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창선감의록』의 형제 다툼의 양상과 의미

        윤정안 ( Yoon Jeong-ah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7

        이 글은 『창선감의록』을 남성성의 관점에서 해석해 본 것이다. 조선은 유교사회로 진입하면서 가부장을 중심으로 가문을 운영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맏아들을 적장자로 삼는 제도가 자리한다. 『창선감의록』의 화춘과 화진은 이로 인해 갈등을 빚게 되는데, 화춘은 생물학적인 우위를, 화진은 품성과 능력에서 우위를 보인다. 두 조건이 충족되어야 적장자로서 적합하고 가부장이 될 수 있는데, 화춘과 화진은 한 가지씩 결핍되어 있었다. 가부장인 화욱은 상춘정에서 화춘을 질책하며, 화진보다 능력과 품성이 못하다는 것을 공식화한다. 이로 인해 화춘은 적장자의 자리를 빼앗길지 모른다는 강박에 시달리게 된다. 이 강박은 화진과 그의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으로 표출된다. 그러나 화춘은 범한, 장평, 조씨에 의해 조종되는 것으로 형상화되면서 악인보다는 어리석은 인물로 묘사된다. 따라서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뉘우친다면 다시 적장자로서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한편 화진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효를 구현한다. 이로 인해 자신의 목숨도 지킬 수 없고, 아내인 남채봉과 윤옥화에게는 무책임하다. 그러나 화진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은 오로지 효를 중시함으로써 화진의 이러한 문제를 가려 버린다. 화춘과 화진은 모두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구현하는 것 같은 화욱조차도 마찬가지이다. 화춘은 뛰어난 능력과 품성을 갖춰야 한다고 강요받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화욱의 폭력을 경험하고 화진을 강박적으로 괴롭힌다. 화진은 뛰어난 능력과 품성을 갖춘 것으로 등장하지만, 실은 자신조차 돌볼 수 없을 정도로 무기력하며, 효에 경도되어 자신의 아내를 위험으로 내몬다. 두 형제는 물론 가부장인 화욱, 윤옥화, 남채봉, 심씨 역시 모두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창선감의록』의 여성 인물은 물론 남성들 역시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공모적이자 종속적이며 가부장제에 의해 억압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창선감의록』은 가부장제가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해 두 형제를 희생시키는 서사로 규정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erprets Changseongameuirok(彰善感義錄) in perspective of masculinity. As Joseon(朝鮮) entered the Confucian society, it operated a family led by the patriarch. At the heart of it is a system in which the eldest son inherits legitimate and eldest son. This led to a conflicts between Hwachoon(花瑃) and Hwajin(花珍) in Changseongameuirok. Hwachoon has a biological advantage, and Hwajin has an advantage in personality and ability. They have to have both conditions to be patriarchal. By the way, Hwachoon and Hwajin each had one deficiency. Hwawook(花郁), the patriarch, rebukes Hwachoon at Sangchunjeong(賞春亭). And he formalizes that Hwachoon is worse at ability and personality than Hwajin. Because of this, Hwachoon suffers from an obsession that he may lose position of legitimate and eldest son. This obsession is expressed as bullying Hwajin and the people around him. However, Hwachoon is portrayed as a fool rather than a villain, being shaped as being manipulated by Beomhan(范漢), Jangpyeon(張平), and Ms Cho(趙氏). Therefore, if Hwachun realizes his mistake and repents, he can return to his position as legitimate and eldest son. Hwajin, meanwhile, embodies nearly impossible filial piety. As a result, he cannot protect his life and is irresponsible to his wife Nam Chae-bong(南彩鳳) and Yoon Ok-hwa(尹玉花). As a result, he cannot protect his life and is irresponsible to his wife Nam Chae-bong and Yoon Ok-hwa. However, Hwajin and other people around him only value filial piety, thus masking this problem. Neither Hwachun nor Hwajin are free from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Even Hwawook, who seems to embody hegemony masculinity, is like them. Hwachoon is forced to possess outstanding abilities and personality, he experiences Hwawook's violence and obsessively torments Hwajin. Hwajin appears to have excellent abilities and personality, but in fact, he is so lethargic that he can't even take care of himself, and is hard-nosed by filial piety that he puts his wife at risk. Not only the two brothers, but also the patriarchs Hwa-wook, Yoon Ok-hwa, Nam Chae-bong, and Ms Shim, are not free from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Both the female and male characters in Changseongameuirok are complicit and subordinate to hegemony masculinity. And they are suppressed by patriarchy. In this regard, Changseongameuirok can be defined as a narrative in which patriarchy sacrifices two brothers to maintain itself.

