomy between 2003 and 2013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rabeculectomy with mitomycin C was performed between 2003 and 2006 and additional preoperative IVBI with the above mentioned technique was performed between 2007 and 2013.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reoperative IVBI,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preoperative IVBI group and control group.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were measured from preoperative to postoperative 12 months.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surgical success, the following was investigated: age, lens status, preoperative IVBI, time interval between preoperative IVBI and trabeculectomy, previous vitrectom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rabeculectomy with mitomycin C only was performed in 26 eyes and additional preoperative IVBI was performed in 32 eyes. Surgical success was 81.3% in the IVBI group and 57.7% in the control group at postoperative 6 months (p = 0.012), and 78.1% in the IVBI group and 50.0% in the control group at postoperative 12 months (p = 0.021). Statistically significant IOP reduction effect was observed in the IVBI group (p = 0.048), and reduced anti-glaucoma eye drop usage was observed in the IVBI group (0.4) compared with 0.8 in the control group (p = 0.040). Postoperative hyphema (hazard ratio [HR] = 2.872, p = 0.044) and preoperative IVBI (HR = 0.280, p = 0.030) were considered risk factors for surgical failure in univariate analysis, however, only preoperative IVB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p = 0.046). Conclusions: In neovascular glaucoma patients, preoperative IVBI before trabeculectomy is a good prognostic factor of surgical success and shows benefit in lowering the IOP and reducing anti-glaucoma eye drop usage at postoperative 1 year.

      • KCI등재

        젊은 여성(20-39세)에서 결식유형에 따른 영양 및 정신건강상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

        이유현,김윤진,이상엽,이정규,정동욱,조영혜,탁영진,최은정,황혜림,이승훈 대한비만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4 No.2

        배경: 젊은 여성에서 결식 유형에 따른 영양 및 정신건강상태를 알아보고 아침 및 저녁 결식군의 건강 증진에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제5기(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25,534명에서, 20세에서 39세의 여성(3,323명) 중 아침 결식군 523명, 저녁 결식군 25명, 식사군 1,566명을 포함한 2,114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식유형에 따른 결혼 및 취업 상태, 체중변화, 비만 및 저체중 유병 여부, 흡연, 고위험 음주, 운동, 스트레스 인지, 자살사고, 우울증상 경험, 영양소 섭취, 혈압, 지질, 공복 혈당, 25-Hydroxyvitamin-D, 페리틴 결핍 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50% 이상의 대상자가 체중감량노력을 하였고, 75% 정도는 식이요법(단식, 결식, 원푸드 식이)을 시행하였다. 식사군에 비해 결식 군에서 연령이 낮았고, 미혼,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사고의 비율이 높았다. 저녁 결식군에서 비만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P=0.004), 지난 1년간 체중감소를 위해 노력한 비율, 고위험 음주 빈도와 흡연, 스트레스 인지, 자살사고, 월경 불순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아침 결식 군에서 연령이 가장 낮았고, 허리둘레, 체질량 지수도 낮았으며 저체중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또한, 주 5-6회 이상으로 외식빈도가 높고(P=0.005), 운동하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P=0.048). 결론: 젊은 여성에서 결식 유형에 따른 영양 및 정신 건강 상태, 건강행위 특성 및 문제점을 알아본 결과 저녁 결식군에서 고위험 음주빈도 및 음주 관련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이 높아 정신건강 상태가 우려되었다. 향후 결식 여성에서 영양 및 건강상태 개선을 위한 장기간의 식습관 조사 및 기록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우수등재

