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유를 활용한 스피치 원고 작성 연구

        이유미(Yi, Yumi)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은유를 활용한 스피치 원고의 특성과 작성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은유를 활용한 원고 작성 방법을 생각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 교양 프레젠테이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31명의 3분 스피치 원고를 분석하여 그 사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은유를 선택하여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단어를 활용하거나, 고사성어나 속담을 활용하거나 스토리 자체를 활용하는 세 가지 방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유형들이 스피치 원고의 질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통계적 기법으로 확인한 결과 스토리형 원고가 비유어의 구성요소와 비유 대상이 가장 잘 연결되었고, 비유어 설명 내용과 본 내용 설명 분량의 적절성에 있어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스토리라는 형식이 등장인물과 주제 등의 구체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peech manuscripts using metaphors and consider how to write a manuscript using metapho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ree-minute speech manuscripts of 31 students taking a liberal arts presentation class at a university.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hree ways to use metaphors: using words, using idioms or proverbs, or using the story itself.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rrelation of these types with the quality of speech manuscripts through a statistic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story-type manuscripts best connect the components of the figure of speech with the subject of the metaphor and also had the highest scores in adequacy in terms of metaphor descriptions and amount of main context descriptions. This may be because the story form has a specific structure that includes characters and themes.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매체 사용 습관이 비대면 수업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멍한’ 정서와 관계 지각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유미 ( Yi Yumi Moon ),문혜진 ( Rosemary Hyejin ) 한국화법학회 2021 화법연구 Vol.- No.5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untact classes using virtual communication platfor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study, class effectiveness i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untact classes feel the same as face-to-face classe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of untact classes, we tested the effects of learners’ traits, including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usage habits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heir emotional experience of numbness during class hours. In addition, the degree to which a learner perceives the relationship with a professor and other students the same as that in the face-to-face classes was measured. The result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classes, mediated by numbness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students. This study showed that an effective operation of untact classe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future paradigm in education, requires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learners as well as th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AI 리터러시 개념 설정과 교양교육 설계를 위한 연구

        이유미(Yi, Yumi),박윤수(Park, Younsoo)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2016년 세계경제 포럼에서 Klaus Schwab이 4차 산업혁명을 언급한 이래로 AI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아닌 우리 삶의 많은 부분과 연관된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더욱이 2020년 전 세계를 멈추게 한 COVID19는 AI 기술을 삶 속으로 더 빠르게 끌어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속에서 앞으로의 삶을 만들어갈 대학생에게 있어 AI 교육은 단지 기술적 측면의 교육이 아닌 삶을 계획하고 디자인하는 데 중요한 대상이다. 이에 교양교육 안에서 AI 교육을 통합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AI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AI 교양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AI 리터러시의 개념을 기존 리터러시 이론을 통해 정리하였다. 또한, 현재 다양한 대학 사업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AI 관련 대학 교육 현황을 정리하여, AI 리터러시 교양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는 교양교육이 가진 융합적 교육 특성과 연계하여 새로운 시대 교육을 위한 시도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Ever since Klaus Schwab’s speech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2016 World Economic Forum,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not only become a core branch of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but has also become an integral technology in many aspects of our lives. The COVID-19 pandemic of 2020, which has brought the entire world to a screeching halt, has further enmeshed AI technology into daily life. For college students building their future careers amidst such changes, AI is no longer a mere subject in technical education but a key element in planning and designing their liv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I literacy program that integrates AI-related education into the humanities curriculum. This study first establishes a definition of AI literacy based on existing literacy theories to design a program integrating AI and humanities education. The study also arrives at further insights into this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sign by reviewing currently available AI-related university education facilitated through various projec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its attempt to design a program for the AI era in combina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혼잣말과 자기복잡성, 대인의사소통 능력의 관련성 연구

        이유미 ( Yi Yumi ) 한국화법학회 2017 화법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of self-talk, self-complexit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e predicted that self-reflection and analysis through self-talk will affect cognitive development. Self-complexity, the skill that makes one`s perception of his or her role more complex, is estimated to help understanding one`s own role as well as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interrelation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and confirm the routes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A survey was created and conducted on 151 university students. Thes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rant uniformity to the survey methods because they are self-reflecting questions. Considering the role of oneself and others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talk standards and self-complexity questionnaires that recognize one`s own role have been used. Results showed an interrelation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and confirmed that self-talk directly affect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mplexity. Thus, this paper confirmed the routes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of self-talk, self-complexit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 KCI등재

