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VPE 법을 활용한 GaN 성장 시 질화처리에 관한 연구

        이승훈,이주형,이희애,오누리,이성철,강효상,이성국,양재득,박재화,Lee, Seung Hoon,Lee, Joo Hyung,Lee, Hee Ae,Oh, Nuri,Yi, Sung Chul,Kang, Hyo Sang,Lee, Seong Kuk,Yang, Jae Duk,Park, Jae Hwa 한국결정성장학회 2019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9 No.4

        HVPE is one of the GaN single crystal manufacturing methods which has been commercially widely used due to its high growth rate. HVPE method consists of a number of processes, in particular the nitridation of the substrate prior to GaN grow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ystalline quality of the manufactured GaN single cryst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itridation for crystalline quality of GaN when it was grown on the sapphire substrate. The whole growth conditions except for the nitridation process were the same, and the gas flow rate supplied to the sapphire substrate was variously changed during the nitridation. Here, we examined the effect of nitridation via the surface characterization of GaN single crystal grown by HVPE. HVPE는 GaN 단결정의 제조 방법 중 하나로 빠른 성장 속도가 장점인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성장 방법이다. HVPE 법에 의한 GaN 단결정 성장은 여러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GaN 성장 전 기판의 질화 처리는 성장되는 GaN 단결정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사파이어 기판 위에 GaN 단결정 성장 시 기판의 질화처리가 성장되는 GaN 단결정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화 처리를 제외한 다른 성장 조건은 동일하게 하였고 질화처리 시 기판에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후 GaN 박막을 성장시키고, 성장된 GaN의 표면 특성평가를 통하여, HVPE 법에서의 질화처리 효과를 고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LCC분석에 의한 슬러지수집기 선정 모델

        이승훈,우유미,이성락,구교진,현창택,홍태훈,Lee, Seung-Hoon,Woo, Yu-Mi,Lee, Sung-Rak,Koo, Kyo-Jin,Hyun, Chang-Taek,Hong, Tae-H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6

        사회기반시설의 노후화에 따라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LCC분석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기계설비가 다수 포함된 기반시설에서는 시설물의 건설비와 더불어 보수/교체비, 에너지비 등 유지관리비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기 선정에 있어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는 LCC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사례적용을 통하여 최적대안을 선정하고자 한다. 문헌고찰과 분석대상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기에 대한 공사비와 유지관리 및 보수/교체 이력자료를 바탕으로 비용항목을 도출한다. LCC분석을 위한 가정사항 설정 후, 각 항목별 실적자료와 장비납품업체의 정보를 활용하여 경제성 평가결과를 도출하고, 할인율과 초기투자비 및 유지관리비의 비용변동범위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실시한다. 설계자, 자재공급업체 및 시공전문가의 면담을 통하여 유지관리 편의성, 조달 용이성, 슬러지 수집 성능, 침전물제거 효율도, 환경친화성 등 슬러지 수집기 선정을 위한 기술적 사회적 영향인자를 파악한다. 분석된 기술적 사회적 요인과 LCC 분석결과인 경제성에 대하여 각 항목별 쌍별비교를 통하여 항목별 가중치를 설정하고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종합적인 최적안을 선정한다.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Life Cycle Cost(LCC) analysis model for selecting sludge collectors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applying the model to a case study. Cost items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historical data of a facility. Analysis period, discount rate, energy cost escalation ratio are assumed to reasonable level. Monetary evaluation is performed using historical data and estimations from vendors. Sensitive analysis is executed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for assumed factors. Interviews with operators, vendors, constructors, managers are conducted to define factors which indicates ease of maintenance, ease of delivery, technical performance, efficiency, environmental friendship. Factors are representing technical and social factors. Results from LCC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are evaluate together with Weighted Matrix Evaluation Methods for optimum alternative of sludge collectors.

