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유주한,박경훈,윤영철,You, Ju-Han,Park, Kyung-Hun,Yoon, Young-Chul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4

        본 연구는 창원시 내동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하천의 생태적 특성과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귀화식물의 수는 18과 38속 43종 2변종 등 45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 등 3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의 생활형 분석 결과, 교목 2분류군, 관목 1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7분류군, 지중식물 1분류군, 일년생식물 3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내동천의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16.6%, 25.1%였다. 종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상류 30분류군, 중류 42분류군, 하류 3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상류 11.1%, 중류 15.5%, 하류 11.8%, 귀화율의 경우 상류 21.7%, 중류 33.3%, 하류 37.2%로 분석되었다. 횡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제방 39분류군, 둔치 30분류군, 수변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제방 14.4%, 둔치 11.1%, 수변 2.6%였고, 귀화율의 경우 제방 30.5%, 둔치 30.6%, 수변 20.0%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 관리방안의 경우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자생식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제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raw data on managing naturalized plants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s by researching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were summarized as 45 taxa: 18 families, 38 genera, 43 species and 2 varieties. There were 3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In an analysis of life forms, there were 2 taxa of megaphanerophytes, 1 taxa of nanophanerophytes, 3 taxa of chamaiphytes, 7 taxa of hemicryptophytes, 1 taxa of geophytes and 31 taxa of therophytes. The urbanized and naturalized indices were 16.6% and 25.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 analysis by vertical structures showed that naturalized plants included 30 taxa upstream, 42 taxa midstream and 32 taxa downstream. For the urbanized index, upstream was 11.1%, 15.5% in midstream and 11.8% in downstream. For the naturalized index, upstream was 21.7%, 33.3% in midstream and 37.2% in downstream. An analysis of crossing structures showed at taxa of 39 naturalized plants on bank. 30 taxa along the riverside and 7 in the water. For the urbanized index, banks were 14.4%, riverside 11.1% and waterside 2.6% while the naturalized index included 30.5% on the banks, 30.6% along the riverside and 20.0% in the water. As regards the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because Re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they need to be efficiently controlled.

      • 부산광역시 내원정사의 관속식물상

        유주한,서필숙,서동목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8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of temple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of Naewonjeongsa temple, Busan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26 taxa including 94 families, 232 genera, 288 species, 29 varieties, 7 forms and 2 hybrids. The planting species were 98 taxa including Ginkgo biloba, Camellia sasanqua, Dicentra spectabilis, Musa basjoo and so forth. The rare plants were 8 taxa including Prunus yedoensis (planting),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planting), Ilex cornuta (planting), Aristolochia contorta, Campanula takesimana (planting), Allium senescens (planting), Tricyrtis macropoda and Chloranthus fortunei.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taxa including Prunus yedoensis (planting), Lespedeza maritima, Forsythia koreana (planting), Campanula takesimana (planting), Aster koraiensis (planting) and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planting).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totally 31 taxa, which were 2 taxa of grade Ⅴ, 3 taxa of grade Ⅳ, 5 taxa of grade Ⅲ, 3 taxa of grade Ⅱ and 18 taxa of grade Ⅰ.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2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Trifolium repens, Senecio vulgaris, Taraxacum officinale and so forth, and the invasive aline plant was Ambrosia artemisiifolia.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9 taxa including Abies holophylla, Pittosporum tobira, Ilex crenata, Arisaema ringens and so forth. 본 연구의 목적은 내원정사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사찰환경의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관속식물상은 94과 232속 288종 29변종 7품종 2잡종 등 326분류군이며, 식재종은 은행나무, 애기동백나무, 금낭화, 파초등 98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왕벚나무(식재), 울릉국화(식재), 호랑가시나무(식재), 쥐방울덩굴, 섬초롱꽃(식재), 두메부추(식재), 뻐꾹나리, 옥녀꽃대 등 8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왕벚나무(식재), 해변싸리, 개나리(식재), 섬초롱꽃(식재), 벌개미취(식재), 울릉국화(식재) 등 6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1분류군이며, Ⅴ등급은 2분류군, Ⅳ등급은3분류군, Ⅲ등급은 5분류군, Ⅱ등급은 3분류군, Ⅰ등급은 18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토끼풀, 개쑥갓, 서양민들레등 32분류군이며, 생태계 교란식물은 돼지풀 1분류군이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전나무, 돈나무, 꽝꽝나무, 큰천남성등 9분류군이다.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내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

