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엽 ( Sangyup Lee ),이창훈,정예민 ( Yeimin Chung ),이유진 ( Yujin Lee ) 한국환경연구원 2018 사업보고서 Vol.2018 No.-
The KEI has operated a forum for discussions on collecting social opinions, including the Climate Change Policy Forum, for the past few years, with environment-related experts at the center. In an effort to develop a more effective policy, this study attempted to deepen and broaden the level of discussion than before. In this study, we dealt with various issues such as society, economy, and environment, which are required for our society to establish a new energy system for eco-friendly, sustainable development. Although it is trying to convert eco-friendly energy, however it is still insufficient, so that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and extensive review are needed.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ensure close links between energy policy and climate, atmospheric policy, and so 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operated the 'Green Energy Climate Forum' to discuss widely what our society is required and how to achieve its goals in the process of eco-friendly energy conversion. The forum held in-depth discussions based on research on eco-friendly energy conversion, such as the power market, energy tax reform, and regional energy-based energy conversion. In addition, the 'Green Energy Conversion Discussion Series' was carried out as a venue for practical discussions, including even ordinary citizens,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s of our society in detail and in broad scope. In the discussion session,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ed, ranging from the government, academia, research circles, industry and ordinary citizens,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ocial issues and increase policy acceptability. In this study, cooperative research was attempted with the aim of sharing awareness and finding solutions to civil society and social problems. Through this study, the government, industry, academia and civic groups conducted in-depth discussions on major issues in the eco-friendly energy and climate sector. On the problems facing our society at the moment, it can be assessed a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at the roles of the government, academia and industry are.
이상엽(Sangyup Lee),김세욱(Sewoog Kim),전정호(Jeongho Jeon),최종무(Jongmoo Choi),양중섭(Joongseob Yang),모연진(Yeonjin Mo),신영균(Youngkyun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A
덮어쓰기 제약(overwirte limitation)과 삭제 횟수 제한(limitted erase cycle)이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특징이 의하여, 플래시 메모시는 시스템에서 요청한 쓰기 요청보다 많은 수의 쓰기 연산을 수행하게 되는데, 시스템에서 요청한 쓰기요청과 실제 쓰기 연산 간의 비율을 쓰기 증폭 인자(Write Amplification Factor, 이후 WAF)라 한다. WAF는 성능과 신뢰성에 중요한 요소로 본 논문에서는 WAF를 예측 할 수 있는 분석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페이지 사상 FTL, 블록 사상 FTL, 혼합 사상 FTL 등 다양한 FTL에서 WAF를 예측 할 수 있으며, 예측에 사용되는 매개 변수로 이용율(utilization), 무작위율(randomness), 연관도(Associativity)만을 사용하여 단순하다는 특성이 있다. 본 논문은 실제 Linux 환경에서 측정한 WAF와 비교 분석 결과 제안된 모델이 WAF를 정확히 예측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시험에 의한 공동구내 케이블의 연소특성 연구
이상엽(Sangyup Lee),민세홍(Sehong Mi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3
The spacial characteristics of an underground common duct often lead to disasters resulting in great damage to life and property. In the case of a cable fire, additional damages such as failure of power and fire prevention equipment occur. Accordingly, to derive the risk factors of an underground common duct cable fire, a cone calorimeter test was performed in this study. The fire simulation factor was obtained by measuring temperature changes with time, while the heat release rate (which depends on the cable type) was determined by a combustion test of the subject. The test an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mainly for incombustible and general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s used in a common duct. According to the test, for a general power cable, the ignition time was measured to be 26 s with a maximum heat release rate of 187 kW/㎡ for 190 s. For a flame resisting power cable, the ignition time was measured to be 20 s with a maximum heat release rate of 179 kW/㎡ for 40 s. For a general communication cable, the ignition time was measured to be 20 s with a maximum heat release rate of 179 kW/㎡ for 40 s. For a flame resisting power cable, the ignition time was measured to be 40 s with a maximum heat release rate of 154 kW/㎡ for 100 s. The test results will be used as fire simulation factors in response to a fire originating from an underground common duct. 지하공동구의 공간적 특성상 대형재난으로 발생하기 쉬워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커지기 쉽다. 그 중 케이블 화재의 경우 정전, 방화시설, 고장 등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 공동구 케이블 화재의 위험요소를 도출하고자 콘칼로리미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제 지하공동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력 및 통신케이블을 종류에 따라 난연과 일반으로 구분하여 착화시간 및 최대 열방출율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전력케이블 중 일반의 착화시간은 26초, 최대 열방출율은 190초에 187 kw/㎡이며, 난연의 착화 시간은 50초이며 최대 열방출율은 100초에 145 kw/㎡로 측정되었다. 또한 통신케이블 중 일반의 착화시간은 20초, 최대 열방출율은 40초에 179 kw/㎡이며, 난연의 착화시간은 40초이고 최대 열방출율은 100초에 154 kw/㎡이다. 본 실험을 통해 추출된 결과물은 지하공동구 화재 대응을 위한 화재 시뮬레이션의 인자값으로 사용될 것이다.