      • 6 MeV 전자선의 차폐물질 원자번호와 조사야 크기에 따른 선량변화 연구

        이승훈,곽근탁,박주경,김양수,차석용,Lee, Seung Hoon,Kwak, Keun Tak,Park, Ju Kyeong,Gim, Yang Soo,Cha, Seok Yong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3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5 No.2

        목 적: 본 연구에서 우리는 6 MeV 전자선의 조사야 확대에 따른 선량변화가 차폐물질 원자번호와 관계가 있음을 알아보고 그 영향인자를 분석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먼저 평행평판형 전리함(Exradin P11)을 $25{\times}25cm^2$ 폴리스티렌 팬텀표면에 평탄하게 끼운다. 허용투과율 5% 두께의 알루미늄, 구리, 납 물질들을 팬텀 상단에 차폐시킨 후 조사야 $6{\times}6$, $10{\times}10$ 그리고 $20{\times}20cm^2$별로 측정하였다. 조사조건은 선원-표면간거리 100 cm에서 기준조사야인 $10{\times}10cm^2$에 6 MeV 전자선을 이용하여 100 cGy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MCNP (Monte Carlo N Particle Transport Code)를 이용하여 각 물질 통과 후 발생되는 광자수, 전자수, 그리고 축적에너지를 계산하였다. 결 과: 허용투과율 5% 두께에 대한 차폐물 종류에 따른 측정결과 조사야 $10{\times}10cm^2$을 기준으로 한 $6{\times}6cm^2$과 $20{\times}20cm^2$의 두께변화율은 알루미늄에서 각각 +0.06%와 -0.06%, 구리에서 각각 +0.13%와 -0.1%, 납에서 각각 -1.53%와 +1.92%였다. 계산결과 조사야 $10{\times}10cm^2$ 대비 $6{\times}6cm^2$, $20{\times}20cm^2$의 축적에너지는 차폐를 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 -4.3%와 +4.85%, 알루미늄 사용 시 각각 -0.87%와 +6.93%, 구리 사용 시 각각 -2.46%와 +4.48%, 납 사용 시 각각 -4.16%와 +5.57%였다. 광자수의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 -8.95%와 +15.92%, 알루미늄 사용 시 각각 -15.56%와 +16.06%, 구리 사용시 각각 -12.27%와 +15.53%, 납 사용 시 각각 -12.36%와 +19.81%였다. 전자수의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 -3.92%와 +4.55%, 알루미늄 사용 시 각각 +0.59%와 +6.87%, 구리 사용 시 각각 -1.59%와 +3.86%, 납 사용 시 각각 -5.15%와 +4.00%였다. 결 론: 본 연구로 조사야 증가함에 따른 차폐물 두께가 저 원자번호에서 감소하며, 고 원자번호에서는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계산을 통해 저 원자번호물질에서는 저지방사선, 고 원자번호물질에서는 산란전자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dose change by field size effects on atomic number of shielding materials while using 6 MeV election beam. Materials and Methods: The parallel plate chamber is mounted in $25{\times}25cm^2$ the phantom such that the entrance window of the detector is flush with the phantom surface. phantom was covered laterally with aluminum, copper and lead which thickness have 5% of allowable transmission and then the doses were measured in field size $6{\times}6$, $10{\times}10$ and $20{\times}20cm^2$ respectively. 100 cGy was irradiated using 6 MeV electron beam and SSD (Source Surface Distance) was 100 cm with $10{\times}10cm^2$ field size. To calculate the photon flux, electron flux and Energy deposition produced after pass materals respectively, MCNPX code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various shielding materials which have 5% of allowable transmission are as in the following. Thickness change rate with field size of $6{\times}6cm^2$ and $20{\times}20cm^2$ that compared to the field size of $10{\times}10cm^2$ found to be +0.06% and -0.06% with aluminum, +0.13% and -0.1% with copper, -1.53% and +1.92% with lead respectively. Compare to the field size $10{\times}10cm^2$, energy deposition for $6{\times}6cm^2$ and $20{\times}20cm^2$ had -4.3% and +4.85% respectively without shielding material. With aluminum it had -0.87% and +6.93% respectively and with lead it had -4.16% and +5.57% respectively. When it comes to photon flux with $6{\times}6cm^2$ and $20{\times}20cm^2$ of field sizes the chance -8.95% and +15.92% without shielding material respectively, with aluminum the number -15.56% and +16.06% respectively and with copper the chance -12.27% and +15.53% respectively, with lead the number +12.36% and -19.81% respectively. In case of electron flux in the same condition, the number -3.92% and +4.55% respectively without shielding material respectively, with aluminum the number +0.59% and +6.87% respectively, with copper the number -1.59% and +3.86% respectively, with lead the chance -5.15% and +4.00%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required thickness of the shielding materials got thinner with low atomic number substance as the irradiation field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with high atomic number substance the required thickness had increased. In addition, bremsstrahlung radiation have an influence on low atomic number materials and high atomic number materials are effected by scattered electrons.

