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성찰과 치유를 위한 문학교육방법 연구 -교양교과목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이병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function of literature for both self-reflection and heal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literature-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t H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In particular, I focused on how the ‘Writing Prepared Article’ activity summons students' extremely personal and emotional experiences, and showed how it can heal their wound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terature education is reading works, and then conducting writing activities about those works. The ‘Writing Prepared Article’ activity is a very subjective and private description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work, without any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or the work itself. Through the ‘Writing Prepared Article’ activity, students identified and sympathiz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pieces, summoning whatever specific experience or injuries they may have undergone in their past. After doing some reflecting, the students were then able to experience a degree of healing from this process. In addition to reading and writing, I also confirmed that active feedback from the professors about the assignment was also very important. Listening to feedback regarding the criticism, the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empathy they felt for the writer. Moreover, students were also able to expand into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ir classmates, and to further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After several weeks of being involved in this activity, students slowly learned how to better relate to other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peers―one that took them out of the confining framework of their own thoughts, feelings and experiences. 이 글은 수도권 소재 H대학의 문학 관련 교양교과목의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문학이 대학생의 자아성찰과 치유을 위해 어떤 기능을 발휘하는지 점검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씌어졌다. 특히 ‘준비글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지극히 사적이고 정서적인 경험을 어떻게 소환하고 그들이 갖고 있었던 상처를 어떻게치유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문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 읽기와 그것에 관한 쓰기 활동이다. ‘준비글 쓰기’는 작가나작품에 대한 아무런 정보 없이 오직 작품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지극히 주관적이고 사적으로서술하는 것이다. 준비글 쓰기를 통해 학생들은 작중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거나 공감하게 되고, 이를통해 과거의 어떤 특정한 경험이나 상처를 소환해 스스로 성찰하고 그 과정에서 치유를 경험하게되었다. 읽기와 쓰기 외에 과제에 대한 교수자의 적극적인 피드백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준비글에 대한 피드백을 들으면서 학생들은 작품을 읽으면서 작중인물에게 느꼈던 공감이 이제는같은 분반 수강생들과의 ‘정서적 교감’으로 확대되는 경험을 하거나, 서로의 생각과 경험의 ‘차이’를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런 경험을 몇 주에 걸쳐 진행하면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경험만이 옳고 소중하다는 틀에서 벗어나 타인에 대해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나가야하는지 서서히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도시기반 학습과제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글쓰기> 교과목의 ‘기획서 쓰기’를 중심으로 -

        이병순,정경민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기획서 쓰기’ 학습과제는 단순한 지식이나 개념의 획득보다는 실습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해 <글쓰기> 수업시간에 적용하였다. 기획서의 경우 학생들이 사회 진출 이후 빈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글쓰기이다. 뿐만 아니라 기획서는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 제해결능력이나 융합사고력을 배양하는 데 적합한 문서이다. 지역에 기반한 교과목이나 학습과제는 대학생들에게 학습을 통해 자신 이 지역사회의 일원임을 깨닫게 하고, 교육과 연구 결과를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 경험은 학생들이 사회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감을 인식, 예비사회인으로서 소양을 갖추는데 기여한다. 즉 사회와의 관계 또는 공동체 속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확립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준다. The “writing a plan for solving community problems” learning task was assigned to writing class to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formation of thinking through experience rather than simple knowledge or concept acquisition. In case of the plan, it is a practical style of writing that students can use frequently after entering the workplace. Particularly, in case of engineering students, it is more likely to prove useful. In particular, the plan is a document suitable for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y or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because it can utilize both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In particular, locally-based subjects and learning task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college students realize that they are members of the community, through learning,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education and research results, and forming a social self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hrough this learning experience, students recognize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the social community and contribute to their knowledge as a pre-social person.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new opportunity to understand oneself in the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with socie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반응형 수업모델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 - 한국산업기술대학 <한국문학의 이해>를 중심으로

