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rtichoke Extract Directly Suppresses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Hepatocytes During the Develop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이민희,김다경,박소정,김경석,박금덕,김옥경,이정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24 No.10

        We evaluated the effect of artichoke leaf extract (ALE) on the livers of mice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duced by high-fat/high-fructose diet and H2O2-treated HepG2 cells, as well as the mechanism underlying its hepatoprotective effects. Supplementation with ALE suppressed the NAFLD-induced increases in serum lipids, bilirubin, gamma-glutamyl transferase,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supplementation with ALE attenuated the increas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mRNA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poptosis signaling pathways caused by a high-fat/high-fructose diet. We found that ALE treatment suppressed inflammation and apoptosis caused by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E supplementation directly suppresses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hepatocytes during the development of NAFL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ALE may be useful for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liver diseases, including hepatic steatosis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SCOPUSKCI등재

        혈액투석을 이용한 Paleaquat 중 독 치료경험

        이민희,정영채,이만길,채종률,장필식 대한신장학회 198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7 No.1

        Paraquat has been a widely used herbicide in kore; since 1970, human ingestion results in acute renal fail- ure, hepatic dysfunction and progressive respiratory failure with high mortality rate. We have analyzed twenty three cases of acute para- quat poisoning who were admitted to Masan Koryo General Hospital from March 1986 to March 1987 and twenty cases of those were treated by hemodi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mong 23 cases of acute paraquat poisoning, 16 cases were male and peak incidence was the fourth decade. 2) The major clinical sysmptoms and physical signs were sore throat and swallowing difficulty (100%), oral cavity ulcer (87%), fever (78.3%), jaundice (34.8%) and epigastric tenderness (30.4%). 3) Except 6 cases treated by early hemodialysis and 3 cases in early death, abnormal renal function and liver function were observed in 14 cases. 4) All of the 7 cases who ingested more than 50 ml of 24.5% paraquat died and 10 cases of the 16 cases who ingested less than 50 ml are alive. 5) The mortality rate was 56.5% and the cause of death was acute respiratory failure, acute renal failure and perforation of esophagus,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제국일본 문학의 번안 양상― 1920년대 『매일신보』 연재소설 「汝等의 背後로셔」를 중심으로 ―

        이민희 한국일본학회 2012 日本學報 Vol.93 No.-

        本稿は日帝時代における帝国日本の文学の翻案様相をうかがう一端として、『汝等の背後より』と「汝等의背後로셔」を比較することで、翻案作品が民族の問題を如何に扱っていたのかを考察してみたものである。それは植民地文学では当然ながら現れる被支配者と支配者とのあいだに生ずる対立構図をあいまいに処理したり、敵対感情を弱めたりした。たとえ原テキストの意図が「人類解放の一つの戦線を支持する」ためであって、朝鮮(人)と日本(人)の対立構図がいらなかったし、また二重言語の状況が解消されたとしても、当時被植民地者であった朝鮮人の読者が、果たして自分たちを素材とした帝国日本の文学を読みながら民族の問題を排除す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か。この論議は原著者である中西伊之助の朝鮮にたいする認識を問題にしたり、「朝鮮に親しい同志」という中西伊之助にたいする認識を再考したりする作業ではない。彼は以降も朝鮮と日本のプロ文壇との連帯及び朝鮮文学を日本に知らせるために努めた。一つ確かなのは、原著者の朝鮮での体験 いまにも朝鮮人に殺されるかもしれないという恐怖 が再現する場面で、朝鮮人と日本人との対立構図と敵対感情が、翻案するなかで弱くなった点である。朝鮮プロ文壇と日本プロ文壇とのあいだの組織的な連帯という美名の下に、むしろ翻案作品が被植民地者である朝鮮人が認識すべきであった冷厳な現実認識にたいする機会を逃せる結果を招いたのかもしれない。