      • KCI등재

        계모를 위한 변명 -「장화홍련전」 속 계모의 분노와 좌절

        윤정안 ( Jeong Ahn Yo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계모와 전처 자식들의 갈등을 그리고 있는 『장화홍련전』은 계모에 대한 선입견이 그 저변에 깔려 있다. 계모는 희생양으로 가정 내 갈등의 유일한 원인으로 지목되며, 이는 주로 가부장제와 관련하여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장화홍련전』에서 가부장제의 강화로 읽을 수 있는 대목은 반대로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으로도 읽을 수 있어서 작품 해석의 새로운 시각이 요구된다. 이때 유효한 분석의 틀은 ``분노``이다. 계모는 배좌수와 장화·홍련의 부당한 대우에 분노하였으며, 배좌수가 자신을 처치하겠다는 말을 엿듣고 장화와 홍련을 살해한다. 즉, 가정의 불화에는 계모 한 사람만이 문제였던 것이 아니라 배좌수와 장화·홍련 역시 문제의 원인을 제공했다. 그러나 장화와 홍련은 원귀가 되어 부사 앞에 나타나 자신들의 억울함을 호소한다. 그러자 부사는 장화와 홍련의 주장을 받아들여 계모를 능지처참에 처한다. 이는 계모가 된 자들에 대한 경고인 셈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계모가 영입된 가정의 비극은 계모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가족 구성원에 책임이 있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장화홍련전』은 계모가 영입된 가정의 모든 구성이 화합을 위해 노력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비극을 그린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JanghwaHongryenJeon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stepmother and ex-wife`s children. It underlies preconception about the stepmother on the base. Stepmother is thought to be the only cause of conflict in the family as a scapegoat. This discussion has been primarily discussed with paterfamilias system. But the scene that can be read by strengthening paterfamilias system in JanghwaHongryenJeon can be read also contrary to the weakening of the paterfamilias system, so it is to be interpreted in a new view. The framework for effective analysis is the ``fury``. Stepmother was furious about the inadequate treatment of Baejwasu and JanghwaoHongryen. Stepmother overheard the story is that Baejwasu killed he, then stepmother killed Janghwa and Hongryen. In other words, stepmother is not the only problem in the conflict between the family members. However, Janghwa and Hongryen who became a ghost appeared before Busa and appealed to him chagrin and then Busa punishes the stepmother. This is a warning for those who have a stepmother. Behind the scenes, however, the tragedy of the stepmother families indicates that the responsibility for all family members. Therefore, JanghwaHongryenJeon shows that if the whole family does not strive for unity, a tragedy occurs.

      • 소설의 딜레마 문제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방안 연구 -김동식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정안 ( Yoon Jeong-ahn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1 No.-