        이병순,장미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ign a curriculum model related to literature which is effective for the humanities and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students will construct a course outline of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accept the humanities through the 'Literature' class and to express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 by reacting to the humanities. In a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students should be capable of selecting and using the appropri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a given situation and task. The content of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se abilities and attitudes, and the emphasis is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Competency-based university education requires a new form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paradigm, and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could respond to such a new education paradigm and reviewed its application cases. In college, literature is a very important subject for the education of humanities. Expected effects are as follows when class is progressed with this class model. First,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class is thoroughly operated by learners, and in the process, students will acquire humanities and humanity education by themselves. Second, reading and discussion of literary works focusing on modern, short and novel improves the emotional index for college students who lack the basis of the humanities, and broadens their understanding of ‘I’ and ‘others’ and ultimately develops empathy. I will. Third,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read the text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to reflect on their lives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y will be able to solve problems by providing examples of various conflicts and solutions that exist in the text. Fourth, if the curriculum is improved by applying this model, learners will be able to secure more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bility by combining the infinite imagination embedded in literary works with their major field. 이 글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문·인성 교육에 효과적인 ‘문학’ 관련 교과목 수업모델 을 기획하는 데에 있다. 즉 학생들이 ‘문학’ 수업을 통해 인문학을 수용하고, 나아가 인문학에 주체적으로 반응하여 자신의 학습 경험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국문학의 이 해> 교과목 수업모델을 구성해 보는 것이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학생들은 주 어진 상황과 과제에 맞는 적절한 지식과 정보를 선별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런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방향으로 교육 내용이 변화해야 하는데, 이때 부각 된 것이 핵심역량 개념이다. 역량기반 대학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형태의 교육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본 연구는 그러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부응할 수 있는 수 업모델을 개발하여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대학에서 ‘문학’은 ‘인문·인성’(Re:Humanity)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다. 본 수업모델로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을 때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문학의 이해> 수업은 철저히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이 운영되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인문·인성 교육을 체득하게 될 것이다. 둘째 현대, 단편, 소설 중심 의 문학 작품의 독서와 토론은 인문학의 바탕이 미흡한 대학생들에게 감성지수를 향 상시키고, 아울러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궁극적으로는 공감 능력을 신장시킬 것이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읽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성찰할 기회를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텍스트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갈등과 솔루션의 예를 제공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게 할 것이다. 넷째 본 모델을 적용하여 교과목을 개선했을 경우, 학습자들은 문학작품 속에 내포된 무궁 한 상상력을 자신의 전공 영역과 결합하여 좀 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모성 연구

        이병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여성문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oi Jung-Hee's late 30s' works based on 'motherhood'. Up to recently, a dominant opinion on Choi Jung-Hee's works is that the discord between feminity and motherhood leads the conclusion to motherhood. However, a simple wondering that is it a sound way of reading to interpretate that the heroine who identifies herself with a woman and a mother finally returns to motherhood makes this study started. To settle this wondering, investigating 'motherhood', the feature of Choi Jung-Hee's works, I study how it is formed and what its meaning is. In her works, married and intelligent women appear and their winding lives are settled by means of the topic 'motherhood'. The poor woman who is married but doesn't have husband fixed as a heroine, the hardness and bitterness of her mothering is described with much more concrete experienced narration than that of any other writer in those days. In the process, resisting the patriarchy ideology superficially and giving up or denying motherhood, the heroine ends up returnung to motherhood adjusting herself to the environment. However, this process being made up of a sharp turning failing to make sure of probability or represented as a descriptive summary, it is difficult to accept that the ending is natural one derived from heroine's earnesty. Because of this, though the superficial theme of Choi Jung-Hee's work is motherhood, I think the latent voice from the rear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disguised or marked as it is hard to be accepted socially. It is an individual and subjective desire of a woman that is surpressed and unsettled by motherhood ideology or can't be gratified by only motherhood. 이 글은 최정희의 1930년대 후반 소설을 ‘모성’이라는 틀로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씌어진다. 최근 들어 최정희 소설에 대한 연구는 주인공이 여성과 모성 사이에서 갈등을 겪다가 결국 모성으로 귀결된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여성임을, 어머니임을 확인한 주인공이 결국 모성으로 회귀한다고 보는 것이 과연 최정희 소설의 온전한 독법일까 하는 소박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이같은 의문의 해결을 위해 최정희 작품의 본령이라는 ‘모성’을 작품 내에서 꼼꼼히 살펴보고, 이것이 어떻게 형성된 것이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추출해 보려고 한다.최정희 소설은 대부분 기혼의 지식여성을 등장시켜 그들의 삶의 굴곡을 ‘모성’이라는 화두로 풀어냈다. 가난하고 남편이 없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어머니 노릇의 고단함과 신산함을 당대 다른 작가의 그것보다 훨씬 더 구체적 경험의 서사로 그려냈다. 그 과정에서 주인공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며 모성을 포기하거나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결론에 이르면 모성으로 회귀하며 순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 과정은 개연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급격한 선회로 이루어지거나, 서술적 요약으로 제시되어 있어 작중인물의 진정성에서 우러난 자연스러운 귀결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최정희 소설의 표면적 주제는 모성성의 강조이지만, 그 배면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목소리는 사회적으로 용납되기 어려워 흔적이나 위장이 필요한 ‘어떤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모성이데올로기에 의해 억눌리고 고통받아 흔들리는, 혹은 모성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여성의 개별적주체적인 욕망인 것이다.