        유주한,김영훈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을 조사하여 수목원과 정원의 식재지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지역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20과 45속 54종 1변종 5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된 귀화식물은 끈끈이대나물, 개양귀비, 흰꽃나도사프란, 자주달개비 등 11분류군이었다. 원산지의 경우, 유럽 27분류군, 북아메리카 16분류군, 남아메리카 6분류군, 유라시아 4분류군, 열대아메리카 2분류군이었다. 귀화도의 경우 1등급 5분류군, 2등급 10분류군, 3등급 14분류군, 4등급 5분류군, 5등급 2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입시기의 경우 1기 24분류군, 2기 9분류군, 3기 22분류군이었다. 생태계 교란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4분류군이며, 신규로 지정된 환삼덩굴도 있었다.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planting site of botanical garden and general garden by researching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Gyeongsangbuk-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Gyeongju-si, Sou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identified in this site were 55 taxa; 20 families, 45 genera, 54 species and 1 variety. The planted species were 11 taxa; Silene armeria, Papaver rhoeas, Zephyranthes candida, Tradescantia reflexa and so forth. In case of origin, Europe were 27 taxa, 16 taxa of North America, 6 taxa of South America, 4 taxa of Eurasia and 2 taxa of Trophical America. In case of naturalized degree, degree 1 and 4 were 5 taxa each, 10 taxa of degree 2, 14 taxa of degree 3 and 21 taxa of degree 5. In case of introduced period, period 1 were 24 taxa, 9 taxa of period 2 and 22 taxa of period 3.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4 taxa; Rumex acetosella,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and there was also a newly designated Humulus scandens.

      • KCI등재후보

        경주국립공원 용담정 일대의 관속식물상

        유주한,곽수빈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landscapes and natural resources by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of Yongdamjeong in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92 taxa including 84 families, 201 genera, 263 species, 2 subspecies, 15 varieties, 5 forms, 2 hybrids and 5 cultivars. The planted species were 45 taxa including Prunus ‘Kanzan’, Ilex cornuta, Juniperus chinensis ‘Globosa’, Chamaecyparis pisifera and so on. The rare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Potentilla discolor, Trigonotis icumae, Aster fastigiatus and Iris odaesanensis.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Lespedeza maritima, Weigela subsessilis,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so o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5 taxa including 2 taxa of degree Ⅳ, 1 taxon of degree Ⅲ and 12 taxa of degree Ⅰ.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19 taxa including Cerastium glomeratum, Trifolium repens, Conyza canadensi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as Symphyotrichum pilosum.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에 위치한 용담정의 관속식물상을 분석하여 자연경관과 자연자원을 보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속식물상은 84과 201속 263종 2아종 15변종 5품종 2잡종 5재배품종의 292분류군으로 요약되었으며, 식재종은 벚나무 ‘칸잔’, 호랑가시나무, 옥향, 화백 등 4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솜양지꽃, 덩굴꽃마리, 옹굿나물, 노랑무늬붓꽃 5분류군이었다. 한국특산식물은 해변싸리, 병꽃나무, 백운산원추리 등 4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5분류군으로, Ⅳ등급 2분류군, Ⅲ등급 1분류군, Ⅰ등급 12분류군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유럽점나도나물, 토끼풀, 망초 등 19분류군이었으며, 생태계교란종은 미국쑥부쟁이 1분류군이었다.