        이 글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전단계로서 논증적 글쓰기를 연습하기 위해 김동식 작가의 「할머니를 어디로 보내야 하는가」와 「노인의 손바닥 안에서」 두 작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할머니를 어디로 보내야 하는가」에서는 마땅히 천국에 가야 할 할머니가 자살을 하여 지옥으로 간 딸을 돌보고 싶다며 자신을 지옥으로 보내달라고 해서 문제가 되었다. 할머니를 어디로 보내든 나름의 타당성을 갖기 때문이다. 「노인의 손바닥 안에서」에서 다루는 문제는 돈보다 젊음이 더 가치 있는 것인가, 아니면 젊음보다는 돈이 더 우위의 가치인가를 묻고 있다. 두 작품 모두 흥미로우면서도 10분 정도면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분량은 적지만 다루고 있는 문제는 대학생이라면 한번쯤 고민해 볼 만한 문제라서 글쓰기의 주제로 삼기에 적당하다. 이러한 딜레마의 문제를 고민하면서 학생들은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딜레마의 문제를 표현하기 위해서 다섯 단락으로 구성된 논리적 글쓰기를 활용할 수 있다. 논리적 글쓰기는 학생들이 학술적 글쓰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학술적 글쓰기의 속성은 유지하면서도 좀 더 간단한 형식을 제시하기 위해 다섯 단락, 즉 ‘서론-본론1-본론2-예상되는 반론에 대한 대응-결론’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각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형식을 지정함으로써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쉽게 글쓰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The article studied the use of 「Where should I send Grandmother?」 and 「In the old man’s palm」 by Kim Dong-sik to practice argumentative writing as a previous step in academic writing. In 「Where should I send Grandmother?」, It became a problem when a grandmother, who must go to heaven, asked her to send her to Hell because she wanted to take care of her daughter who committed suicide. This is because it is fair to send grandmother anywhere. 「In the old man’s palm」 asks whether youth is more valuable or money is more valuable than youth. Both works are interesting and are small enough to read in about 10 minutes. However, the problem it is dealing with is one that a university student might consider. So, it is appropriate to make it a topic of writing. While agonizing over the problems of this dilemma, students can improve their thinking. To express the problem of this dilemma, argumentative writing consisting of five paragraphs can be used.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practice academic writing, theoretical writing consists of five paragraphs, or “introduction-body1-body2-response to expected objections-conclusion,” to present a simpler format while retaining the attributes of academic writing. By specifying specific formats for each part, it encourages students who find it difficult to write to have easy access to writing.

      • KCI등재

        <강릉매화타령>의 귀신 장난의 양상과 의미

        윤정안 ( Yoon Jeong Ahn ) 판소리학회 2021 판소리연구 Vol.51 No.-

        이 글은 <강릉매화타령>의 귀신 장난을 중심으로 <강릉매화타령>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통해서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서술되었다. <강릉매화타령>의 주인공인 골생원은 외양과 행동 모두 비속한 것으로 묘사된다. 특히 매화의 성을 탐닉하는 것으로 골생원의 모습은 비속화된다. 골생원은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며, 욕망의 충족을 위해 비속함도 마다하지 않기에 교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골생원은 귀신 장난 이후에도 비속한 행동을 멈추지 않으며, 경포대에서 알몸으로 온갖 추태를 부리다가 망신을 당한다. <강릉매화타령>의 귀신 장난은 골생원의 비속함을 외부로 폭로하는 수단이며, 골생원의 비속함이 얼마나 극단으로 치닫는지 보여준다. 비속한 골생원은 전형적인 희극의 주인공으로, 웃음을 유발한다. <강릉매화타령>은 오로지 말초적인 자극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려는 서사로 볼 수 있으며, 귀신 장난은 웃음을 극대화하는 장치로 활용되었다. 이 웃음을 통해 비속한 골생원이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지만, 동시에 문제를 가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Gangneung Maehwa Taryeong" based on the ghost trick of "Gangneung Maehwa Taryeong"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k. Golsaengwon, the main character of "Gangneung Maehwa Taryeong," is described as vulgar in both appearance and behavior. In particular, Golsaengwon is vulgarized because it indulges Maehwa's sex. Golsaengwon is faithful to his desires. He needs correction because he does not mind vulgarity to satisfy them. However, Golsaengwon never stops acting vulgarly after a ghost trick. He is disgraced by his many shameful acts in Gyeongpodae. The ghost trick in “Gangneung Maehwa Taryeong” is a means of revealing Golsaengwon's vulgarity to the outside world, and it shows the extremeness of Golsaengwon's vulgarity. The vulgar Golsaengwon is a typical comic character. He causeslaughter . “Gangneung Maehwa Taryeong” is a narrative that tries to instigate laughter only through peripheral stimuli. Ghost tricks were used as a tool to maximize laughter. Through this laughter, the vulgar Golsaengwon reveals that there is a problem, but it also plays the role in masking the problem.

