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랍에미리트 파견 한국인 간호사의 초기 문화적응을 위한문화감지도구 개발

        이규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Sensitizer forthe Initial Acculturation of Korean NursesDispatched to the United Arab EmiratesGyureem Lee Abstract: Study objectives include developing intercultural sensitizer model for Korean nurses dispatched to the UA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sensitizer for early adap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elected the content elements of intercultural sensitizer based on several literature reviews on the cultural education field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can be used as a model for overcoming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in cross-cultural contact, as well as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AE. There are five elements in the content element, including traditional clothing, Ramadan fasting cultur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s, greetings, and body languag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developed intercultural sensitizer model by writing critical incidents, attributions, feedback and explanations. With individual will and an effective learning process, cross-cultural barriers can be quickly overcome. In this study, a intercultural sensitizer model is present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overcoming these cultural barriers.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assist in developing a model that will provide cultural sensitization to those who interact with Korean-UAE cultures and Korean-Arab cultures, where cultural differences exist. Key Words: Intercultural Sensitizer, Korean-UAE Cultural Contact, Culture Shock, Acculturation, Cross-cultural Training 아랍에미리트 파견 한국인 간호사의 초기 문화적응을 위한문화감지도구 개발이 규 림*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이문화 사회에의 초기 적응 훈련에서 문화감지도구의 활용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하나의 사례로서 아랍에미리트에 파견되는 한국인 간호사를 위한 문화감지도구 모형을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문화 사회 접촉에서 언어와 문화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사례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의 문화교육 영역과 한국-아랍에미리트 문화 차이를 논한 여러 문헌을 바탕으로 하여 문화감지도구의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연구 내용: 내용 요소는 전통의상 착용, 라마단 금식 문화, 주거공간의 특징, 인사법, 몸짓언어 등 다섯 가지로 이를 대상으로 중요사건, 귀인, 피드백과 설명을 작성함으로써 문화감지도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문화 간 접촉에서 겪게 되는 문화 장벽은 개인의 의지와 함께 효율적인 학습 과정을 거칠 때 빠르게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화감지도구 모형은 이러한 문화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서, 문화 간 차별성이 크게 존재하는 한국-아랍에미리트, 더 나아가 한국-아랍 문화 간 접촉을 경험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감지도구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핵심어: 문화감지도구, 한국-아랍에미리트 문화 접촉, 문화충격, 문화적응, 이문화 훈련 □ 접수일: 2022년 9월 25일, 수정일: 2022년 10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상명대학교 한국학과 박사과정 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Sangmyung Univ., Email: gyureem.lee@gmail.com)

      • KCI등재

        유아교사가 하루 중 가장 많이 하는 말 분석 연구: 만 5세반을 중심으로

        이규림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4

        This study was to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talks during a daily routine to figure out their linguistic habit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18 kindergarten teachers in D city. Their classroom speeches were observed all day l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 First, the categories of the teacher talk were divided into basic life habit, cognitive behavior, emotion and others. Especially, basic life habit and cognitive behavior were responsible for 87% of cases. Second, the types of teacher talk were divided into positivity, negativity and neutrality. 63% of teachers had positive talks with children. This study recognizes the actual conditions by analyzing the use of teacher talk in classrooms. The main problem was that teachers almost did not use various classroom speech to stimulate well-rounded development for children. So, there is a need of support for teachers to help them aware themselves as a effective speaker. Training program the helps teacher can have better communication should be practiced so that teachers can be prepared in interaction with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하루 중 가장 많이 하는 말을 조사함으로써 교사가 하는 말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시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18명이 하루일과 동안 하는 말을 관찰,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하루 중 가장 많이 하는 말의 범주는 기본생활습관, 인지행동, 정서, 기타로 볼 수 있었고 이 중, 기본생활습관과 인지행동이 전체의 8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많이 하는 말의 유형은 긍정적인 말, 부정적인 말, 중립적인 말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긍정적인 말이 63%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말이 기본생활습관과 인지행동 측면에 치우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언어 훈련 프로그램 등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방법과 전략을 모색함으로써 교사가 유아의 전인발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기표현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규림,이현경,김영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four year-old. The collected data through pre and post 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self-expression activities significantly outdid the control group taken part in gener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In conclusion, self-expression activities affected the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young children positively. Based on the results, it might that teachers and meaningful adults to young children provide multiple and abundant educational contents, strategies and resources to facilitate their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본 연구는 자기표현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 유아들의 원만한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활동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 만 4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아개념과 대인관계 성향을 측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은 8주에 걸쳐 일주일에 2회씩 총 16회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자기표현 활동에,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라 계획된 일반적인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표현 활동이 유아의 전체 자아개념뿐만 아니라 전체 대인관계 성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개념의 하위요소인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 ‘신체적 자아’와 대인관계 성향의 하위요소인 ‘역할성향’, ‘사회적 관계성향’, ‘표현성향’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육 및 보육 현장에서 유아가 자기 자신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교육내용, 방법 및 환경 마련이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일본 신(新)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과 시사점 고찰