      • KCI등재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지역환경 평가지표 순위 결정 - 생태계를 중심으로 -

        유주한,정성관,박경훈,김경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06 환경영향평가 Vol.15 No.6

        가중치의 경우 재화생산(FF1),대기질향상(FF2), 산사태 방지(FF3), 토양침식 방지(FF4), 방풍효과(FF5), 수자원 보호(FF9) 및 휴양과 휴식제공(FF10)은 1.193, 생태계 보전(FF6), 생물종다양성 유지(FF7) 및 서식처 제공(FF8)은0.550으로 나타났다.지표의 순위 비교 결과, 단순 중요도의 경우 생태계 보전(FF6), 생물종다양성 유지(FF7) 및 서식처제공(FF8)이 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나타났으며, 변환값 A와 B에서는 수자원 보호(FF9), 휴양과휴식제공(FF10) 및 토양침식방지(FF4)가 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확인되었다. 단순 중요도에서생태계 보전 등을 가중치 적용 순위와 비교해보면,생태계 보전, 생물종다양성 유지 및 서식처 제공은변환값 A에서 8순위, 9순위, 10순위였고 변환값 B에서는 6순위, 7순위, 8순위로 다시 상승하였다.변환값 A와 변환값 B에서 순위 변화를 살펴보면,방풍효과(FF5)와 재화생산(FF1)의 경우 변환값 A에서는 6순위와 7순위였으나 변환값 B에서는 9순위와 10순위로 변하였다. 또한 생태계 보전, 생물종다양성 유지, 서식처 제공은 변환값 A에서는 8~10순위였으나 변환값 B에서는 6~8순위로 2단계 상승한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세밀하게 살펴보면, 가중치에 있어서 재화생산과 방풍효과의 가중치는1.193, 생태계 보전 등의 가중치는 0.550으로, 재화생산 등이 약 2.17배 높으며, 변환값 A와 B에서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중치 변화는 아닌 단순중요도와 무게중심값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된다고할 수 있다. 단순 중요도의 경우 재화생산과 방풍효과는 평균값이 2.500, 2.579이고 생태계 보전, 생물종다양성 유지 및 서식처 제공은 4.684, 4.632 및4.526이다. 그러므로 재화생산은 위의 지표들과 비교할 때 약 1.87배, 1.85배 및 1.81배, 방풍효과는 약1.81배, 1.79배, 1.75배의 차이를 보였다.또한 무게중심값에서는 재화생산이 0.360, 방풍효과가 0.373으로 나타났고 생태계 보전 등은 각각0.912, 0.892 및 0.874로 조사되었다. 즉, 재화생산은 생태계 보전 등의 지표들과 약 2.53배, 2.47배,2.42배, 방풍효과는 약 2.44배, 2.39배, 2.34배의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단순 중요도에서가중치를 적용할 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화[(0.87 - 0.51)(0.87 - 0.71)]2402 환경영향평가 제15권 제 6호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systematical and scientific method of regionalenvironment conservation by deciding the rank using fuzzy theory, and try to find themethodology to accurately accomplished the regional environment assessment for sound landconserv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To transform the Likert’s scale granted to assessment indicators into the type of triangularfuzzy number (a, b, c), there was conversion to each minimum (a), median (b), and maximum(c) in applying membership function. We used the center of gravity and eigenvalue leading tothe rank.In the sequential analysis of rank-based test of assessment indicators by triangular fuzzynumber, the result proclaimed that ranking of the indicators was, in the biotic field, in the orderof ‘dominance’, ‘sociality’, ‘coverage’ and in the abiotic one, ‘soil pH’, ‘T-N’, ‘soil property’, andin the qualitative one, ‘impact rating class’, ‘hemeroby degree’, ‘land use pattern’, and in thefunctional one, ‘protection of water resource’, ‘offer of recreation’, ‘protection of soil erosion’.Therefor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rank from human and the rank fromtriangular fuzzy number. In other words, the scientific rank decision would be not so muchCorresponding Author: Sung-Gwan J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370 Sangyeok-dong, Daegu702-701, Korea Tel: 82-53-950-5783 Fax: 82-53-950-6779 E-mail: sgjung@knu.ac.kr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종류와 특성 분석