      • KCI등재

        멜로드라마로 본 「숙영낭자전」

        윤정안 ( Jeong-ahn Yo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9 국제어문 Vol.0 No.80

        이 연구는 어떻게 가부장의 권위를 부정하는 이야기가 인기를 끌 수 있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숙영낭자전」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러기 위해서 멜로드라마의 관점에서 「숙영낭자전」을 살펴봄으로써 숙영낭자를 서사의 중심에 놓고 「숙영낭자전」을 독해하고자 하였다. 멜로드라마의 관점에서 「숙영낭자전」을 보기 위해서 우선 「숙영낭자전」을 멜로 드라마로 만드는 통속적인 장치들을 찾아보았다. 자유연애와 혼인의 과정에서 숙영낭자는 선녀나 꿈 등의 장치를 통해서 부득이한 상황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선군과 혼인한 것으로 묘사된다. 훼절의 누명을 벗는 과정에서 숙영낭자는 정절을 수호하는 여성으로 그려지며, 그 과정에서 백공과 매월은 악인의 역할을 부여받는다. 이때 숙영낭자는 정절을 철저하게 지키는 여성이라는 점이 강조되며, 이것은 다른 가치보다 우위에 있다는 정절 지상주의의 논리를 통해 유교적 가치를 전유하였기에 가능했다. 전유된 이데올로기는 독자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주었으나 한편으로는 이데올로기 자체의 결함을 드러냄으로써 전복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ukyeongNangjaJeon by examining the popularity of a story that emphasizes denying patriarchal authority. This study examined SukyeongNangjaJeon from the viewpoint of melodrama. It attempted to read SukyeongNangjaJeon by placing SukyeongNangja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First, it searched for popular devices that categorize SukyeongNangjaJeon as a melodrama. In the process of free love and marriage, SukyeongNangja is portrayed to be in a marriage with the Sungoon through devices such as fairy or dream. In the process of taking off the falsification that the fidelity is damaged, SukyeongNangja is depicted as a woman who maintains fidelity. Baekkong and Maewol are meant to fulfill the role of the wicked. This occurs through an appropriation of Confucian values with the logic of “fidelity Superficialism.” The appropriated ideology provides reader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However,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y of overthrow by exposing the defects of the ideology itself.