        배달앱(APP) 사용 의도와 성향과의 관련성 연구

        이유미(Yi Yumi)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이 연구는 20대 대학생의 배달앱(APP) 사용 의도가 배달앱(APP) 시스템의 특성 및 커뮤니케이션 두려움과 혁신성이라는 개인적 성향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배달앱은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매체이다. 친숙한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대체하기보다는 익숙하지 않고, 공적업무를 위한 대상과의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대체하고 있다. 이에 커뮤니케이션 두려움을 가진 사람에게 있어 대인 간 직접 소통이 아닌 대체 매체가 존재한다면 이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 배달앱은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대체한다는 점에서 사용하는 사람과 커뮤니케이션 두려움은 매우 유관한 관련성을 가질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달앱 사용자의 사용빈도와 커뮤니케이션 두려움, 그리고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혁신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달앱이 시작된 시점에 10대에서 20대에 있었던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현 20대 대학생의 배달앱(APP)사용은 문화적 보편 현상으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일부일 뿐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두려움을 대체하기 위한 혁신적 선택의 큰 유관성은 확인하지 못했다. 단지 배달앱이 가지는 편의성이 사용에 중요한 영향성을 미쳤다. 하지만 편의성의 차원을 세분하여 살펴본 결과 배달앱이 가지는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이 커뮤니케이션 두려움과 밀접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배달앱 사용 이유와 커뮤니케이션 두려움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enty-something university students’ use intentions of delivery app service and system properties of delivery app and personality traits such as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innovativeness. Delivery app is a new medium which replaces face-to-face communications; not informal communication between close people, but formal communication for business transaction. Therefore, people with communication apprehension are more likely to choose a substitute media when they can use it instead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others. As delivery apps substitute for direct communication, it is predictable that there is strong relatedness between delivery app user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delivery app users’ frequency of use,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innovativeness-willingness to actively adopt new technology. To this end,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in their late teens and twenties when delivery app services emerged, have been interview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 showed that use of delivery app is just another way of communication among various media and universal cultural trend and the relation with communication apprehension or innovativeness was not confirmed. The convenience of the delivery app service only influenced its use. However, subdivision of the convenience into different dimensions reveal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its function to substitut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is result has confirmed a correlation between the reasons of using delivery app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 KCI등재

        한국인 20대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유형 인식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유미(Yi Yumi),김양지(Kim Yangjee)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국 20대 대학생이 생각하는 각 유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한 사람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데 있어서 드러내는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Norton,1978:99)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의 커뮤케이션 스타일은 단순히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는 차원의 역량적 측면이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이미지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Norton(1983)과 Rubin & Martin(1994)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20대 대학생이 인식하는 10개의 유형이 어떤 의미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y the meaning of each type to Korea’s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findings. Communication style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one shows while communicating (Norton,1978:99). Communication style, as a comprehensive concept, is not only about competence, aspect of communication skills, but about an aspect of images understood verbally and non-verbally through communication. Therefore, communication style is expected to b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ies the meaning of the ten typ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review of Norton (1983) and Rubin & Martin (1994).

      • KoBERT, 나이브 베이즈, 로지스틱 회귀의 한국어 쓰기 답안지 점수 구간 예측 성능 비교

        조희련 ( Heeryon Cho ),임현열 ( Hyeonyeol Im ),차준우 ( Junwoo Cha ),이유미 ( Yumi Y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1

        한국어 심층학습 언어모델인 KoBERT와, 확률적 기계학습 분류기인 나이브 베이즈와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하여 유학생이 작성한 한국어 쓰기 답안지의 점수 구간을 예측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네가지 주제(‘직업’, ‘행복’, ‘경제’, ‘성공’)를 다룬 답안지와 점수 레이블(A, B, C, D)로 쌍을 이룬 학습데이터 총 304건으로 다양한 자동분류 모델을 구축하여 7-겹 교차검증을 시행한 결과 KoBERT가 나이브 베이즈나 로지스틱 회귀보다 약간 우세한 성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