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식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빈,조현수,김용현,허무룡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자연과의 접촉이 적어지는 현대사회에서 식물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올바른 정서를 가진 유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식물 선호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여 유아에게 원예활동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5세 15명, 7세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정서지능과 식물선호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누리과정을 적용하여 원예치료 전공 교수 1인과 원예치료 전공 박사과정 1인과 논의 후 구성되었으며 주 1회 4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동질성 검사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의 총점은 5세의 경우 15.1점에서 16.89점(p = .001), 7세의 경우 15.24점에서 17.1점(p = .00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물 선호도의 총점은 5세의 경우 2.99점에서 3.51점으로 점수가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세의 경우에는 3.44점에서 3.9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p = .003). 그 결과,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정서지능과 식물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nt preferences of children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improve plant preferences and grow into children with correct emotions in modern society with less contact with nature. The participants were 15 people aged 5 years old and 15 and 15 people aged 7 years old.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organized after discussion with one professor of horticultural and one Ph.D. in horticultural by applying the Nuri-Curriculum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nt preference. A total of 10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40 minutes. The analysis used IBM SPSS Statistics 25 and the pre-homogeneity test confirmed that it was a homogeneous group. Preand post-examination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and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5.1 points for 5 year olds to 16.89 points (p = .001) and 15.24 points for 7 year olds to 17.1 points (p = .000). The total score of plant preference could be confirmed by the age of 5 that the score was increased from 2.99 to 3.5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age 7, a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from 3.44 to 3.95 points (p = .003).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gardening programs have a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nt preferences in children.

      • 미디어에 재현되는 청년세대의 음주문화 : 타자 지향적 소비와 자기 통치 수단으로서의 소비를 중심으로

        이유빈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6

        술이 가진 사회적인 함의는 그 나라의 오랜 전통이나 사회적 분위기를 나타내기도 하며, 이는 정치·경제학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오늘날의 청년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른 술 소비 모습 을 보이고 있는데, 술을 통해 청년세대의 소비문화를 보는 것은, 가치 있는 새로운 시도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개인의 책임이 강화된 과도한 경쟁의 신자유주의 배경 에서 청년세대의 소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는 기성세대와 다른 청년세대의 술 소비 문화를 발견하여 세대 간의 가치관 차이와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술과 관련한 새로운 문화현상 등을 파악하였다. 이는 세대 갈등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소통의 기초자 료로 활용되거나, 기업의 청년세대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 결 과를 도출해내려는 연구목적에 있다. 연구의 마지막 목적은 미디어가 재현하는 음주문화를 알 아보는 것이다. 오늘날 유행하는 이른바 술방과 미디어가 재현하는 음주 장면은 시대적 현상 을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미디어가 술에 대한 관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생성하고 있고, 이를 조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청년세대의 술과 소비에 관련한 직간접적 경험을 듣기 위해, 1990년대생인 청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990년대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2000 년생 이후 출생자, 즉 만 22세 이하는 2019년 확산된 코로나와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음주 문화에 관한 경험이 다른 청년세대들과 다르며, 경제적인 상황도 다르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 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답변을 학술논문, 드라마와 예능에 등장하는 청년세대의 음주 장면과 텍스트 비교·분석하여 술과 관련한 사회적 분위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오늘날 증가한 미디어 속 음주 장면과 술방은 청년세대의 음주문화를 재현하고 있었 다. 하지만 같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담배와 달리 미디어는 술을 힐링과 같은 긍정적인 이미지로 재현하고 있었으며, 오늘날 주류업계의 적극적인 마케팅, 술과 관련하여 미미한 정 부 규제는 담배와 대조되는 모습이다. 이는 신자유주의 시대에서 청년세대에게 술이라는 수단 을 일종의 힐링과 자기 통치의 기능으로서 정당화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청년세 대의 술 소비는 여타 다른 소비들과 같이 SNS를 중심으로 자신을 드러내려는 타자지향적인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들의 음주문화는 식문화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으며, 술을 마시 는 행위보다 사진을 찍기 위해 외적 배경에 주목하는 감성 소비, 지인이 방문한 곳이나, SNS 상에서 유명한 곳을 방문하고 싶어 하는 일종의 모방 소비 등이 술 소비에서도 나타났다. 과거와 달라진 청년세대의 음주문화로는 관계 중심적인 술자리가 대부분이었던 기성세대와 달 리 대중화된 혼술이 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 정책과, 1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사 회적 분위기로 점점 더 개인화되어가는 청년세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 상위 게급 만 소비한다는 이미지를 가졌던 와인과 위스키는 펍(Pub)이나 바(Bar)의 등장으로 대중화되었으며, 술 한잔을 마시더라도 개인의 취향과 개성이 나타남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술자리 에서 끝까지 마시면서 같이 취하는 게 미덕이었던 과거 분위기와 달리 오늘날의 청년세대는 조직 내 술자리를 포함하여 술 권유를 받거나 강압적인 회식 참여는 거의 없어지는 추세라고 진술한다. 이는 과거 한국의 지양해야 할 권유와 같은 술자리 문화가 기성세대를 포함하여 개 선되어야 하는 문화라는 시민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Enhanced osteodifferentiation of MC3T3-E1 preosteoblasts on black phosphorous-coated and -incorporated substrates