      • KCI등재

        웹드라마 〈간서치열전〉의 스토리텔링 방식과 의미

        윤정안(Yoon, Jeong Ah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4 No.-

        웹드라마 〈간서치열전〉은 〈홍길동전〉의 탄생 비화를 역사적 사실과 상상력을 교직시켜 만든 작품이다. 실존 인물을 거의 흡사한 이이첨, 역사적 사실과 어느 정도 부합하면서도 비겁한 인물로 묘사되는 허균, 이덕무를 모델로 창조한 장선비, 그 외에 작품의 전개를 위해 새롭게 만들어낸 이도사와 서랑, 서돈이 이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간서치열전〉의 초반부는 허균 집의 상노 살인 사건에 연루되어 〈홍길동전〉을 찾아야 하는 장선비의 뛰어난 추리력을 보여준다. 이도사는 장선비를 도와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데, 둘은 마치 홈즈와 왓슨처럼 등장하면서 탐정서사의 면모를 띠게 된다. 그러나 장선비는 사건의 전모에 다가가면서 〈홍길동전〉이 허균을 해할 수 있는 위험한 책임을 알게 된다. 그래서 장선비는 서돈의 요구에 따라서 〈홍길동전〉의 새로운 결말을 쓰면서 본격적으로 상상된 〈홍길동전〉의 탄생 비화를 보여준다. 〈간서치열전〉은 간서치에 불과한 장선비가 신념을 지키고자 다른 사람과 연대하는 성장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묻고 있으며, 차별의 문제를 제기한다. 〈간서치열전〉은 과거의 문제가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고전 작품이 현재에도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web drama 〈The Tale of the Bookworm〉 is a work that combines historical facts and imagination with the behind story of the birth of 〈Honggildong-jeon〉. The main characters of this work are Lee Yi-cheom, who almost resembles the real-life figure, Heo Gyun, who is described as a coward, who is somewhat in line with historical facts, Jang Seon-bi, who created the character Lee Deok-moo. Other characters include Lee Do-sa, Seorang and Seodon, who were newly crea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work. In the early part of 〈The Tale of the Bookworm〉, Jang Sun-bi is involved in the head of a slave murder case at Heo Gyun"s house. Jang Seon-bi, who has to find 〈Honggildong-jeon〉, shows excellent reasoning power. Lee Do-sa helps Jang Sun-bi solve the case. The two appear as if they were Holmes and Watson, so it looks like detective narrative. But as Jang Seon-bi approaches the truth of the incident, he realizes that <Honggildong-jeon> is a dangerous book that could hurt Heo Gyun. So Jang Seon-bi writes a new ending for 〈Honggildong-jeon〉 due to Seodon"s demand. It shows the story behind the birth of Hong Gil-dongjeon, which was created by imagination. 〈The Tale of the Bookworm〉 shows how Jang Sun-bi, a bookworm, grew up in solidarity with others to keep the faith. It also ask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work and raises the issue of discrimination. 〈The Tale of the Bookworm〉 shows that past problems continue to the present. It is valuable in that it shows that classical works are still valid.

      • KCI등재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화와 독서형태의 변화

        윤정안(Yoon Jeong-Ah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2 서울학연구 Vol.- No.4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 of reading culture taken place in Seoul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t this time, rapid urbanization of Seoul presented as a population explosion and the development of economy based on commodity money was ongoing. This changed the environment around Korean novels. The change of reading form was one of it. The urbanization of Seoul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combined Korean novels with a commercial capital and made it a commodity. A lot of novels were produced and consumed. Their production method was diversified with the rising demand of them. This would also influence reading form. Reading form was recitation by the Middle Ages. But a record was appeared that there was silent reading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is change would be related to the change of reading environment. For analyzing the main factor of this change, these would be examined : what had happened in Seoul in the late of the Josen Dynasty ; how Korean novels were enjoyed by recitation and listening ;the change of the publication environment, particularly how the birth of bang-gak novels could be involved in silent reading and what means the occurrence of silent reading in cultural history.

