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ntal Map과 Space Syntax를 활용한 가로환경 과 공간인지의 연관성 분석 - 신촌, 홍대, 왕십리 대학가 지역을 중심으로

        이수기,이호준,김단비,이재인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6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vin Lynch’s components of city image as well as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ase study area and university stu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using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districts in Seoul, Korea. The analytical data were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field survey from university students. The primary methods included mental map, space syntax,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Kevin Lynch’s components of city image and spatial configuration of a case study area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Second, the brand shop density, which includes commercial land uses on streets,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ffect of the brand shop on spatial cogni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ercial uses. Food and beverage and retail facilities, which had frequent visit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 us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Finally, the total integration of a space syntax variable was significant in all model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he case study areas in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가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케빈 린치의 도시 이미지구성요소와 사례지역의 공간구조가 대학생들의 가로 공간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사례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현상조사를 통해 구득하였다. 분석방법은 멘탈맵, 공간구문론, 그리고 음이항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빈 린치가 제시한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와 가로공간의 물리적 환경이 응답자들의 가로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로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상업시설인 브랜드 상점 밀도는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와 더불어 가로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업시설의 업종에 따라 응답자들의 공간인지에 미치는 영향이상이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업종에 비해 방문횟수가 잦은 식음료 및 소매 업종들이 가로 인지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간구문론 변수인 전체 통합도는 모든 모형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가로 공간 인지에서 가로의 위상학적 구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수퍼비전 작업동맹척도(WAI-T) 요인구조 탐색

        이수현(李守賢),김동민(金東敏)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수퍼비전 작업동맹 척도(WAI-T)의 요인구조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상담 수련생 245명(남 26명, 여 219명)을 대상으로 수퍼비전 작업동맹 척도를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검토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요인 모형, 2요인 모형, 3요인 모형 모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새로운 요인추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 1은 긍정진술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요인 2는 부정 진술문 문항(역채점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요인에는 원래 목표, 과제, 정서적 유대로 분류되었던 문항들이 골고루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수퍼비전 경험이 많은 참여자만을 대상으로 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부정 진술문 문항으로 구성된 요인 2는 요인 1과 그 의미상 같은 구인을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전체 WAI-T의 구인 타당도와 신뢰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WAI-T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Inventory-Trainee(WAI-T). WAI-T was administered to 245 trainees who were currently engaged in clinical supervision.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best model among the three models(one factor model, two factor model, three factor model). However, none of these models showed acceptable values on the fitness indic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other factor structur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analysis, two factors were extracted. Regardless of the original item classifications, the items loaded on Factor 1 were all positively stated. All the negatively stated items were loaded on Factor 2. Factor 1 showed higher correlations with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ub-scales than both Factor 2 and full WA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ed that at least some of the Factor 2 items were problematic, in that they were interfering with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at least Korean trainee may not judges supervisory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goal, task, and emotional bond as suggested by Bordin(1983).

      • KCI등재

        고농후사료에 대한 목탄 및 활성탄의 첨가 수준이 인공위내 소화율, 휘발성 지방산 및 개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이수기,차상우,김선균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2 농업과학연구 Vol.29 No.2

        본 시험은 목탄 및 활성탄의 첨가가 사료의 반추위내 pH·발효성상·건물 및 영양소 소실율·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활성탄과 목탄의 첨가수준은 0.50% 및 1.0%의 수준이었으며, 사료의 조농비율은 오차드 건초와 농후사료 비율은 2:8로 하였다. 그리고 처리간 유의성은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위액의 pH는 활성탄의 첨가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그리고 암모니아태 질소는 활성탄 첨가에 의하여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목탄첨가구는 모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VFA molar ratio에서는 전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C2/C3 비율은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활성탄구가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목탄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건물·조단백질·조지방·NDF·ADF 및 hemicellulose의 소실율은 활성탄 첨가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목탄첨가구에 있어서는 0.5%구보다는 1.0%구가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emicellulose의 소실율은 전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은 활성탄 및 목탄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은 양을 나타내었으며, 활성탄 첨가구와 목탄 첨가구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활성탄 첨가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에서 보듯이 활성탄은 가축의 생산성 향상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을 좀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활성탄의 흡착능력·위내의 세균층에 대한 연구 및 많은 생체실험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activated charcoal (AC) and oak charcoal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nutrient disappearance, and ruminal gas production. AC and oak charcoal were added at the levels of 0.50, and 1.00 % to experimental diet (roughage/concentrate ratio ; 2/8). Ruminal pH and ammonia-N tended to increase by adding AC(P<0.05). But oak charcoal did not affect the ruminal pH and ammonia-N. Although not significant, ruminal total VFA and molar percentage of butyric acid tended to decrease in AC diets, but molar percentage of acetate and propionate were not affected by adding AC. Ruminal degradation of dry matter, crude protein NDF, and ADF in AC diets tended to increase than in non-AC diet, however, no tendency in ruminal degradation of hemicellulose was observed. Ruminal gas production tended to increase in the AC and oak charcoal diets(P<0.05). Although there appeared some beneficial effects in adding AC to ruminant diets in this study, more works should be done with AC before we can make clear conclusion on the use of AC in the ruminant diets.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로터의 최적설계

