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객체지향개발에서의 속성 클러스터링과 클래스 계층구조생성

        이건호,Lee Gun 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7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단계에서 클래스의 결정은 많은 객체와 관련된 속성들의 클러스터링을 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클래스의 재사용을 위해 라이브러리에 클래스의 등록은 반복적인 시행착오에 의존하여왔다. 클래스를 등록하는 전통적인 방법과 모델링 혹은 설계단계에서 클래스와 그 계층구조의 정의를 위한 통합적인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속성 클러스터링 문제를 위해 객체들의 속성 유사도에 근거하여 0-1 정수프로그램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 또한 네트워크 기법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클래스 계층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을 제시하였으며 계층구조그래프 생성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현장의 문제를 사례로 제시한다. The clustering characteristics for a number of classes, and defining the inheritance relations between the classes is a difficult and complex problem in an early stage of object 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We discuss a traditional iterative approach for the reuse of the existing classes in a library and an integrated approach to creating a number of new classes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paper formulates a character-istic clustering problem for zero-one integer programming and presents a network solution method with illustrative examples and the basic rules to define the inheritance relations between the classes. The network solution method for a characteristic clustering problem is based on a distance parameter between every pair of objects with characteristics. We apply the approach to a real problem taken from industry.

      • 유방암 Tumor bed 치료 시 혼합 전자선 치료 방법에 대한 고찰

        이건호,강효석,최병준,박상준,정다이,이두상,안민우,전명수,Lee, Geon Ho,Kang, Hyo Seok,Choi, Byoung Joon,Park, Sang Jun,Jung, Da Ee,Lee, Du Sang,Ahn, Min Woo,Jeon, Myeong So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9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1 No.1

        목 적: 수술 후 유방암 환자의 1차 방사선치료 후 2차 방사선치료 시 단일전자선을 사용하는 것과 서로 다른 에너지의 전자선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부터 10월까지 본원 유방암 방사선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혼합 전자선을 사용하여 2차 치료를 진행한 환자 59명 중 에너지 6 MeV, 9 MeV를 혼합 사용한 환자 40명(A그룹)과 9 MeV, 12 MeV를 혼합 사용한 환자 19명(B그룹)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각 그룹의 환자마다 6 MeV, 9 MeV, Combine(6 MeV / 9 MeV)와 9 MeV, 12 MeV, Combine(9 MeV / 12 MeV) 각기 다른 방법으로 세 가지 치료계획을 세우고, 원발병소에 전달되는 최대선량, D95, D5과 폐의 전달되는 최대선량, 평균선량, $V_3$, $V_5$, $V_{10}$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A그룹 치료계획의 D95 평균값은 6 MeV에서 $785.33{\pm}225.37cGy$, 9 MeV에서 $1121.79{\pm}87.02cGy$, SUM(6 MeV / 9 MeV)에서 $1010.98{\pm}111.17cGy$였으며, 6 MeV / 9 MeV에서의 평균값이 처방 선량에 가장 적합했다. 치료하는 유방 방향의 폐의 저선량 영역 $V_3$,$V_5$의 평균값은 6 MeV / 9 MeV에서 $3.24{\pm}3.49%$, $0.72{\pm}1.55%$였고, 9 MeV에서 $7.25{\pm}4.59%$, $3.07{\pm}2.64%$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6 MeV에서 $0.21{\pm}0.45%$, $0.03{\pm}0.07%$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폐의 최대선량과 평균선량은 6 MeV / 9 MeV에서 $727.78{\pm}137.27cGy$, $49.16{\pm}24.44cGy$였으며, 9 MeV에서 $998.97{\pm}114.35cGy$, $85.33{\pm}41.18cGy$로 가장 높았고, 6 MeV에서 $387.78{\pm}208.88cGy$, $9.27{\pm}6.60cGy$로 가장 낮았다. $V_{10}$의 값은 모두 0에 가까웠다. B그룹도 A그룹의 패턴으로 나타났다. 결 론: 폐의 $V_3$, $V_5$의 저선량 영역에서 상대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혼합 에너지 적용 시 원발병소의 선량 전달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유방암 추가 방사선 치료 시 전자선 에너지를 combine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에너지 재원으로부터 제한되는 에너지의 효과를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사료되며 비록 작은 선량차이이기 때문에 간과하고 넘어갈 수 있는 부분들도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면 조금 더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방사선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usefulness of using single-electron radiation for secondary radiotherapy of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is assessed and the use of a combine of different energy. Methods and materials : In this study, 40 patients (group A) using energy 6 MeV and 9 MeV, and 19 patients (group B) using a combine of 9 MeV and 12 MeV were studied among 59 patients who performed secondary care using combine electronic radiation. Each patient in each group, 6 MeV, 9 MeV, Combine(6 MeV / 9 MeV) and 9 MeV, 12 MeV, Combine (9 MeV / 12 MeV) were developed in different ways, and the maximum doses delivered to the original hospital, D95, D5, and $V_3$, $V_5$, $V_{10}$ were compared. Result: The D95 mean value of Group A treatment plan was $785.33{\pm}225.37cGy$, $1121.79{\pm}87.02cGy$ at 9 MeV, and $1010.98{\pm}111.17cGy$ at 6 MeV / 9 MeV, and the mean value at 6 MeV / 9 MeV was most appropriate for the dose. The mean values of the low dose area $V_3$ and $V_5$ in the lung of the breast direction being treated were $3.24{\pm}3.49%$ and $0.72{\pm}1.55%$ at 6 MeV, the highest 9 MeV at $7.25{\pm}4.59%$, $3.07{\pm}2.64%$, the lowest at 6 MeV. Maximum and average lung dose was $727.78{\pm}137.27cGy$ at 6 MeV / 9 MeV, $49.16{\pm}24.44cGy$, highest 9 MeV at $998.97{\pm}114.35cGy$, $85.33{\pm}41.18cGy$, and lowest 6 MeV at $387.78{\pm}208.88cGy$, $9.27{\pm}6.60cGy$. The value of $V_{10}$ was all close to zero. Group B appeared in the pattern of Group A. Conclusion: Relative differences in low-dose areas of the lungs $V_3$ and $V_5$ were seen and were most effective in the dose transfer of tumor bed in the application of combined energy. It is thought that the method of using electronic energy in further radiation treatments for breast cancer is a more effective way to use the energy effect of limiting energy resources, and that if you think about it again, it could be a little more beneficial radiation treatment for patients.

