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1)

        이단비,김민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 중 설명적 텍스트 이해와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8명으로 실험집단은 25명, 비교집단은 23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유치원의 생활주제와 관련된 정보그림책 읽기 후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게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이야기그림책 읽기 후 이야기그림책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15년 3월 30일부터 5월8일까지 6주 동안 총 1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의 설명적 텍스트 이해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박진희와 권민균(2010)의 텍스트 구조 평가 검사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평가 하위요소는 주제제시, 특징 묘사, 특징적 사건, 유형 비교, 최종 요약이다. 또한 유아의 쓰기 발달을 알아보기 위하여 노영희(1994)의 유아 쓰기 능력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고, 평가 하위요소는 크게 의미적 쓰기 능력과 관습적 쓰기 능력으로 나뉜다. 각 검사도구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는 SPSS Statistic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설명적 텍스트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599, p<.001). 또한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쓰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886, p<.01). 본 연구결과는 정보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 방법임을 시사하며, 유아 교육 현장에서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설명적 텍스트 교육이 실시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가상 쇼핑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대한 연구

        이단비,박선영,이주완,강지우,김현경 한국감성과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 Vol.2022 No.0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가상 쇼핑몰의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사용자 경험 평가를 진행하여 가상 쇼핑몰의 주요한 기능을 확인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 쇼핑몰은 3D 공간에서 패션 아이템을 구경하고, 가상으로 피팅해보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존의 웹 또는 앱과 비교하여 화면을 확대 및 축소하거나 다양한 각도에서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제 매장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상으로 제품을 확인 및 착용해볼 수 있어, 비대면 소비 행태와 더불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여러 유명 브랜드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쇼핑몰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콘텐츠 개발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가상 쇼핑몰 콘텐츠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쇼핑몰의 주요 기능을 도출한 후,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프로토타입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아바타를 사용한 가상 피팅, 아바타의 외형 꾸미기, 튜토리얼, 제품 유형별 상이한 인터랙션 등이 포함되었다. 사용성 평가는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평가 대상은 상용화된 D사의 가상 쇼핑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토타입 이렇게 두 가지였다. 평가 지표는 편리성, 즐거움, 품질 보증, 접근/회피, 쇼핑몰 만족도, 충성도로 구성되었으며, 11-point scale이 사용되었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개발한 프로토타입은 기존 콘텐츠보다 높은 편리성, 즐거움, 품질 보증, 접근/회피, 쇼핑몰 만족도, 충성도를 보였으며, 즐거움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p<0.05). 심층 인터뷰 결과, 개발된 프로토타입은 제품별 인터랙션을 통해 제품을 한눈에 확인 가능하고, 나와 닮은 아바타를 통해 가상 피팅이 가능하여 편리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가상 쇼핑몰의 주요 기능을 디자인하고,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여 개발된 프로토타입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가상 쇼핑몰 관련 콘텐츠와 플랫폼 디자인 및 평가 시 고려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생활습관 변화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연령대 별 집단 차이

        이단비,안정현,남진영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22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9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a lifestyle change and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We included 229,046 individuals aged 19 years or older from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Self-rated health was evalua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measured using an ordinary measur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lifestyle behavior change us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 addition, we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behavior change and self-rated health stratified by age. Results: The reduction of physical activity had a negative impact on self-rated health among people aged 20 to 29 years. An increasing intake of delivery food was associated with bad self-rated health in people aged 30 to 49 years. In the 60 years and older ag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ecreased physical activity and low self-rated health. Furthermore, frequent meetings with people led to low self-rated health. Conclusion: Changes in lifestyle after the COVID-19 pandemic affected self-rated health. Therefore, individuals should try to enhance their health status. Also,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and promote people who need a healthy lifestyle behavior program. .