      • KCI우수등재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나노섬유의 젖음성

        이승훈,장선호,소윤미,이헌수,양철민,윤중현,김찬,Lee, Seung-Hoon,Jang, Seon-Ho,So, Yun-Mi,Lee, Hun-Su,Yang, Cheol-Min,Yun, Jung-hyun,Kim, Chan 한국섬유공학회 2018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5 No.1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is a critical polymeric material used in the mas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electrospun nanofibers, and is popular due to its excellent properties. However, electrospun PVDF nanofibers are very hydrophobic and possess low surface energies, limiting their broad application.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practical methods for the hydrophobic surface modification of PVDF nanofibers using four techniques: radio-frequency (RF) and PIN-type atmospheric plasmas, planar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and planar capacitively coupled plasma (CCP). The use of RF atmospheric plasma was ineffective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used, while the PIN-type atmospheric plasma efficiently modified PVDF nanofiber surfaces locally. The application of planar CCP to PVDF nanofibers was more effective than planar ICP fo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water contact angles of samples treated with planar CCP for 600 s and 900 s were $25^{\circ}$ and $10^{\circ}$ respectively, and wettability improved. Analysis with FT-IR, XPS, and FE-SEM showed that the surface CF and CH hydrophobic groups were destroyed without damaging the PVDF nanofibers, and hydrophilic species such as C=O, OH, and COOH were formed. As a consequence, quantitative analysis of nanofiber chemical composition is necessary when treated by plasmas, providing insight into the correlation of specific property changes with processing conditions, and indicating precise research results and application examples.

      • KCI등재

        공동주택 마감공사 공사주체별 작업지연 요인 분석

        이승훈,김용만,김주형,김재준,Lee, Seung-Hoon,Kim, Yong-Man,Kim, Ju-Hyung,Kim, Jae-Junn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1 No.1

        건설 공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주어진 공사를 요구된 공사기간내에 설계도서에 명시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완성하는데 있다. 마감공사는 공종이 세분화되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적정 투입 시점에 대한 세부 공종별 기준이 없고, 선후행 작업간의 우선 순위의 정립의 필요성이 약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마감공사 작업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감공사 세부 공종별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소요 공기에 맞추어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마감공사를 습식공사와 기타 마감공사로 나누어 각 공종별 내역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분류하고, 설문을 통해 설계자, 시공자, 협력업체의 작업지연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계획 공사기간 내에 공동주택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ultimate goal of construction is to complete the given work in the most economical and safest way within the required construction period while meeting the quality standards specified in the design drawing. There are a few characteristics of finish work. First, executed in subdivided processes, finish work involves a very diverse and complex structure. Second, there are no criteria for each segmented process with regard to the appropriate time of input. Third, it is not very necessary to set priorities for lead and lag work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of a project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d duration by setting priorities in the delay of each detailed process of finish work to minimize delay in finish work. In this study, finish work is divided into wet work and other types of finish work, and the importance of each process is classified based on the given details of each process. In addition, the study employs a survey to analyze delay factors of a designer, a constructor, and a supplier. Using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sets priorities in delay of final work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of an apartment project within the planned construction period.