      • KCI등재

        불화나트륨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이 Silver Diamine Fluoride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건호,안준용,김종수,한미란,이준행,신지선,Lee, Kunho,Ahn, Junyong,Kim, Jong Soo,Han, Miran,Lee, Joonhaeng,Shin Jis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silver diamine fluoride(SDF)를 도포할 때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potassium iodide, KI)이 SDF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치의 법랑질 인공 우식 병소에서 미세경도의 변화를 통해 측정하고, 도포 전과 후의 표면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통해 관찰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발치된 유구치의 인접면에 법랑질 인공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한 후, 4개의 군으로 나누어 I군에는 SDF, II군에는 SDF와 NaF 바니쉬, III군에는 SDF와 KI, 그리고 IV군에는 증류수를 처리하였다. 8일 간 pH cycling을 시행한 후 비커스 미세경도를 다시 한번 측정하여 미세경도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치아 연마 후, 인공 우식 유발 후, 그리고 pH cycling 이후 각 군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시편을 이용하여 SEM를 촬영하여 표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미세경도는 III군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I군과 II군 모두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두 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V군에서도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변화 정도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SEM 관찰 결과 I, II, III군이 우식 유발 직후나 IV군과 비교하여 표면이 더 균일해지고 불규칙성이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며, III군에서 무정형의 피막 형태의 침착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SDF만을 도포한 군과 SDF와 NaF,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모두 표면 형태가 균일해지고 미세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도 재광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연구의 제한된 조건 하에서 NaF 바니쉬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SDF의 재광화 효과를 증가시키지 못했으며,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SDF의 재광화가 효과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추후 실제 구강 내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sodium fluoride(NaF) varnish and potassium iodide(KI) on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silver diamine fluoride(SDF) by measuring microhardness and evaluating surface morphology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rtificial caries lesions were induced on extracted primary molars and vickers microhardness was measured. Specimen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4 groups for treatment. The specimens in group I were treated with SDF, group II with NaF varnish after SDF, group III with KI after SDF and group IV with distilled water. After 8 days of pH cycling, vickers microhardness was measured and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calculated. For SEM, 2 samples were evaluated respectively after enamel polishing, lesion formation and after pH cycling. Group III showed highest increase in microhardness. Group I showed higher increase in microhardness than Group II but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Group IV showed lowest increase in microhardness value among 4 groups. On SEM image, group I, II and III showed smoother and less irregular surface compared to group IV. Amorphous crystal pellicles were observed in group III. In conclusion, SDF, SDF and NaF, SDF and KI groups showed smoother surface and increase in microhardness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remineralization effect might take place in oral conditions. In addition, in limited conditions of this study, applying NaF varnish after SDF did not increase the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SDF while KI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SDF. However, additional study considering various conditions that might affect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in clinical situations need to be conducted.