        이규림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sand child care centers in Korea by examining the case of Nintei Kodomo-en, anewly integrated institution in Japan. In 2006, the first model of NinteiKodomo-en was installed but failed. From april, 2015, a new model wasinitiate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model, with the three lawsrelated to Child Care and Children. The study analyzed the process and drew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our situation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from preceding researches and Japanese government conference reports. Concretely speaking,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found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Nintei Kodomo-en including its issues and problems, and discussed 4 implications for our country. 본 연구는 그 동안 정부 주도의 유보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보다 먼저기관 통합을 시도하였던 일본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유보통합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2006년 일본은 유치원과 보육소 기능을 통합한 이른바, 인정어린이원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 초기 제도는 실패하였고2015년 4월 ‘아동‧가정양육 지원을 위한 신(新) 제도’ 실시와 함께 인정어린이원법을개정하여 기존 인정어린이원 유형 중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을 보완하여 운영하고있다. 이러한 과정을 관련 선행연구, 일본 정부의 심의회 및 검토회 보고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유치원과 보육소의 역사, 유보 일원화에 대한 시도 및 과정, 인정어린이원의 현황, 문제점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신(新)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 및 과제로는국가의 책무성 저하, 행정 복잡성 초래, 유형 간 상이한 설치기준, 기존 기관 대상 전환 유도책 미흡을 들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유아교육․보육통합 추진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통합 활동의 효과

        이규림(Lee Gyu-Rim),김영옥(Kim Yo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언어, 표현, 요리활동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여 유아들의 편견감소와 친사회적 행동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관점과 태도 및 기술을 습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통합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일반적인 활동에 참여했던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편견감소, 친사회적 행동 및 창의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통합 활동이 유아의 편견을 감소시키고 다른 사람과 협력하며 융통성 있고 탄력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내용과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유아에게 적절한 문화적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다문화적인 접근에 의하여 교육내용 및 방법, 자료 등을 선택ㆍ적용해가는 과정은 유아가 편견을 갖지 않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approaches on young children's bias reduction, pro-social behavior and creativity.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children acquire points of view, attitudes, and skills necessary for living in multicultural society. The subjects were 40 five year old young children in the S Kindergarten (experimental group) and Y Kindergarten (control group) located in J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integrated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approaches 3 times a week for 5 weeks, so a total of 15 times. The activities were comprised of 3 parts - language, expression and cooking. Their validity as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had been tested by 2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general activities scheduled in the kindergarten. In addition, 3 instruments were used: Bias Reduction Test, Prosocial Behavior Scale and Creativity Test.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the SPSS 16.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outdid the control group in bias reduction, pro-social behavior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to reduce their bias, to cooperate with others, and to think flexibly and elastically by multiculturally approaching activities including language, expression and cooking. For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might organize appropriate environment and make correct choices for content, methods and materials. Furthermore, they are required to develop teaching techniques to help children interact effectively with others and be free from prejudices.

      • KCI등재

        명화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규림(Gyu Rim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명화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4월 첫 주부터 6월 둘째 주까지 총 10주에 걸쳐 전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중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의 실험처 치를 실시하였다.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명화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표현활동을, 비교집단에는 명화를 감상하고 미적요소를 탐색하는 미술활동을 실 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서지능과 창의성 검사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를 분석하고자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명화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표 현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정서지능 및 창의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하위요인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의 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와 방법으로서의 명화 활용의 가능성과 창의적 발상표현활동의 의의에 대하 여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children``s emotional quotient and creativity are affected by creative idea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fine arts. The subjects are 40 five-year-olds, half of whom a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in B Kindergarten (comparative group) located in G city. From April 2nd to June 1st,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creative idea expression activities with fine arts 2 times a week for 8 weeks, for a total of 16 times. The comparative group carried out general art activities watching the same fine arts. In addition, two instruments were used: Emotional Quotient Scale and Creativity Test. Data from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SPSS 21.0.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creative idea expression activities with fine ar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omparative group in emotional quotient and creativity.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even in the sub-factors, except for teacher-young children relationship of emotional quoti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to promote their emotional ability and creativity by expressing creative idea with fine arts.

      • 한국 체류 무슬림 난민의 지역별 차이 연구 —인천광역시 및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이규림(Gyu Rim Lee) 중동아프리카연구소 2017 아랍과 이슬람 세계 Vol.4 No.-

        This study presents a survey resul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uslims refugees in two regions of Korea, Incheon and Gwangju provinces. From the sampling of 100 refugees in both provinces, the researcher took Snowball sampling method as well as a field survey. After asking about the general life conditions in Korea and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researcher specially evaluated the role of local church in regards to these Muslim refugees. The author presents the various needs and possible approaches for local churches to serve them and share the love of God with these Muslim refugees at the do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