        이유빈,송수진,강문성,서희정,이현욱,김봉주,한동욱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Black phosphorus (BP) has attracted many attentions as a two- dimension nanomaterial because of its fascinat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t study, two different type of BP-based substrates were designed and their potentials as bone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were explored. First, BP-coated layers on a slide glass were prepared by meniscus-dragging deposition process. Second, BP-incorporated nanofiber matrices were prepared using electrospinning of PCL to fabricate scaffolds with natural extracellular matrix-mimicking structur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both BP-coated and incorporated substrates can significantly promote cellular behaviors such a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C3T3-E1 preosteoblast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BP-based substrate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thru coating and electrospinning.

      • KCI등재

        대학 총학생회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

        이유빈,이승휘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9

        대학은 공공성을 띤 기관으로서 그 운영 과정상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을 가진다. 이러한 대학을 이루는 구성원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학생이다. 대학에서는 매년 수많은 연구 창작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대학생은 이와 같은 기록물의 주요 생산자이다. 그러나 대학의 주체로서 매년 방대한 기록물을 생산해내고 있으면서도 대학생의 역할과 기능, 생산 기록물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기록학적 관점에서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한 기록에 대한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학생이 생산하는 기록에는 연구 및 수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뿐만 아니라 동아리, 학생회 등 각종 자치활동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생 자치활동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생의 자치활동 과정에 대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기초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생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체계화 및 기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자치 조직인 대학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총학생회를 선정하였다. 우선 총학생회의 활동과 조직 및 기능, 기록관리 현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학생회장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명책임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조직과 기능을 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의 종류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총학생회의 활동과 설명책임성의 필요성, 조직 및 기능에 따른 생산 기록물의 유형을 도출한 후, 현재 총학생회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총학생회 활동의 일반 프로세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단계별 활동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방법과 책임 주체를 분석하고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기록관리 과정 체계화, 기록관리 인프라 확립, 기록 활용을 통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의 세 가지 범주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자치 조직인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총학생회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환경 정착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1년 단위로 운영되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기록관리 환경이 정착되기 힘든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모형 제시를 통해 차후 학생기록관리 분야에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사(史) 정리와 보전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가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A university is an organization charged with publicity and has accountability to the community for the operating process. Students account for a majority of members in a university. In universities, numerous creatures are pouring out every year and university students are major producers of these records. However,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producing enormous amount of records as main agents of universities and focused concentration on produced records have not been made yet. It is reality that from the archival point of view, the importance of produced records of which main agents are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relatively underestimat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approach in archival point of view on records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main ag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that university students produce such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teaching as well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various autonomy activities like clubs, students’ associatio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autonomy activity process and placed emphasis on accountability securing measures on autonomy activity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ctivities,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based. Therefore, as a way to ensure accountability of unversity students autonomy activity, we tried to present records management systematization and records utilization measures. For this, a student body, a university student autonomy organization was analyzed and a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Humanities Campus was selected as a specific target. First, to identify records management status, activities and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of the student bo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 body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accordingly. Also, we deriv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to be produced at each stage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Like this, after deriving the types of production record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accountability and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the present student body. First, to identify the general process status of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activity process by stage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And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body and responsibility principal and conducted real condition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we presented the measures to ensure accountability of a university student body in three categories such as systemat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process,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ccountability guarantee measures. This study discussed accountability on society by analyzing activities and functions of a student body, targeting a student body, an autonomy organiz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s a measure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 student body, we proposed a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ettlement. But in terms that a student body is an organization operated in one year basis, there is a limit tha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s hard to settle. This study pointed out this limit and was to provide clues when more ac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tudent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through presentation of student body records management mode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will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school history arrangement and conservation.