      • SCOPUSKCI등재

        폐 패각과 정유 폐촉매를 사용한 Tricalcium Aluminate 클링커의 합성에 관한 연구

        이건호,송태웅,Lee, Keon-Ho,Song, Tae-Woong 한국세라믹학회 2004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1 No.12

        [ $3CaO{\cdot}Al_{2}O_3$ ] 클링커 제조 원료로서의 굴 패각과 정유 폐 촉매의 사용 가능성과 이들 조합물의 클링커 소성성 및 광물 생성거동을 광물상과 미구조 관찰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굴 패각에 함유된 불순물은 클링커의 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이들 조합물은 비교적 저온에서 $12CaO{\cdot}7Al_{2}O_3$를 생성한 후 다시 CaO와의 반응으로 $3CaO{\cdot}Al_{2}O_3$를 생성하므로 $1400^{\circ}C$에서의 1회 소성으로 클링커 합성이 가능하였다.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분해용융이 진행되었으며 동일한 소성 조건에서 알루미나원으로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에는 $3CaO{\cdot}Al_{2}O_3$의 생성이 완료되기 전에 용융되어 클링커의 합성이 불가능하였다. The clinkerbility and the behaviour of formation of $3CaO{\cdot}Al_{2}O_3$ were studied using the mixture of waste oyster shell and spent oil-refining catalyst mainly by the mineral and microstructural observation. By virtue of the formation of $12CaO{\cdot}7Al_{2}O_3$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its successive reaction with CaO, the $3CaO{\cdot}Al_{2}O_3$ clinkers were formed easily without affection of minor constituents contained in oyster shell. Thus clinkers were formed at $1400^{\circ}C$ directly but began to melt incongruently at higher temperature above that. Aluminium hydroxide, however, was not desirable as an aluminous raw materials of the clinker because rapid melting occurs before $3CaO{\cdot}Al_{2}O_3$ forms main clinker mineral.

      • KCI등재
      • 블록정렬압축을 이용한 접미사배열의 효율적인 저장

        이건호,박근수,Lee, Geon-Ho,Park, Geun-Su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8 No.7

        블록정렬압축은 빠른 속도로 동작하면서 높은 압축률을 나타내는 압축 방법이다. 또한 블록정렬방식으로 압축된 텍스트는 원래 텍스트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접미사배열을 0(n) 시간만에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접미사배열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수행하려면 lcp(longest common prefix)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와 접미사배열이 주어졌을 때 lcp정보를 0(n) 시간만에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폐암 방사선 치료 시 Hybrid-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의 유용성 평가

        이건호,강효석,최병준,박상준,정다이,이두상,안민우,전명수,Lee, Geon Ho,Kang, Hyo Seok,Choi, Byoung Joon,Park, Sang Jun,Jung, Da Ee,Lee, Du Sang,Ahn, Min Woo,Jeon, Myeong So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2