      • KCI등재

        이산화탄소 증가가 습지토양의 탈질세균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이승훈,김선영,강호정,Lee Seung-Hoon,Kim Seonyoung,Kang Hojeong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3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가 습지토양의 탈질세균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연농도 (370 ppm)와 고농도 (740 ppm)의 이산화탄소조건의 습지생태계를 조성하여 110일 이상 배양한 후 토양 내 미생물 군집구조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생물 군집군조 분석은 탈질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중하나인 nitrite reductase의 유전자인 nirS 유전자를 대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CR 결과 모든 토양시료에서 nirS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RFLP분석을 통해 자연농도의 이산화탄소조건에서 83개, 고농도 조건에서 95개의 phylotype을 획득하여 조성된 습지토양에서 탈질과정이 광범위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경우 모두 두 종류 (type 1과 type 2)의 phylotype의 우점하고 있었고, 고농도 조건의 탈질세균 군집의 풍부도가 저농도 조건에 비해 더 높고, phylotype의 종류가 현저하게 변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습지토양의 탈질세균 군집이 매우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고, 이산화탄소의 증가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상당히 안정적인 우점 개체군이 존재하고 있는 반면, 전체 phylotype의 약 60%는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함을 보여주었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vated $CO_2$ on the denitrifying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a wetland soil, dynamic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explored in an artificial wetland ecosystem with one of three plant species (T. latifolia, S. lacustris, and 1. effusus) under two levels of $CO_2$(370 ppm or 740 ppm) after 110day incubation. For the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functional genes such as nitrite reductase genes (nirS) were PCR-amplified followed by cloning of PCR products and screening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nirS gene fragments were amplified in all analyzed soil samples. Species richness estimated by the number of distinct phylotypes were 83 and 95 in the ambient $CO_2$ treatment and the elevated treatment, respectively. Two phylotypes (type 1 and type 2) were dominant in both of the treatments. Elevated $CO_2$ treatment increased species richness of denitrifying as well as changed a large proportion of denitrifier phylotypes compared to those of the ambient treatment. Overall, the data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nitrifying communities in the wetland soil are diverse and that the richness of denitrifying bacterial community might be affected by elevated $CO_2$ treatment.

      • KCI등재

        Denitrification Potential and Denitrifier Abundance in Downstream of Dams in Temperate Streams

        이승훈,정석희,강호정,Vo, Nguyen Xuan Que,Lee, Seung-Hoon,Doan, Tuan Van,Jung, Sokhee P.,Kang, Hojeong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2

        댐의 존재가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지금까지 수행되어 왔지만, 댐이 하류의 탈질화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민국 낙동강의 댐 원류에서 탈질화 효소 활성도(잠재 탈질율)와 탈질균 분포(nirS, nirK, nosZ 유전자를 표지유전자로 사용)를 조사하였다. 자갈 혹은 모래로 채워진 하천의, 갈대가 우거진 하변지역과 강바닥의 침전물을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이 실험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i) 하천 침전물의 N과 C의 사용유효량이 높을수록 대조군에 비해 미생물 군집의 탈질화 작용이 더욱 증진한다, (ii) 하천생태계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 잠재 탈질율 간의 차이는 탈질 미생물의 양에 비례한다. 30여 년간 댐에 의해 수문학적으로 큰 차이가 있었고 또한 댐 하류의 저서에 무기질소와 용존유기탄소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매우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탈질균 군집의 양과 잠재 탈질율은 하천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nirS 유전자와 nosZ 유전자의 양과 잠재 탈질율은 댐 하류에 존재하는 자갈이 많은 하변과 모래가 많은 하천 바닥에서 홍수빈도와 계절별 온도변동에 관련하여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nirK 유전자는 모든 시료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분석결과는 탈질균 군집 양과 영양염류 가용도와 잠재 탈질율 사이에는 약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ams on river ecosystems, but less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damming impacts on downstream denitrification. We measured denitrification enzyme activity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 and denitrifier abundances (using nirS, nirK, and nosZ as markers) in dammed headstreams of the Nakdong River in South Korea. Sediments in Phragmites-dominated riparian areas and in-stream areas across streams (dammed vs. reference) with different streambed materials (gravel and sand) were sampled occasionally. We hypothesized that (i) the higher available N and C contents in sediments downstream of dams foster larger denitrifier communities than in the reference system and (ii) differences in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s across the systems correspond with denitrifier abundances. Despite 30 years of different hydrological management with dams and greater inorganic N and DOC contents in sediments downstream of dams, compared to the references, abundances of denitrifier communities and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s within the whole sedi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systems. However, nirS and nosZ denitrifier abundances and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s were considerably increased in specific sediments downstream of dams (gravelly riparian and sandy in-stream) with regard to flooding events and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 nirK was not amplified in all sediments.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es (CCA)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s of denitrifier communities and nutrient availabilities and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s was a weak one.

