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정서를 반영한 트위터 마케팅 성과 분석 시스템 설계

        윤진영(Jinyoung Yoon),황병연(Byung-Yeo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0 No.6

        소비자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게 되면서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를 마케팅 도구로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인 트위터는 간결하고 짧은 텍스트와 리트윗 기능을 통해 막강한 전파력을 자랑하는 마케팅 도구이다. 하지만 트위터는 다른 소셜미디어 플랫폼과 같이 제공되는 분석 툴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며 성과를 측정하는 연구와 방법이 미약하다. 기존 분석 도구들 또한 전파된 양과 범위만 계산할 뿐 사용자의 정서 인식을 통한 실질적인 성과 측정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 상에 존재하는 세일즈 프로모션 마케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에 적합한 감정 단어 평가 사전을 구축하고 감정을 나타내는 자질을 추출하여 트윗에 담긴 정서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트윗들의 소셜 관계 추론을 통해 주제에 대한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고 트위터 상의 고객들의 반응을 고려하여 이를 수치화한 성과지표 TNPS를 제안한다. Customers share their opinions and experiences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and enterprises use the social media as a marketing tool to strengthen their identities and to interact with the customers. Twitter is a micro-blogging service with short texts, and the retweet function makes Twitter become a strong tool for marketing; however, Twitter does not offer its own analysis tools, and measuring the marketing productivity on social network services is a challenge. Some existing tools measure the quantity of retweeted tweets, but they do not provide any practical productivity measuring methods using users’ sentiment recognition. In this paper, we built a dictionary to evaluate sentiment words and designed a system that recognizes the sentiment in tweets for measuring the marketing productivity on Twitter. In addition, the system combines into a single network about the target of analysis through inferred social relationships. We propose TNPS (Twitter Net Promoter Score) that considers the reaction of customers on Twitter to digitalize the result.

      • 트위터 분석을 위한 분산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윤진영 ( Jinyoung Yoon ),김석중 ( Sukjoong Kim ),이범석 ( Bumsuk Lee ),황병연 ( Byung-yeon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트위터는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며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사용자 수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트윗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또한 트위터는 인증과정을 통하여 API 요청을 제한해 데이터의 수집이 어렵기 때문에 트위터 기반 연구를 위해서는 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분산처리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계정과 트윗의 수집에 용이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기능까지 추가한 분산처리 시스템인 DiSAnT을 소개한다.

      • 고유동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를 위한 포인트 클라우드 활용 기술 개발

        윤진영 ( Jinyoung Yoo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고유동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유동성이 뛰어나 다짐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높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성능 감수제 사용이 필수적인데, 이때 다량의 고성능 감수제가 첨가될 경우 골재 재료분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유동 콘크리트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신속·정확하게 재료분리 평가가 가능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며, 본 연구에서는 슬럼프 플로우 실험결과에 대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기법을 적용하였다.

      • KCI등재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 실현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ZWPM 유형 특성을 중심으로-

        윤진영 ( Jinyoung Yoon ),임은혁 ( Eunhyuk Yim ) 복식문화학회 2015 服飾文化硏究 Vol.23 No.6

        Zero-waste is sustainable development for ensuring continuous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s well as for the next generations, while expanding across industries. Zero-waste fashion design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we should stop making clothes in order to reduce waste, but we consider the social values of sustainability regarding the environment, humans, and profit. In particular, in the pre-use stage of zero-waste fashion design, fashion designers play critical r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the realization of zero-waste fashion design through establishing the typology of zero-waste pattern making (ZWPM) as well as explor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zero-waste fashion design. For the realization of zero-waste fashion design that draws from pattern-making principals, this study categorizes zero-waste fashion design into zero-waste pattern cutting (ZWPC) and non-pattern cutting (NPC). ZWPC is based on drafting patterns on a piece of fabric, which can enable the sharing of patterns and processes, while NPC requires little- or non- cutting/sewing in optimizing a piece of fabric, bringing the possibility of creating indefinite forms. ZWPC is sub-categorized into tailored and non-tailored, and NCP into draped and folded. Then, by implementing the typology in undergraduate design programs, this study tests and completes the design methodology for the realization of zero-waste fashion design.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Parkinson’s Disease: Focused on Pen Pressure, Letter Size, and Writing Speed

        이한솔(Han Sol Lee),윤진영(Jinyoung Youn),조진환(Jin Whan Cho),안종현(Jong Hyeon Ahn),윤지혜(Ji Hye Yoon),나덕렬(Duk L. N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1