      • KCI등재

        Effect of OVOIL oil on B6D2F1 Mice Oogenesis

        이단비,박기상,서병부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2018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ypes of oil (OVOIL vs. OIL) on B6D2F1 mice oogenesis. In this study, B6D2F1 F1 mice were used in order to maximize oogenesis. The expansion rate of cumulus cells (82.0%±0.2 vs. 78.0%±0.1), in vitro fertilization rate (92.0%±0.1 vs. 88.0%±0.1), developmental rate (91.0%±0.1 vs. 87.0%±0.2), blastocysts formation rate (56.0%±0.1 vs. 57.0%±0.1), and zona hatched rate(41.4%±0.2 vs. 24.0%±0.1) were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NS; P>0.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uration rate; the OVOIL group showed higher maturation rate compared to that of the OIL group (96.0%±0.1 vs. 87.0%±0.1; P<0.05). In the blastocysts cell numbers, the total cell numbers (83.9±26.1 vs. 56.9±23.9), ICM cell numbers (15.7±8.8 vs. 6.3±3.5), TE cell numbers (68.3±25.7 vs. 50.7±24.1), % ICM (21.6%±0.1 vs. 12.7%±0.1), and the ratio of ICM:TE (1:6.2±6.5 vs. 1:10.3±7.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OIL group than the OIL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more developmental ability of B6D2F1 mice depending on the type of oil (OVOIL vs. OIL). In addition, the results can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culture condition on B6D2F1 mice. Henceforth, thu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herein might be used for in vitro culture of human embryos.

      • KCI등재

        한국 근대시의 대화성 연구를 위한 초석

        이단비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6 No.-

        Since the main characteristic of 1920s poetic literature was defined by Im Hwa as 'romanticism',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1920s poetic texts have been discussed within the 'romanticism'. However, when we approach the literature of the 1920s based on the concept of 'romantic irony' as a contradictory movement of 'interaction of creation and destruction' rather than romanticism with its inherent limitations of the 'absolute self', we’ll be able to approach the inner world of poetry (language) based on it from the perspective of 'dialogue' rather than monologue.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introduced the concept of 'Dialogical self'. The 'Dialogical self theory’, which emphasizes that the self 'reconstructs' itself in an unconventional way through a dialogical process in which the 'internal' and 'external' positions of the self are constantly exchanged,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subjects of 1920s poetry and their linguistic and conscious situations. The dialogic nature of modern Korean poetry can also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dialogic orientation' of the traditional sijo into the dialogic nature of a modern 'I-You' relationship. This claim will be demonstrated by discussing the modalities of the dialogical self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alogic utterance in the works of Chu Yo-han, Kim Eok, Hwang Seok-woo, and the representative poets of the 1920s, Lee Sang-hwa, Kim Sowol, and Han Yong-woon. This part will be supplemented by subsequent studies. 임화에 의해 1920년대 시문학의 주된 특성이 ‘낭만주의’로 규정된 이후, 1920년대 시 텍스트의 성취와 한계지점은 바로 이 ‘낭만주의’라는 외래 사조의 자장 속에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절대적 자아’의 한계성을 내재한 낭만주의가 아니라 ‘창조와 파괴의 상호작용’ 그 부단한 모순적 운동로서의 ‘낭만적 아이러니’라는 개념을 토대로 1920년대 문학에 접근할 때 시적 자아의 내면과 그것에 기초한 시(언어)의 세계를 독백이 아닌 ‘대화’의 관점에서 풀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한국 서정시의 ‘근대적 주체성’, ‘근대적 자아’를 규명하는 문제와 관련해 대화적 성격을 강조하는 선행연구들이 제출되었으며, 본고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참조하고 또 보충하는 지점에서 한국 근대시의 서정적 특수성을 ‘대화성’을 근거로 해명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대화적 자아(Dialogical self)’라는 개념을 소개하였다. 자아 ‘내부’의 ‘내부위치’와 ‘외부위치’가 부단히 교류하는 대화적 과정에서 자아가 기존과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내면적 혁신을 이룬다는 점을 강조하는 ‘대화적 자아 이론’은, 1920년대 시문학의 주체와 그들의 언어·의식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한국 근대 서정시의 대화적 성격은 고전시가의 전통적인 ‘대화 지향성’을 근대적인 ‘나-너’ 관계의 대화성으로 변용시키는 작업이라는 관점에서도 논해질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1910년대 말 근대적 자유시의 형식을 실험한 주요한, 김억, 황석우를 비롯, 20년대 대표시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이상화, 김소월, 한용운의 작품 속 대화적 자아의 양태와 대화적 발화의 특성을 면밀히 논구하는 가운데 명료하게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부분은 후속 논의를 통해 보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