      • KCI등재
      • KCI등재

        최근성과 참조 횟수에 기반한 페이지 교체 기법

        이승훈,이종우,조성제,Lee, Seung-Hoon,Lee, Jong-Woo,Cho, Seong-J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8 No.4

        운영체제의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 적용할 페이지 교체 정책은 요구 페이징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메모리 페이지 교체 정책으로는 LRU와 LFU가 있다. LRU 정책은 많은 경우에 좋은 성능을 보이며 시스템 부하 변화에 잘 적응하지만,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와 가끔 참조되는 페이지를 구별하지 못한다. LFU 정책은 참조 횟수가 가장 작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으로, 과거의 모든 참조를 반영하지만 이전에 참조된 페이지와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를 식별하지 못한다. 따라서 LFU는 변화하는 작업 부하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8개의 응용에 대해 메모리 참조 패턴을 분석하여 보았다. 그 참조 패턴을 보면 어떤 경우에는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가 계속 참조되며, 또 다른 경우에는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가 계속 참조되는 경향이 있다. 즉, 응용에 의해 참조되는 메모리 페이지는 최근성과 참조 횟수 모두에 의해 가치가 결정되며, LRU나 LFU 정책 한 가지만으로는 페이지 교체 정책을 최적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RU 기법과 LFU 기법을 결합한 새로운 교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페이지 리스트를 LRU 리스트와 LFU 리스트를 나누어 관리하는데, 이 두 리스트에서는 각각 최근성과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페이지 리스트 순서가 유지된다. 과거에 자주 참조되었던 페이지가 LRU 정책에 의해 교체되어 빠져나가는 경우를 LFU 정책 병행 사용을 통해 줄임으로써, 최근성 가치에 의해 참조 횟수 가치가 훼손되는 경우를 줄인다. 트레이스-기반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기법이 이전에 알려진 페이지 교체 기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일 때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과거에 자주 참조했던 페이지를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다시 참조하는 패턴을 보이는 응용들에서 제안 기법이 기존의 기법들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e virtual memory system, page replacement policy exert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demand paging. There are LRU(Least Recently Used) and LFU (Least Frequently Used) as the typical replacement policies. The LRU policy performs effectively in many cases and adapts well to the changing workloads compared to other policies. It however cannot distinguish well between frequently and infrequently referenced pages. The LFU policy requires that the page with the smallest reference count be replaced. Though it considers all the references in the past, it cannot discriminate between references that occurred far back in the past and the more recent ones. Thus, it cannot adapt well to the changing workload.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memory reference patterns of eight applications. The patterns show that the recently referenced pages or the frequently referenced pages are accessed continuously as the case may be. So it is rather hard to optimize page replacement scheme by using just one of the LRU or LFU policy.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the two policies and proposes a new page replacement policy. In the proposed policy, paging list is divided into two lists (LRU and LFU lists). By keeping the two lists in recency and reference frequency order respectively, we try to restrain the highly referenced pages in the past from being replaced by the LRU policy. Results from trace-driven simulations show that there exists points on the spectrum at which the proposed policy performs better than the previously known policies for the workloads we considered. Especially, we can see that our policy outperforms the existing ones in such applications that have reference patterns of re-accessing the frequently referenced pages in the past after some time.

      • KCI우수등재

        가소제 함유 PVDF 나노섬유의 상용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승훈,소윤미,장선호,심현주,김찬,Lee, Seung-Hoon,So, Yun-Mi,Jang, Seon-Ho,Shim, Hyun-Joo,Kim, Chan 한국섬유공학회 201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4 No.4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oftness of electrospun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nanofibers was improved by the addition of a small amount of tributyl citrate (TBC) plasticizer to PVDF spinning solutions. The PVDF nanofibers containing TBC wer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and subsequent calendering. The morphology,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electrospun PVDF nanofibers were investigat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ensile test and DS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tensile experiment indicate that the PVDF nanofibers containing 5 wt% of TBC have three times better strength and six times higher elongation in the mechanical direction (MD) compared to those of pure PVDF nanofibers. Thus, the results indicate that PVDF nanofibers containing TBC have potential applications not only in the textile industry but also in the electrical and biomedical fields. Further, th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softness of the eco-friendly nanofibers containing TBC plasticizer is useful for its commerci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