      • KCI등재

        온·오프라인의 상호작용으로 구축되는 연쇄적 관극 문화에 관한 고찰─뮤지컬 <프랑켄슈타인>(2014/2015)을 중심으로

        이민희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3

        This paper analyzes the behavioral patterns of fandom, which is repeatedly seen in the creative musical Frankenstein, by dividing it into offline and online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offline experience is considered as ‘liveness’ and the accompanying text ‘online production’ is analyzed as ‘rewriting.’The ‘liveness’ is accompanied by all performance sites. However, this paper claims that music and narrative of musical Frankenstein increases liveness, which composed of improvisation, act of seeing and sorrow.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Yoen-myu-gael,’ the online community for rewriting the original musical on the Internet. And this paper thought that the fandom created ‘memory restoration,’ ‘textual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improvisational elements,’ and ‘rewriting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and the whole season.’Above all, the activity of the musical fandom coincides with the scheme of performance mentioned by the theater scholar Schechner. This means that the fandom of Frankenstein repeatedly watched the show and underwent ‘change’ and ‘transformation,’ and thus created a seasonal epic. In conclusion, this paper attempts to start a full-fledged commentary on the repetitive viewing culture that was overlooked by existing musical spectator research.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fandom experiences intense live performance by their act of repetitive viewing, further more the experiences store memories collectively. This means that the behavior of the musical fandom can not be known only from the consumption aspect or from the existing fandom culture. And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seasonal musical appreciation method mediated by Internet board. 본 논문은 창작뮤지컬 <프랑켄슈타인>(2014/2015)을 반복해서 관람하는 뮤지컬 팬덤의 활동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오프라인에서의 관극 경험은 ‘라이브니스’(liveness)라는 관점으로, 이에 동반되는 온라인에서의 텍스트 생산은 ‘다시쓰기’라는 활동으로 조망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논문은 뮤지컬이 연행(演行)되는 방식에 맞물려 진행되는 팬덤의 고유한 행동 양상을 그 집단 내부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라이브니스’는 모든 퍼포먼스 현장에 동반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논문은 즉흥성, 보는 행위, 비애로 구성된 라이브니스가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의 음악 및 서사에 의해 증폭된다고 보았고 이를 차례로 분석하였다. 이어 본 논문은 오프라인의 라이브니스에 동반되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다시쓰기를 특정한 인터넷 게시판을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특히 온라인에서의 다시쓰기를 통해 공동의 기억복원, 즉흥적인 요소의 텍스트화와 이에 대한 해석, 그리고 주변적인 인물 및 시즌 전체에 대한 다시쓰기가 수행된다고 보았다. 주목할 점은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뮤지컬 팬덤의 연쇄적 관극이 연극학자 쉐크너(Schechner)가 언급했던 퍼포먼스의 도식과 유사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의 팬덤이 반복적으로 공연을 관람하며 ‘변화’와 ‘변용’을 겪고 한 시즌 단위의 대서사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련의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안에서 피상적으로만 접근되던 뮤지컬 관객의 반복관람 문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뮤지컬 팬덤이 온·오프라인의 연쇄적 퍼포먼스를 통해 보다 강렬한 라이브를 체험하며, 궁극적으로는 집단적으로 기억을 봉인(封印)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는 뮤지컬 팬덤의 행동을 소비적인 관점에서만 혹은 기존의 팬덤 문화에 기대서만은 알 수 없는 것으로서, 인터넷 게시판에 매개된 시즌 단위의 독특한 뮤지컬 감상 방식으로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이야기 연행의 양상과 실제(Ⅰ) - 외국인 기록물을 중심으로 -