        정책수단 결합의 효과에 대한 분석 - 해양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

        이유현,서인석,김서용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1

        Pre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in the era of carbon neutralit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national task.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performance of the marine environment, sustained by classifying it into the shortest-short-medium term to identify which combination of policy tools (command and control, economic incentives, and information) contributes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marine environment. Recognizing the limitation that studies on existing policy instruments focus on the effects of a specific instrument, the combined effect among the instruments was verified.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combination of regulatory policy instrument (command and control) and policy instrument based on economic incentives (marine R&D support, marine environment tax) is a causal factor for the shortest-term sustainability. Second, as a causal factor of short-term sustainability, there was a combined effect with informative instrument in addition to the ultra-short-term policy instrument combination. In this case, the subsidy as an economic incentive worked as an influencing factor. Third, in the mid-term, not only the ultra-short and short-term effects, but also the combined effect of economic incentives (marine R&D support, marine environment tax) and informative instrument were confirmed. This study confirmed (1) the stability and path dependence of a specific policy combination, (2) the existence of key instruments (marine R&D, marine environment tax) in a policy combination, (3) the isomorphism of policy instrument among specific groups of countries, (4) the possibility of co-evolution between technology and system in terms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marine environment. 탄소중립 시대의 해양환경 보전은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떠한 정책수단(명령・통제, 경제적 유인, 정보)의 결합이 해양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도움이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해양환경 지속가능성의 정책성과를 최단기-단기-중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기존 정책수단에 대한 연구들이 특정수단의 효과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수단간 결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우선, 정책조합에서 있어 최단기 해양환경 지속가능성의 인과적 요소로 명령・통제 관점의 규제 정책수단과 촉진적 관점의 경제적 유인(해양R&D지원, 해양환경세)에 기반한 정책수단 간 결합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기 해양환경 지속가능성의 인과적 요소로 초단기적 정책수단조합 외에 정보수단과의 결합효과가 존재하였다. 이 경우 경제적 유인으로 보조금이 영향요인으로 작동하였다. 셋째, 중기에서는 초단기, 단기효과뿐만 아니라 경제적 유인(해양R&D지원, 해양환경세)과 정보수단의 결합효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1) 특정한 정책조합의 안정성과 경로의존성, (2) 정책조합에서 핵심적 수단(해양R&D, 해양환경세)의 존재, (3) 특정한 국가군간 정책수단의 동형성, (4) 기술과 제도가 최단기, 단기, 중기 지속가능성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기술과 제도 간 공진화 가능성 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행복감 간의 관계

        이유현,정소희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happiness by controlling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home economic statu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66 second year students in Seoul, Daegu, Gyeongbuk, and Busan.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CERQ) and happiness scale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as the analysis metho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refocus on planning, putting into perspective, and acceptanc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while catastrophizing and blaming other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Second,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happiness after controlling gender, age, home economic status, and academic performance are as follows.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refocus on planning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 adolescents, whereas catastrophiz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app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ounseling intervention i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o enhanc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연령, 성별, 가정형편, 학업성적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서 인지적 정서조절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서울, 대구, 경북, 부산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2학년 666명이며, 측정도구로는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와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계획 다시 생각하기, 조망확대, 수용은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이와 반대로 파국화와 타인비난은 행복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령, 가정형편, 학업성적을 통제하고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계획 다시 생각하기는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파국화는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상담적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정일영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9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2 No.4

        Medical regulation on new drug and new medical device is a social challenge that involves conflicting values and complex entanglements of various stakeholder. Based on its uniqueness and policy dilemma of medical regul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discussions on regulatory triangle and policy dilemma.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e of art of the new drug and new medical device regulatory policies, we conducted an expert questionnaire based on the Quasi-Delphi design for professionals. As a result of the expert survey, Korea's regulations on new drugs and new medical devices have problems in general, and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no benefits are given to the regulators and beneficiaries. In addition, both industrial and non-industrial experts pointed out the problems of new and new medical devices. In addition, the most remarkable point of the results of the expert survey is that there are no visible difference between non-industrial expert and industrial expert toward medical regulatory problem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dical sector is inevitably generating a regulatory lag that keeps the system from lagging behind due to the speed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xperts share common perception of problems in both industry and non- industries. This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concrete improvement. 신약 및 신의료기기 정책을 둘러싼 의료규제는 가치관의 대립을 내포하고 있는 동시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사회적인 난제이다. 의료규제 분야의 특수성과 정책딜레마적 상황을 전제로 하여 본 연구는 규제의 삼각형과 정책딜레마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하고, 현재 시행중인 신약 및 신의료기기 규제정책의 현황을 살펴본 후, 의료 및 규제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준델파이 설계에 기반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조사결과 한국의 신약 및 신의료기기 규제정책이 전반적으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피규제자, 규제자, 규제수혜자에게 고른 편익이 부여되어 있지 못하다는 특징을 가지고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산업 전문가와 비산업 전문가 모두 국내 신약 및 신의료기기 규제정책이 정책적 딜레마의 문제를 갖고 있다는 데에 동의하였으며, 규제완화와 규제강화에 대한타당성이 모두 높은 딜레마의 상황에서는 이분법적인 해결책이 적합하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전문가 조사결과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산업 전문가와 비산업 전문가의 시각차이가 대체적으로 의견일치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다. 정책 딜레마적 상황에서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규제의 속도가 기술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규제시차의 문제가 늘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조사결과 전문가들은 산업계, 비산업계 모두 공통된 문제인식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구체적인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출발점이 되어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