        Objectives: In the Lung, the VMAT rotates continuously and examines radiation. That increases the low doses to normal lung. Due to that, the incidence of radiation pneumonia among radiation side effects may increase. The cause of radiation pneumonia is the lower dose area of the lungs. The H-VMAT was applied to patients who applied to reduce radiation in the lower doses of the lungs. We wante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H-VMAT by comparing the radiation doses to the low dose areas of the lungs and the normal organ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6 patients who applied for a H-VMAT procedure were applied to the patient. The prescription dose applied to total dose 44 Gy from 22 divisions. For each patient, a plan was implemented with Conventional RT, VMAT and H-VMAT. Conventional RT was carried out in four to five fields each, considering the size, location, shape, and location of the PTV. In the case of a VMAT plan, the two Half ARC, three Half ARC method and the two Full ARC were planned. The H-VMAT was planned by adding two Static fields in the VMAT, taking into account the dose of the lung and the tolerance dose of the organs. Results: In the NSCLC, the lung doses $V_5$ and $V_{10}$ of the lungs except for the treatment plan volume were the lowest with $55.40{\pm}13.39%$ and $32.05{\pm}11.37%$ of H-VMAT. And, in the SCLC, the lung doses of V5 and V10 were the lowest at $64.32{\pm}16.15%$ and $35.50{\pm}9.91%$, respectively. The spinal dose of VMAT in NSCLC was $21.15{\pm}4.02Gy$, which was 7.94 Gy lower than other treatment methods. The lowest spinal dose was delivered at $19.72{\pm}1.82Gy$ for SCLC. The mean dose delivered to the esophagus was also $17.44{\pm}2.04Gy$ and $17.84{\pm}9.20Gy$ in SCLC and NSCLC, respectively. Conclusion: When comparing the value of the surrounding normal organ dose, the VMAT showed that less doses were transmitted from the heart, esophagus and spinal cord than the rest of the treatment plan. However, it was similar to VMAT in normal organs except for the spinal cord. VMAT has increased doses of some normal organs but did not exceed the tolerance dose. It showed a low value in $V_5$, $V_{10}$. When comparing Conventional RT, VMAT, and H-VMAT, If the dose to the heart, esophagus and spinal cord is lower than the tolerance dose, it is thought to reduce the incidence of radiation pneumonia by applying H-VMAT that show the benefits of low doses of the lungs. 목 적: 폐에서 VMAT치료는 연속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방사선을 조사하므로 정상적인 폐에 저 선량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방사선 부작용 중 방사선 폐렴의 발생률이 증가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폐렴의 발생 확률 증가 원인이 되는 폐의 저 선량 영역의 방사선을 줄일 수 있는 H-VMAT 방법을 적용하여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계획별 폐의 저 선량 영역과 주변 정상장기들에 전달되는 방사선량을 비교 분석하여 H-VMA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폐암방사선 치료 환자 중 H-VMAT 방법을 적용한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료 계획용 용적의 처방선량은 총 선량 44 Gy를 22회 분할 조사로 적용하였다. 각 환자마다 Conventional RT, VMAT, H-VMAT 방법으로 계획을 진행하였다. Conventional RT는 치료계획용적의 크기, 위치, 모양 및 주변장기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4~5개 조사야로 치료계획을 진행하였고, VMAT 치료계획의 경우는 $360^{\circ}$를 2번 회전하는 방법과 $180^{\circ}$를 2~3회 회전하는 방법으로 계획하였다. H-VMAT은 폐의 선량 및 주변 장기의 허용선량을 고려하여 VMAT 치료계획에서 2개의 고정조사야를 추가 하여 계획하였다. 결 과: 폐선량은 비소세포성폐암에서 치료계획용적을 제외한 폐의 $V_5$, $V_{10}$은 H-VMAT이 $55.40{\pm}13.39%$, $32.05{\pm}11.37%$로 가장 낮았고, 소세포성폐암에서도 $V_5$, $V_{10}$의 값은 $64.32{\pm}16.15%$, $35.50{\pm}9.91%$로 가장 낮았다. 비소세포성폐암에서 VMAT의 척수 선량은 $21.15{\pm}4.02Gy$로 다른 치료방법과 비교하여 최대 7.94 Gy 차이만큼 낮은 선량이 전달되었고, 소세포성폐암에서는 $19.72{\pm}1.82Gy$로 가장 낮은 선량을 보였다. 심장의 $V_{20}$은 H-VMAT와 VMAT의 비교 결과 VMAT이 최대 16.2 % 더 낮은 값을 보이기도 하였다. 식도에 전달되는 평균선량 역시 소세포성폐암과 비소세포성폐암에서 $17.44{\pm}2.04Gy$, $17.84{\pm}9.20Gy$로 VMAT이 가장 낮았다. 결 론: 주변 정상 장기 선량의 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VMAT에서는 심장, 식도, 척수 등에서 나머지 치료계획보다 더 적은 선량이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척수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에서는 H-VMAT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VMAT은 일부 정상 장기의 선량이 증가하였지만 허용선량을 초과하지 않았다. 그리고 폐의 $V_5$, $V_{10}$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Conventional RT, VMAT, H-VMAT을 비교하였을 때 심장, 식도, 척수 등에 전달되는 선량이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선량보다 적다면 폐의 저 선량 영역의 장점을 보이는 H-VMAT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방사선폐렴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폐패각-정유폐촉매-배연탈황석고를 사용한 Calcium Sulfoaluminate 클링커의 합성과 특성

        이건호,송태웅,Lee, Keon-Ho,Song, Tae-Woong 한국세라믹학회 2005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2 No.7

        For the raw materials of 3CaO$\cdot$3Al$_{2}$O$_{3}$ $\cdot$CaSO$_{4}$(CSA) clinker manufacturing, the applications of industrial wastes such as waste shell, spent oil-refining catalyst and desulfurized gypsum were examined. The c1inkerbility of the raw mix and the behaviour of formation of clinker minerals were studied and then some hydraulic properties of cements containing the clinker were also investigated. By virtue of the high reactivity of thermally decomposed raw materials, CSA clinkers were obtained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1250$^{\circ}C$ and thus oil-refining catalysts were more desirable than aluminium hydroxide as an aluminous raw material. The expansive cement samples showed somewhat lower flow value than that of OPC, but their compressive strengths were developed earlier and higher than that of OPC due to formation of ettringite in the early hydration time, which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low-cost CSA clinker using industrial wastes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