        유주한,서필숙,덩베이지아,짱메이주오,권순영,김영훈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8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4 No.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 landscape trees planted in Gyeongju campus, Dongguk University, Korea. The landscape trees were surveyed form March to October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ed landscape trees of this site consisted of 44 families, 82 genera, 105 species, 1 subspecies, 9 varieties, 11 forms and 3 hybrids. The results of forms were 58 taxa in trees, 16 taxa of subtrees, 52 taxa in shrubs and 3 taxa in herbs. The results of leaf fall were 85 taxa in deciduous broad leaved trees, 2 taxa in deciduous coniferous tree, 22 taxa in evergreen broad leaved tree and 20 taxa in evergreen coniferous trees. The rare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Prunus yedoensis Matsum. and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totally 24 taxa, which were 2 taxa of grade Ⅴ, 4 taxa of grade Ⅳ, 8 taxa of grade Ⅲ, 2 taxa of grade Ⅱ and 8 taxa of grade Ⅰ.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에 식재된 조경수목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경수목은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경수목은 44과 82속 105종 1아종 9변종 11품종 3잡종 등 129분류군이다. 성상별 분석 결과, 교목 58분류군, 소교목 16분류군, 관목 52분류군, 초본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낙엽탈락 유무별 분석 결과, 낙엽활엽 85분류군, 낙엽침엽 2분류군, 상록활엽 22분류군, 상록침엽 20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미선나무, 이팝나무, 왕벚나무, 눈향나무 등 4분류군이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나리와 미선나무 등 2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24분류군으로, Ⅴ등급은 2분류군, Ⅳ등급은 4분류군, Ⅲ등급은 8분류군, Ⅱ등급은 2분류군, Ⅰ등급은 8분류군이다.

      • KCI등재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를 중심으로 -

        유주한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2

        Bunhwangsa Temple, Baekryulsa Temple and Sambulsa Temple are not famous cultural heritage area, but they are visited by many tourists and are located in Gyeongju National Park and Gyeongju Historic Areas, so environmental and cultural preservation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age the unique environment and landscape of cultural assets by analysing the invasive alien plant of traditional temple of Gyeongju. The whole flora were summarized as 188 taxa including 73 families, 136 genera, 154 species, 3 subspecies, 11 varieties, 4 forms, 5 hybrids and 12 cultivars., and the landscape plants were 163 taxa and 38 taxa of the invasive alien plants. The 13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were planted in three temples. The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were 3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Invasive alien plants have artificial causes such as landscape planting, but there are also those that are introduced naturally from outside. The parking lot of the temple is expected to be a major propagation path for invasive alien plants due to the large amount of interference and disturb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nagement pla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native species suitable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raditional landscape of Korea for landscape planting of traditional temples, and development of planting guidelines centered on cultural properties is requi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planting invasive alien plants because traditional temples are located in an important environment and historically. Thir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templ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promptly remove the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Fourth, in order to expres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emples, a unique planting plan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historicity.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는 유명한 문화재구역은 아니지만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경주국립공원과 경주역사유적지구에 위치해 환경적, 문화적으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문화재의 고유 환경과 경관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전체 식물상은 73과 136속 154종 3아종 11변종 4품종 5잡종 12재배품종의 188분류군이며, 조경식물은 163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3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된 침입외래식물은 13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애기수영,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3분류군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조경식재와 같은 인위적 원인도 있지만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유입된 것도 있었다. 사찰의 주차장은 간섭과 교란이 많아 침입외래식물의 주요 전파경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통사찰의 조경식재는 한국의 자연환경 및 전통경관에 맞는 자생종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문화재 중심의 식재지침 개발이 요구된다. 두 번째, 전통사찰은 환경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므로 침입외래식물의 식재를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 사찰환경의 보전을 위해 주변의 생태계교란 생물을 조속히 제거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전통사찰의 경관적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입지환경, 역사성 등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식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주 황성공원의 관속식물상 연구