      • KCI등재

        High Proportion of Adult Case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ype 1 Diabetes Mellitus Population in Korea: A Nationwide Study

        이유빈,한경도,김봉성,진상만,이승은,전지은,안지연,김규리,김재현 대한당뇨병학회 201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3 No.1

        Background: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in all age groups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T1DM in Korea were estimated. Method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1DM between 2007 and 2013 were calculated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datasets of claim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T1DM between 2009 and 2013 were determined using the database of NHIS preventive health checkups. Results: The prevalence of T1DM in Korea between 2007 and 2013 was 0.041% to 0.047%. The annual incidence rate of T1DM in Korea in 2007 to 2013 was 2.73 to 5.02/100,000 people. Although the incidence rate of typical T1DM was highest in teenagers, it remained steady in adults over 30 years of age. In contrast, the incidence rate of atypical T1DM in 2013 was higher in people aged 40 years or older than in younger age groups. Age- and sex-adjuste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T1DM was 51.65% to 55.06% between 2009 and 2013. Conclusion: T1DM may be more common in Korean adults than previously believed. Metabolic syndrome may be a frequent finding in individuals with T1DM in Korea.

      • KCI등재

        마행감석탕의 소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이유빈,정아람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0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of Mahaenggamsuktang for treating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based on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hods: Literatures were searched from OASIS, KISS, NDSL, CNKI, Cochrane, Embase and Pubmed, and the search was conducted on January 29, 2020. Only RCTs published since 2000 were included. Trials comparing Mahaenggamsuktang combined with antibiotics or antibiotics treatment alone for the treatment of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were included. Results: 17 trials, including 2,241 participants with mycoplasma pneumonia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otal effective rate of combination of Mahaggamsuktang and antibiotics was 1.2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antibiotics alon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ymptoms with fever, lung sounds, cough, chest X-ray lesion findings, wheezing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reatment group with Mahaenggamseoktang and antibiotics. Also, Serum CRP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combination treatment. The incidence of adverse reactions was lower in the treatment group with Mahaenggamseoktang and antibiotic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combination treatment of Mahaenggamseoktang and antibiotics seems to have a significantly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In order to have a higher level of evidence for efficacy and safety of Mahaenggamsuktang in treating mycoplasma pneumonia, additional RCTs with good qualities are required.

      • KCI등재

        Low Household Income Status and Death from Pneumonia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Nationwide Study

        이유빈,박소희,이규나,김봉성,권소윤,박지윤,김규리,진상만,허규연,Han Kyung-do,김재현 대한당뇨병학회 2023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7 No.5

        Background: We explored the risk of death from pneumonia according to cumulative duration in low household income state (LHIS) among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Methods: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2002 to 2018), the hazards of mortality from pneumonia were analyzed according to duration in LHIS (being registered to Medical Aid) during the 5 years before baseline (0, 1–4, and 5 years) among adults with T2DM who underwent health examinations between 2009 and 2012 (<i>n</i>=2,503,581). Hazards of outcomes were also compared in six groups categorized by insulin use and duration in LHIS.Results: During a median 7.18 years, 12,245 deaths from pneumonia occurred. Individuals who had been exposed to LHIS had higher hazards of death from pneumonia in a dose-response manner (hazard ratio [HR], 1.726; 95% confidence interval [CI], 1.568 to 1.899 and HR, 4.686; 95% CI, 3.948 to 5.562 in those exposed for 1–4 and 5 year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on-exposed reference. Insulin users exposed for 5 years to LHIS exhibited the highest outcome hazard among six groups categorized by insulin use and duration in LHIS.Conclusion: Among adults with T2DM, cumulative duration in LHIS may predict increased risks of mortality from pneumonia in a graded dose-response manner. Insulin users with the longest duration in LHIS might be the group most vulnerable to death from pneumonia among adults with T2D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