        이수기,성부용,하성규,Lee, Su-Gi,Seong, Bu-Yong,Ha, Seong-Gyu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3

        The shape optimization is performed to minimize the judder of ventilated disc brake rotor that is induced by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disc.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is developed to analyze the coupled system of temperature and displacement field,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iffness matrices are simultaneously taken into account. To reduce computing time, an equivalent heat transfer rate is introduced approximating the heat transfer rate on the disc surface. A deformation factor is introduced to describe the thermal deformation causing the judder. The deformation factor is chosen as an objective function in the optimization process. Consequently an optimum design is then performed minimizing the deformation factor with the design variables of the shape of the disc. The optimum design procedure presented in this study is proven to be an effective method of minimizing the judder, and it reduces the thermal deformation by 23% of the initial geometry.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STEAM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수기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STEAM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유아교사를 위한 STEAM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의해 개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J도 H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8명(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2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15회기의 교사교육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전체 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유아교사는 전체 과학교수효능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유아교사는 전체 과학교수적극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실험집단의 STEAM에 대한 관심단계는 '무관심' 단계에서 감소하였고, '정보적', '개인적', '결과적', '협력적' 단계에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에서 전형적인 ‘비사용자(nonuser)’의 패턴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STEAM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STEAM 전문성이 향상되도록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를 위한 공학중심 융합인재교육(E-STEAM)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이수기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STEAM program emphasizing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apply them to young children to examine their effects on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order to develop the E-STEAM program, activities were organiz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websites related to STEAM and engineering education. The organized activities were selected as final activities after consulting with exper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50 subjects(experimental group: 25, control group:25) participated in K kindergarten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E-STEAM activities during 7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took part in the traditional science activities. The procedur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 pre-study, a pre-test, the treatment, and a post-test schedu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otal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otal communication 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E-STEAM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an b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적 설계과정을 강조하는 공학중심 융합인재(E-STEAM)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E-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STEAM과 공학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활동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활동은 전문가와의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활동으로 선정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K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이었다. 실험집단은 7주 동안 E-STEAM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전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전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E-STEAM활동 경험이 유아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天理本狂言六義』에 나타나는 추량표현 - 조동사「べし」를 중심으로 -

        이수향(李粹?)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3

        This study discusses usage patterns of べし in terms of its conjugational forms and semantic usages observed in “Tenribon Kyougenrikugi”, the late Middle Ages colloquial data, in order to clarify the process of change of べし.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jugational forms, the Shuushikei べし shows the highest appearance followed by the Rentaikei べき and further by the Mizenkei べから. The Renyoukei べく and the Izenkei べけれ are not found. As the time passe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べし decreased, whereas べき increased. The increased use of べき was in particular deemed to be caused by the ‘unification of the Shuushikei and Rentaikei’, which began occurring from the late Middle Age. The current study also found two cases whereべき was used as Shuushikei instead of べし. Second, in terms of semantic usages, it was used in the order of [Suitability · Suggestion · Order] - [Guess], [Naturalness · Necessity] - [Will] - [Possibility] - [Prohibition]. It is thought that [Suitability · Suggestion · Order] was used frequently for the reason that the script did not clearly differentiate dialogues and narratives, and it also described actions of performers and stage productions together within the overall scenario. Third, the main semantic usage of べからず was [Prohibition], and the semantic meaning of [Prohibition] was manifested only by べからず. From this, it is deemed that the limited use of べからず for [Prohibition] continued to Modern Japanese while other meanings of べからず declined since the Middle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