        이민희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30

        This paper was aimed at exploring with performing patterns of storyteller in the late of Choseon Dynasty, which based on foreigner's records. There are not a few records to describe precisely the scene of fiction reading, the performance of storyteller and the Pansori's performance. However, foreigners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ppearance of reading the novel aloud and pansori singing. That's because the way of actual performance was similar. They were entertainers to be able to talk, sing and act professionally in common. Storyteller and fiction reader had a show in a similar way to the pansori performers. Professional storyteller's stories were one of sources that g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formation of pansori's original contents. One of Pansori's formation was caused to add to special song's techniques and musical elements on the original story of professional storyteller. And later pansori was made by 'play song', which meet the demands of the 18~19th centuries and a sense of audience. While the novel was read by a professional storyteller who learned the ways of recitation from memory with the form of so-called 'story songs'. The general public also enjoyed generally the recitation and reading aloud in life, which is not required in the form of special arts. Recitation of novel and story song which enjoyed easily in life were unique storytelling way to respond to demand of professionality, time and interest by readers of the day. 본고는 조선후기 이야기꾼의 이야기 연행 양상과 그 실제를 외국인 기록물을 중심으로 살피고 그 역사적 실상을 재구성한 것이다. 외국인 기록물 중에는 소설 낭독과 이야기꾼의 공연, 그리고 판소리 연행 장면을 구체적으로 포착해 낸 것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들 외국인의 기록에서 소설 낭독과 판소리 광대의 연행이 별반 다르지 않게 묘사되고 있다. 이들이 그것을 구별하지 못했거나 구분하지 않았던 이유는 실제 연행 방식 면에서 그 차이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17세기 장생의 연행으로부터 20세기 초 외국인들의 눈에 비친 판소리 광대와 전기수의 공연에서 그러한 통시적 변화상을 읽어낼 수 있다. 이들은 공히 이야기와 노래, 그리고 연기에 능한 예능인이었다. 이야기꾼 또는 소설 낭독자의 연행 방식과 판소리의 연행 방식의 유사성을 통해 상보적 이해가 가능하다. 원래 판소리의 이야기 출처 내지 사설 형성에 있어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것 중 하나가 이야기꾼의 사설이다. 그런데 후대에 판소리는 이야기 광대의 이야기에다 歌唱 기법과 음악적 요소를 가미해 이를 ‘연극 노래’로 발전시킨 것이다. 반면 소설 낭독은 음영과 송독의 방식을 능숙히 익힌 전문적 이야기꾼이 소위 ‘이야기 노래’로 키워 나간 결과라 할 수 있다. 일반인들도 낭송과 낭독을 생활 속에서 즐겼는데, 일반적으로 특별한 기예가 요구되지 않는 誦讀의 방식을 이용했다. 오늘날 소설을 읽어주는 정규헌은 일반 송독자인 데 반해, 조수삼이 언급한 ‘전기수’는 전문적 소설 낭독자이자 이야기꾼으로서 이 둘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생활 주변의 단편적인 이야기를 들려주던 재인(광대)들의 기예에서 출발해, 판소리는 당대 독자들이 흥미를 느낄만한 세련된 음악적 요소를 개발, 적용시켜 그 고유한 영역을 구축한 반면, 전기수의 소설 낭독은 음악적 요소보다 내용(의미) 전달에 초점을 두고 그 고유한 영역을 마련했다. 생활 속에서 쉽게 향유하던 歌唱과 吟詠, 誦讀은 당대 전문성과 시대성, 그리고 흥미성을 갖춘 연행자에 의해 점차 그 고유한 영역을 구축해 나갔다.

      • KCI등재

        심리 치료 측면에서 본 <閔翁傳> 小考

        이민희 한국고전문학회 2007 古典文學硏究 Vol.31 No.-

        Yeonam(燕巖) Park Ji-Won(朴趾源), who was one of the best chinese writing writer in Choseon Dynasty, was also melancholic in his youth. When he was around twenty, he wrote nine kinds of short chinese writing story including Minongjeon(閔翁傳). Most of all, it is exciting that depression of his youth shed light on Minongjeon by the relation between Yeonam as a melancholic and Minong(閔翁) as a psychotherapist. Though Minong was an old person who couldn't display his real ability, he was also excellent talker who could make a witty remark and crack a joke and sometimes do a keen satire on society of upper class. When Minong met with young Yeonam, Minong tried to cure Yeonam's depression psychologically by giving an account, making a witty talk and telling a matching tale. Yeonam also pulled himself out of mental depression even for a short time, and acted spontaneously sometimes, thanks to the meeting and talking with Minong. In view of this, Minongjeon resembles closely report on a psychical cure. As Minong's talk gives a laugh to Yeonam by psychotherapy, so does Minongjeon comfort to readers today. 연암이 젊은 시절에 겪었던 우울증의 단면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 「민옹전」이다. 재주는 있지만 불우한 삶을 산 민옹과 젊은 시절의 연암은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 뛰어난 학식과 능력이 있으면서도 세상에 나가 자신의 뜻을 펼치지 못한 것이나 사회를 바라보는 안목과 언변, 재치 등이 남달랐던 것 등은 70살 넘은 민옹과 20살 전후의 연암이 서로 만나 마음을 통할 수 있었던 한 요인이었다. 그렇기에 민옹은 연암의 우울증과 그 원인을 잘 이해했으며, 민옹을 만난 연암은 비로소 답답하던 삶에 유쾌한 활력소를 얻을 수 있었다. 작품에서 민옹은 재치 있는 고담과 우스갯소리, 그리고 신랄한 풍자와 비판으로 우울한 심회에 젖어 있던 ‘나’의 심리를 편안하게 누그러뜨리고 활기를 불어넣어 주었다. 여기서 민옹이 ‘나’와 대면해 이야기를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나의 반응을 도출해 내는 과정이 「민옹전」에 고스란히 나타나 있다. 이는 마치 심리 치료자가 우울증에 걸린 환자를 이야기를 통해 치료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심리치료 현장 보고서를 방불케 한다. 「민옹전」이 지닌 문학적 가치 중 하나는 치료자와 환자가 이야기를 매개로 교감하고 동질감을 나누는 과정에서 현대의 독자들 역시 적잖은 심리적 위안을 얻을 수 있다는 데 있다.