      • KCI등재

        20세기 이후 「장화홍련전」의 수용과 변화

        윤정안 ( Yoon Jeong-ahn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9 No.-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뤄진 20세기 이후 「장화홍련전」의 모습을 종합하여 입체적으로 20세기 이후 「장화홍련전」의 수용과 변화의 양상을 살피고, 「장화홍련전」이 20세기 이후에도 수용될 수 있었던 이유를 탐색하였다. 또한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점점 해체되어 가는 「장화홍련전」의 모습을 통해 고전소설이 시대에 수용되는 조건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장화홍련전」은 그 인기에 힘입어 판소리가 되었으며, 이 판소리화의 영향으로 인해 신파극과 창극으로 재탄생되었다. 또한 영화로도 제작되었으며, 외국어로 번역되어 해외에 소개되는가 하면, 전래동화라는 이름으로 동화화 되었으며, LP나 어린이용 카세트테이프로도 출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이후 「장화홍련전」이 수용될 수 있었던 이유는 이전부터 이어져 온 「장화홍련전」의 인기, 20세기 이후의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는 계모에 대한 편견에 기반한 계모와 전처 딸들의 갈등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여성들이 공감하기 쉬운 장화와 홍련의 형상, 해석의 다양성 역시 20세기 이후에도 「장화홍련전」이 수용될 수 있었던 이유라 할 수 있다. 21세기가 되면 계모에 대한 편견이 점차 의심받게 된다. 그러면서 「장화홍련전」의 서사 역시 해체된다. 21세기 이후 등장한 연극, 창극, 영화, 춤, 동화 등은 악독한 계모와 착한 전처의 딸들이라는 「장화홍련전」의 구도에 이의를 제기한다. 방탈출 게임, 웹소설, 청소년 드라마에서는 부사인 전동흘에 초점을 맞추기도 했으며, 웹툰, 모바일 게임, 음악에서는 서사는 사라지고 캐릭터와 이미지만 활용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계모에 대한 편견은 물론 ‘정상 가족’의 의미조차 해체되는 상황에서 더 이상 「장화홍련전」은 존립할 수 없다. 이는 시대정신에 맞지 않는 고전소설은 결국 해체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고전소설 연구자는 고전소설에 대한 연구는 물론 고전소설의 현재적 의미까지 찾아주어야 하는 역할을 맡아야 할 것이다. By synthesizing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acceptance and change of the Janghwahongryeonjeon after the 20th century. And this article explored the reason why Janghwahongryeonjeon could be accepted after the 20th century. Also Janghwahongryeonjeon gradually dissolved in the 21st century, and this article contemplat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classical novels were accepted at the time. Janghwahongryeonjeon became Pansori because of its popularity, and due to its influence, it was reborn as Sinpageuk and Changgeuk. It was also produced as a movie, translated into a foreign language, and introduced overseas. In addition, it was made into fairy tales under the name of traditional fairy tales, and it seems that LP and cassette tapes for children were also released. The reason why Janghwahongryeonjeon has been accepted since the 20th century is the popularity of Janghwahongryeonjeon, which has been around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a conflict structure between stepmother and ex-wife daughters that can be sympathized with even after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the shapes of the female protagonists are easy for women to sympathize with and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the 21st century, prejudice against the stepmother gradually becomes suspicious. In the meantime, the narrative of Janghwahongryeonjeon is dissolved. The drama, Changgeuk, movies, dances, and fairy tales that have appeared since the 21st century dispute the narrative of the composition of a wicked stepmother and good daughters of ex-wife. Room escape games, web novels, and youth dramas focus on Jeon Dong-heul, a judge. Webtoons, mobile games, and music use only the characters and images of Janghwa and Hongryeon. In the 21st century, prejudice against stepmothers and the meaning of the "normal family" were deconstructed, and the Janghwahongryeonjeon could no longer exist. This means that classical novels that do not fit the spirit of the times will eventually be deconstructed. If so, classical novel researchers must study classical novels and at the same time find the current meaning of classical novels.