이상엽(LEE Sangyup) 한국국제정치학회 2013 국제정치논총 Vol.53 No.3
As part of a broader research project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dern states’ military build-up, this paper examines to what degree the realist perspectiv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R) provide explanations for the phenomena. For the analysis, I chose the case of South Korea’s naval development characterized with the Blue Water Navy Initiative since the 1990s. In other words, I test explanatory power of realist theories for the case of South Korea’s naval build-up. The hypotheses involv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1) external threat (or perception of it), (2) changes in U.S. defense commitment to or U.S. leverage over South Korea (due to a structural change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and (3) changes in South Korea’s economic interest or capacity. Through in-depth analyses using primary and secondary data, I observe that, although some of the realist perspectives are useful particularly in explaining South Korea’s naval constructions in the past, they fell short of providing accurate explanations for the naval buildups since the 1990s. At the end of the paper, I propose an eclectic way to look at the phenomenon. More specifically, I suggest that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hat builds on the national identity factor and international norms may provide useful insights in understanding the case.
SCP 운영 프로세스와 ISO 8000-61 데이터품질관리 프로세스 통합
Sunho Kim(김선호),Changsoo Lee(이창수),Dongwoo Lee(이동우),Sangyup Lee(이상엽),Seongwoo Hwangbo(황보성우),Jinwoo Lee(이진우),Ricardo Perez-Castillo,Ismael Caballero 한국경영과학회 2019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4
SCP (Smart, Connected Product) 운영시 개별 센서나 디바이스에서 스트리밍 데이터가 대량으로 시스템으로 입력되며 비즈니스 데이터 및 외부 데이터와 통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통합된 데이터를 IoT데이터라고 한다. 고객에게 SCP 의 우수한 운영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운영 전반에 걸쳐 고품질의 IoT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고품질의 IoT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센서/시스템 오류의 잘못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높은 IoT 데이터 품질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서 프로세스 중심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IoT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해 SCP운영 프로세스에 필요한 데이터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첫째 SCP가 운영되는 클라우드 환경, SCP운영 프로세스 범위, IoT 유형을 제시한다. 둘째, IoT 환경에서 필요한 SCP 운영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SCP 운영 프로세스와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간의 통합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ISO 8000-61에서 정의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참조모델을 기반으로 통합하는 대안들을 제시한다.
SCP 운영 프로세스와 ISO 8000-61 데이터품질관리 프로세스 통합
Sunho Kim(김선호),Changsoo Lee(이창수),Dongwoo Lee(이동우),Sangyup Lee(이상엽),Seongwoo Hwangbo(황보성우),Jinwoo Lee(이진우),Ricardo Perez-Castillo,Ismael Caballero 대한산업공학회 2019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4
SCP (Smart, Connected Product) 운영시 개별 센서나 디바이스에서 스트리밍 데이터가 대량으로 시스템으로 입력되며 비즈니스 데이터 및 외부 데이터와 통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통합된 데이터를 IoT데이터라고 한다. 고객에게 SCP 의 우수한 운영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운영 전반에 걸쳐 고품질의 IoT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고품질의 IoT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센서/시스템 오류의 잘못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높은 IoT 데이터 품질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서 프로세스 중심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IoT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해 SCP운영 프로세스에 필요한 데이터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첫째 SCP가 운영되는 클라우드 환경, SCP운영 프로세스 범위, IoT 유형을 제시한다. 둘째, IoT 환경에서 필요한 SCP 운영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SCP 운영 프로세스와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간의 통합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ISO 8000-61에서 정의한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참조모델을 기반으로 통합하는 대안들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