        배경 및 목적: 파킨슨병(PD)의 운동 장애는 쓰기 수행에서 글자 크기뿐만 아니라 필압과 속도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PD의 쓰기 특성을 필압, 크기, 속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PD 38명과 정상 성인(NA) 25명, 총 63명을 대상으로, 태블릿 PC와 디지털펜을 가지고 필압, 획의 길이, 쓰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점선 따라 그리기와 문장 쓰기 과제를 실시하고, 필압, 글자 크기, 쓰기 속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점선 따라 그리기 과제에서 필압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고, 쓰기 속도는 PD 집단이 NA 집단 보다 느렸다. 문장 쓰기 과제에서 PD 집단이 NA 집단 보다 필압이 저하되고, 글자 크기가 작으며, 쓰기 속도가 느렸다.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글자 크기와 쓰기 속도 간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PD 집단은 필압과 쓰기 속도 간의 정적 상관도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PD로 인하여 강도, 크기, 속도 등의 운동 능력을 조절하는 것의 어려움이 쓰기 수행 시 필압, 글자 크기, 쓰기 속도로 반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그간 글자 크기에만 초점이 맞추어졌던 PD의 쓰기 특성에서 필압이나 쓰기 속도와 같이 다양한 요소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Movement disorders in Parkinson’s disease (PD) can affect not only letter size but also pen pressure and writing sp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with focus on pressure, size, and speed in PD. Methods: Sixty-three subjects (38 in a PD group and 25 in a normal adult [NA] group) performed tasks involving drawing along dotted lines and sentence writing using a tablet PC, digital pen, and software that could measure pen pressure, stroke length, and duration. Results: In the task involving drawing along a dotted line, the PD group showed significantly slower writing speed compared with the findings in the NA group. Additionally, in the task involving sentence writing, the PD group showed significantly weaker pen pressure, smaller letter size, and slower writing speed compared with the NA group. Moreover, both group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tter size and writing speed, but only the PD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n pressure and writing speed. Conclusion: Difficulty in motor control of strength, size, speed, etc. owing to PD is reflected in pen pressure, letter size, and writing speed when performing a writing task. Our results show an importance in measuring multiple factors such as pen pressure and writing speed i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PD, which has until now, has been focused only on letter size.

      • KCI등재

        예비전력 적정예산 확보를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 : 예비전력 정예화를 위한 신규예산 소요를 중심으로

        박상중(Park Sangjung),윤진영(Yoon Jinyoung)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1 전략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국방개혁 2.0 추진에 따른 육군 위주 대규모 병력감축과 출산율 저하에 따른 가용 병력자원의 부족을 극복하고 예비전력의 정예화에 필요한 소요예산 확보를 위한 전략적 추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방개혁2.0의 추진과 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이 국방분야에 도입되면서 국방예산의 대부분이 상비전력의 과학기술군으로의 도약을 위해 운영되고 있어서 예비전력의 정예화에 어려움이 크다. 예비전력은 상비전력과 함께 총체전력의 핵심전력임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국방예산의 0.45%가 배정되어 예비전력의 예산 배정은 인건비 위주로 사용됨으로써 예비전력의 혁신적인 정예화와 발전에 제한이 많았다. 예비전력의 정예화를 위해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동원자원 관리체계의 개발, 메타버스 중심의 과학화 예비군 훈련 강화, 지역예비군 장비와 물자의 현대화, 국가재난에 대비한 예비전력 즉응능력 개선 등의 신규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2021년 들어 국방예산의 1%가 예비전력에 최초로 반영은 되었으나, 예비전력 정예화에 필요한 신규소요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방예산의 2%가 예비전력 예산으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예비전력의 정예화를 위해 필요한 예비전력 예산은 신규사업에 대한 소요예산을 포함하여 국방예산의 2% 수준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예비전력 예산확보에 필요한 논리를 개발하여 군 내부뿐만 아니라 대국민 홍보를 전략적이고 적극적으로 전개하여야 한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a strategic measure to obtain an appropriate budget to become a best reserve forces e elite power reserve to overcome the shortage of available troop resources due to the large-scale army-oriented force red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Defense Reform 2.0 and the decline in the fertility rate. With the Implementation of Defense Reform 2.0 and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o the defense field, most of the defense budget is used to advance the standing army into the science and technology forc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a budget to become the best reserve force. The reserve forces, along with the standing forces, are the main actors of the total power. However, until recently, 0.45 % of the defense budget was allocated to the reserve forces" budget, and the reserve force mainly spent the budget for personnel expenses, so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the innovative improvement of the reserve forces. To become the best reserve forces, new projects should be developd such as development of network-based mobilization resource management system, promotion of the metaverse-centered science-based reserve force training, modernization of regional reserve forces equipment and supplies, improvement of reserve forces" response capability in preparation for national disaster. In 2021, 1% of the national defense budget was reflected in the reserve forces for the first time. Moreover, 2% of the defense budget should be spent on the reserve forces in order to stably obtaion the new requirements for becoming the best reserve force. In conclusion, to implement the best reserve forces, it should be obtained at the level of 2% of the national defense budget Including the budget for new project.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 appropriate strategic logic to obtain a budget for reserve forces and actively promote it to the public as well as within the milit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