      • KCI우수등재

        〈김인향전〉의 의미 형상화 방식

        윤정안(Yoon Jeong-Ahn)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only to clarify that 〈Kiminhyangjon〉 is not the imitative work of 〈Janghwahongryenjon〉, but also to clarify the meaning of 〈Kiminhyangjon〉 by the way the motives are placed through the concept of 'metonymy.' 〈Kiminhyangjon〉 does share a similar storyline with 〈Janghwahongryenjon〉, as the stepmother plots to kill the children of her husband's ex-wife. However, the part of the 'marriage-story,' where Inhyang reincarnates and marries Yuhanlim, is not found in 〈Janghwahongryenjon〉. 〈Kiminhyangjon〉 is earlier work than Garambon 〈Janghwahongryenjon〉 and also is different from 〈Janghwahongryenjon〉 in the way that it justifies the marriage of the couple. Moreover, the marriage-story in 〈Kiminhyangjon〉 has a similar motif to romance novels. This leads us to presume that 〈Kiminhyangjon〉 borrowed the stepmother motif from 〈Janghwahongryenjon〉 and the marriage motif from romance novels. The arrangement of the motif is the crucial factor that decides the story of the work. The previous story becomes the reason of next story. In addition, the ending of the classical literature, which contains a less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that decides the flow of the work. The marriage-story is arranged after the stepmother-story in 〈Kiminhyangjon〉. Considering this, 〈Kiminhyangjon〉 is more closely related to romance novels than to that of stepmother novels. The romance novel styles in 〈Kiminhyangjon〉 also exist in the stepmother-story. It can be seen in that the stepmother tries to plot, when Yuhanlim, the fiance, is away, and that Inhyang makes clothes for Yuhanlim, also that the identity tends to change from daughter to wife by the death of Inhyang's father. It seems that the earlier studies could not achieve the clearer meaning of 〈Kiminhyangjon〉, because they limited 〈Kiminhyangjon〉 to a stepmother novel type. It is needless to say that we cannot limit 〈Kiminhyangjon〉 to the romance novel archtype. How readers think about 〈Kiminhyangjon〉 will need to be studied in relation of the reader's psychology. In addition, its classification within the sub-category of classical literature needs more study in the future.

      • KCI등재

        흥미성과 교훈성의 관점에서 본 계모형 소설의 귀신 형상과 의미

        윤정안 ( Yoon Jeong-ah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4

        이 연구는 계모형 소설의 귀신 형상이 갖는 의미를 흥미성과 교훈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소설은 흥미성을 본령으로 하지만,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는 고전소설의 시대에서 소설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교훈성을 담보해야만 했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귀신이다. 성리학에서 귀신은 세상만물의 원리를 드러내는 이론으로 정리되었다. 이 귀신론은 불교나 무속의 귀신을 부정한다. 그러나 귀신이야기는 다양한 형태로 향유되었다. 이는 귀신이라는 소재가 가진 흥미성의 강도를 증명한다. 전기소설의 귀신과 비교했을 때 계모형 소설의 귀신은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복수를 하며, 재생담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기소설의 귀신들이 남성주인공의 욕망과 관련하여 등장하였다면, 계모형 소설의 귀신은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자신의 욕망에 집중한다. 계모형 소설의 귀신은 자신을 죽인 계모에게 복수를 감행하는 비윤리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독자에게 재미를 준다. 그리고 악인인 계모는 처벌됨으로써 징악의 구조가 완성되며, 이 징악의 서사는 교훈성을 담보한다. 한편 재생담은 주인공의 행복한 삶을 보여주기 위해 등장하는데, 성리학적인 주체가 되었을 때 주인공은 행복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권선의 논리를 완성한다. 이처럼 계모형 소설의 귀신은 성리학적 질서의 일탈과 내면화를 동시에 보여준다. The study looked at the meaning of ghost shapes in a step-style novel in terms of interest and practicality. Novels are subject to their novelty. However, in the era of classical novels, Confucianism had to be a moral to exist. At this point, the problem is the ghost. In Confucianism, a ghost was organized into the theory of the principle of universal nature. This ghost denies the ghost of Buddhism or shamanism. However, ghost stories were found in various forms. This means that the attraction of ghosts is greater. Compared to romantic novels, step-mother type novels is different from the main character. She regenerates and regenerates. The ghosts of romantic novels appear in regard to his desire. While the ghosts of step-mother type novels concentrate on her desire. The ghost of step-mother type novels shows her unethical behavior to the stepmother who killed herself, which gives readers fun. And the wicked stepmother is punished and the sentence of punishment is complete. And the punishment shows a moral. Meanwhile, it appears to show the happy life of the main characters. When you become a Confucian agent, the hero completes the logic of the winding by showing that the main character is happy. Like this, the ghost of step-mother type novels shows a deviation from order of Confucius and intern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