      • KCI등재

        디지털 미니멀 음악이란 무엇인가?

        이민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7

        This thesis proposes a new genre term ‘digital minimal music’ to describe a certain form of music currently emerging in digital culture. As a genre of electronic music, digital minimal music is a novel style of minimalist music that originated from the digital culture of the late 1990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digital minimal music is its extremely minimalized musical appearance. It can be composed of pure sine waves with no timbre data, miniscule segments of sounds shorter than one seconds, or the noises of ‘ti-tic’ sounds that fill the long duration of a musical piece as sparsely as possible. It often uses some persisting sounds but with the minimum perceivable volume so that recognizing the change in sounds over time is difficult. It also uses ‘repetition as failure’ without signalling any intention from the composer. 1990년대 후반 디지털 문화가 일반화되면서 소음, 버그, 오작동 소리, 전자적으로 합성된 음향 등으로 구성된 새로운 유형의 ‘미니멀한’ 음악이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를 ‘디지털 미니멀 음악(digital minimal music)’이라 정의하고 그 특성을 살피고자 한다. 이 음악은 2000년대 초부터 마이크로사운드(microsound), 글리치(glitch), 로워케이스(lowercase)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음악가들과 학자들의 시야에 포착되었다. 외형적으로는 음악의 파라미터를 극단적으로 최소화한 형태이며, ‘오작동으로서의 반복’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음악의 일종으로서 그래뉼라 합성, DSP 합성과 편집, 즉흥연주의 녹음, 소프트웨어 제작, 필드 레코딩 등의 방식으로 제작되며,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비(非)아카데미적 음악씬을 중심으로 창작되고 배포된다. 무엇보다도 이 음악은 비재현(non-representation), 청각적 사물성(sonic objecthood), 기계를 소환하는 반복(repetition that evokes a machine), 침묵(silence) 등 몇몇 미학적 속성들을 통해 과거 1960년대 발생한 클래식 미니멀리스트의 음악보다도 훨씬 더 ‘미니멀리즘’의 본질에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음악사적인 의의가 있다.

      • 중소기업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개선 연구

        이민희,변기식,김지훈,주재영,김성욱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우리 기관은 CS 역량을 진단하고 개선함으로써 고객중심 경영확산을 위해 공공기관으로서 매년 ‘부처조사’를 수행하여 경영평가에 반영하고 있는데, 최근 3년간 고객의 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만족도가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투물자 분야는 다른 무기체계와 달리 중소영세기업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 몇 년간 수의에서 일반 경쟁으로 계약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경쟁 업체 간의 민원이나 과거에 납품된 제품의 감사 등으로 고객 만족도가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설명한 낮은 고객만족도의 원인은 원내에 근무중인 내부 인원의 직관적 의견을 토대로 분석한 것이어서, 실제 고객이 갖고 있는 불만을 정확히 대변한 것이라 볼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의 대응 방법에 대한 적절성도 재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최근 3년간 진행되었던 고객만족도 설문 조사결과의 주요 VOC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분석한 뒤, 연계된 설문 항목을 설계 및 도출하여 비 대면형식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델파이 기법을 응용하여 일정기간 경과후 재 설문을 진행함으로써 설문 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임기응변식의 대응에서 벗어나 객관적 결과에 근거하여 체계적인 고객만족 향상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