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진 시 수직형 수소 저장용기의 거동 특성 분석 및 안전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이상문,배영준,정우영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7 No.6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수소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직형 원통 용기는 강재로 제작되며,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제작된 받침 콘크리트 상부에 기초 슬래브에 선 설치된 앵커로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지진과 같은 외력이 작용될 시 정착부에 응력이집중될 수 있으며, 앵커 및 콘크리트 손상으로 인한 구조물의 전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 조사를 통한 실제 운용중인 수직형 수소 저장용기를 특정하여 3차원 유한요소로 모델링하였고, 비 구조 요소의 내진 성능 검토에 사용되는 ICC - ES AC 156의 인공 지진 및 규모5.0 이상의 국내 기록지진을 적용하여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제 규모로 제작된 구조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현실적 제약으로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해석적 접근 방식을 통하여 대상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거동 특성의 경우 지진동에 의해 발생된 구조물의 응답 가속도는 검토되는 지진 하중 대비 평균적으로 10 배 이상 크게 증폭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게 중심이 위치되는 지점으로 전달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취약 부위로 예상되는 하부 시스템(지지 기둥 및 앵커 정착부)의 경우 허용 응력을 만족하는 것으로나타났지만, 정착을 위한 받침 콘크리트의 쪼갬 및 인장 강도는 허용 응력 대비 약 5 % 정도의 여유만이 있어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진동대 시험을 통하여 수행이 되는 수소저장 용기 제작에 필요한 설계 하중 및 조건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general, large-capacity hydrogen storage vessels, typically in the form of vertical cylindrical vessels, are constructed using steel materials. These vessels are anchored to foundation slab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to sui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anchoring method involves pre-installed anchors on top of the concrete foundation slab. However, it's important to note that such a design can result in concentrated stresses at the anchoring points when external forces, such as seismic events, are at play. This may lead to potential structural damage due to anchor and concrete damage.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it selected an vertical hydrogen storage vessel based on site observations and created a 3D finite element model. Artificial seismic motions made following the procedures specified in ICC-ES AC 156, as well as domestic recorded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greater than 5.0, were applied to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 and performance of the target structures. Conducting experiments on a structure built to actual scale would be ideal, but due to practical constraints, it proved challenging to execute. Therefore, it opted for an analytical approach to assess the safety of the target structure. Regarding the structural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acceleration induced by seismic motion was observed to amplify by approximately ten times compared to the input seismic motions. Additionally, there was a tendency for a decrease in amplification as the response acceleration was transmitted to the point where the centre of gravity is located. For the vulnerable components, specifically the sub-system (support columns and anchorages), the stress levels were found to satisfy the allowable stress criteria. However, the concrete's tensile strength exhibited only about a 5% margin of safety compared to the allowable stress. This indicates the need for mitigation strategies in addressing these concer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presented in this paper, it is anticipated that predictable load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storage vessels required for future shaking table tests will be provided.

      • 폐흡충 유약충 및 성충표피의 미세구조

        이상문,심태섭,홍성태,이순형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81 中央醫大誌 Vol.6 No.4

        The teguments of juvenile and adult Paragonimus westermani were observed through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to outline the ultra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tegument by worm growth and develop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cale-like spines were observed around oral sucker of juvenile worms irregularly and they remained in adult worms. 2. The tegumental surfaces of juvenile worms consisted of many valleys, cobble stone-like knobs of protoplasmic processes and underdeveloped spines. The tegumental surface was wrinkled greatly and irregularly. 3. The valleys found in the tegument of juvenile worms were not observed in adult worms. And the tips of protoplasmic knobs became wide, therefore, the surface looked flat and smooth in adult worms. The spines of adult worms well protruded due to stretching of the wrinkled tegumental surface of juvenile worms. 4. The findings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orrespond well to thos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it was also found that subtegumental fibrous layer became thick and muscle layers were less compact in adult worms. These findings were regarded as results from the differences of the parasitic location, migration habit and developmental stages between juvenile and adult worms of P. westermani.

      • KCI등재

        농촌지역 공간계획체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문 한국농촌계획학회 1995 농촌계획 Vol.1 No.1

        The drastic change of spatial structure in rural area and the recent rural development policies(related to settlement reorganization and plot rearrangement) make the rural space planning more important than ever. So this paper tries to evaluate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rural spatial planning system focused on planning area. land use classification and hierachical order between existing pl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ural planning areas are classified into 4-tiers(e.g., Gun, Myon, District, Village). Second, the rural land use planning has 3-tiers(e.g., macro, mediate and micro zoning) from the viewpoint of land use classification system, but it doesn't have mediate-micro zoning system. Third, the spatial plans in rural area, positioned in local planning, were categorized into regional planning system and land use planning system. However there's no linkage between both sides of each hierachial planning order.

      • 수리 가능한 시스템의 고장 예측 –MCF를 이용한 비모수적 분석

        이상문,변광식 한국신뢰성학회 2021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에서는 수리가능 시스템에 있어 향후 예상되는 고장 수를 예측하기 위해 평균 누적 함수(MCF)를 기반으로 한 선형 추정방법을 소개하고, 군용 항공기 보조동력장치(APU)의 운용 및 정비자료를 이용하여 특정 기간 동안의 고장 예측 결과와 실제 발생한 고장 수를 비교하여 비 모수적 분석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