      • KCI등재

        1950년대 중반 최정희의 장편소설 연구 ― <떼스마스크의 비극>과 <그와 그들의 연인>을 중심으로 ―

        이병순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3 No.-

        This article is the study of Choi, Jung-Hee's two novels. Two novels are "The tragedy of the dead mask" and "The men and their lovers." It is Newspaper serial novel. Meanwhile, the existence of this novels were not well known. The reason is the text are difficult to find. Second, microfilm state is not good, it is difficult to read. Third, it is a novel serialized in newspapers. Because it is too popular newspaper novels. This study is a full-scale study of two novels. This study is Choi, Jung-Hee's novel in 1950's will serve to fill in the gaps in the research. "The tragedy of the dead mask" and "The men and their lovers" was the background Seoul and Busan. The story of young people in South Korea after the war was to describe the life and love. This novels are a record of the wandering youth. "The tragedy of the dead mask" is reveals the young generation of pathological signs. It is caused by war, anxiety, fear, frustration is. "The men and their lovers" is the story of young people's love had disastrous. The violence of war destroys the individual. Result in injury or even death because of the war. Young lovers in love because of the war and losing others. This novels are well depicted the tragedy of war. 이 글은 그동안 우리 문학사에서 그 존재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최정희의 두 편의 장편소설 <떼스마스크의 비극>과 <그와 그들의 연인>에 관한 연구이다. 이 두 작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장 큰 원인은 첫째 자료 구득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는 마이크로필름 상태가 온전하지 않아 작품의 독해가 상당히 어렵고, 셋째 신문 연재 장편이 갖는 대중성이 신문연재장편소설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꺼리게 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글은 미답지로 남아 있는 두 편의 소설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통해 1950년대 중반 최정희 장편소설 연구 공백을 메워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1950년대 중반에 발표한 <떼스마스크의 비극>과 <그와 그들의 연인>은 각각 서울과 부산을 배경으로 한국전쟁 전후 젊은이들의 삶과 사랑을 그려낸 소설들로, 방황하는 청춘의 기록으로 볼 수 있다. <떼스마스크의 비극>은 한 지식인의 방황을 통해 전쟁 직후 공포와 불안, 초조와 좌절 등 외상 후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젊은 세대들의 병적인 징후를 그대로 형상화한 작품이고, <그와 그들의 연인>은 1950년을 전후하여 20대 초반 젊은이들의 사랑과 이별을 그린 작품으로, 입대와 부상, 강제징집, 전사 등 전쟁의 폭력성이 개개인의 삶을 얼마나 피폐하게 만드는지 잘 보여준 작품이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CE-PBL 운영 사례 연구

        이병순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9 No.-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that operated the ‘Writing’ class of H University as CE-PBL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CE(Community Engagement) curriculum is a win-win education cooperation model between universities and cities. The CE course of H University is a government- academic cooperation education model in which the city supports the budget for class activities, and is design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nd seek positive social change with fresh ideas from students. CE-related learning activities conducted in the ‘Writing’ class, a liberal arts compulsory subject, were writing reports and proposal. In both tasks, learners had to solve themselves by selecting topics related to “regional”. As they carried out reports and planning activities as regional-linked tasks, students learned various information, policies, and even problems in the city where their university is located. Until now, learners who have lived with a complacent and passive idea that “someone” will solve local problems, not “me”, have experienced a sense of belonging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college students in their hometown. The learning experience in which learners actively and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solving problems with interest in the communit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living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CE-PBL in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for the coexistence of regions and universities. 이 글은 2021년 1학기, H대학 <글쓰기> 수업을 CE-PBL로 운영한 사례 연구다. CE(Community Engagement) 교과란 대학과 시(市)의 상생 교육협력모델이다. H대학의 CE교과는 시가 수업활동 예산을 지원하는 관학협력 교육모델로서, 기존 교과목에 시의 현안을 과제 혹은 학습활동으로 접목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생의 참신한 아이디어 제안으로 긍정적 사회변화를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교양필수교과인 <글쓰기> 수업에서 실시한 CE-PBL 관련 학습활동은 보고서와 기획서 쓰기였다. 두 개의 과제 모두 ‘지역’ 관련 주제를 선정해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해야 했다. 지역 연계 과제로 보고서와 기획서 쓰기 활동을 수행하면서 학생들은 대학이 소재한 지역의 다양한 정보와 정책, 나아가 문제점까지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지역의 문제는 ‘나’가 아니라 ‘누군가’가 해결할 거라는 안이하고 수동적인 생각을 갖고 살아온 학생들은 연고 도시의 대학생으로서 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경험하게 되었다.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참여해서 지역사회에 관심을 갖고 문제점을 해결해 본 학습 경험은 앞으로 그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과 대학의 상생을 위해서도 대학의 교양교과목 수업에 CE-PBL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