        유주한,김영훈,천겅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urban forest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ngseong Park, Gyeongju-si.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vascular plants from April 2018 to May 2020 were summarized as 338 taxa including 78 families, 222 genera, 296 species, 5 subspecies, 18 varieties, 6 forms, 4 hybrids and 9 cultivars, and 110 taxa of planted species and 235 taxa of native species were identified. The representative planting species was Liriope muscari. The 7 taxa of rare plants and 5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totally 24 taxa, which were 1 taxa of grade Ⅴ, 4 taxa of grade Ⅳ, 7 taxa of grade Ⅲ, 4 taxa of grade Ⅱ and 8 taxa of grade Ⅰ. The 57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6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were showed. In particular, Chionanthus retusus represent traditional landscape trees in Korea and have high ecological value. Therefore, the old trees of Chionanthus retusus will have to be managed by assigning a number for each individual. The invasive alien plants will need periodic control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work in conjunction with civic groups. 본 연구는 경주시 내 황성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분석하여 도시림의 생태계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목적이 있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총 78과 222속 296종 5아종 18변종 6품종 4잡종 9재배품종등 338분류군이며, 식재종 110분류군, 자생종 23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대표적인 식재종은 맥문동이었다. 희귀식물은 7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24분류군으로, Ⅴ등급은 1분류군, Ⅳ등급은 4분류군, Ⅲ등급은 7분류군, Ⅱ등급은 4분류군, Ⅰ등급은 8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팝나무는 우리나라전통 조경수목을 대표하며, 생태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이팝나무의 노거수는 개체별로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생태계교란식물은 주기적인 방제와 함께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작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경주 교촌마을의 관속식물상

        유주한,김영훈,천겅,장린린,곽수빈,정재현,서영란,리위,추이즈리앙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1

        This study was carrie out to present the ecological data for manage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nd urban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Gyochon Village, Gyeongju-si. The results ara as follows. There were 259 taxa on Gyochon Village, consisting of 81 families, 193 genera, 228 species, 2 subspecies, 11 varieties, 6 forms, 4 hybrids and 8 cultivars, and the taxonomic levels of whole taxa were 2 taxa of pteridophyta, 9 taxa of gymnospermae, 208 taxa of dicotyledonae and 40 taxa of monocotyledonae. The landscape planting species were 131 taxa including Spiraea prunifolia, Helianthus salicifolius, Iris × germanica and so on, of these, there were 77 taxa of trees and 54 taxa of herb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6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Tragopogon dubius, Hordeum murinum and so on.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Symphyotrichum pilosum and Humulus scandens. 본 연구는 경주 교촌마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전통경관과 도시생태계 관리를 위한 생태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속식물상은 81과 193속 228종 2아종 11변종 6품종 4잡종 8재배품종의 259분류군이며, 양치식물은 2분류군, 나자식물은 9분류군, 쌍자엽식물은 208분류군, 단자엽식물은 40분류군이었다. 조경식재종은 만첩조팝나무, 애기해바라기, 독일붓꽃 등 131분류군이며, 이 중 목본은 77분류군, 초본은 5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쇠채아재비, 보리풀 등 46분류군이었다. 생태계 교란식물은 미국쑥부쟁이, 환삼덩굴 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 환경생태적 학교숲 조성을 위한 조경식물의 특성분석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

        유주한,이우성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5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ovide) the raw data regarding (for) landscape planting plan of school forest by objective and systematic surveying (survey) and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plants for constructing the sound school forest. (through objective and systematic surveys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plants appropriate for school for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an analysis on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In the results of anaylsis on landscape plants by forms, evergreen needle leaf tree were 14 taxa(6.0%), 5 taxa(2.1%) of evergreen needle leaf shrubs, 1 taxa(0.4%) of evergreen broad leaf tree, 13 taxa(5.5%) of evergreen broad leaf shrubs, 50 taxa(21.3%) of deciduous broad leaf trees, 52 taxa(22.1%) of deciduous shrubs, 3 taxa(1.3%) of deciduous needle leaf trees, 7 taxa(3.0%) of vines and 90 taxa(38.3%) of herbs. The Jaecheol dong (Jaecheondong Elementary School has the most diverse species with 14 taxa) elementary school was the most planted 141 species, the Ocheon middle school was the lowest in 4 speci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by flower colors, white had 61 taxa(29.0%) most common, followed by 52 taxa(24.8%) of purple, 39 taxa(18.6%) of yellow, 37 taxa(17.6%) of red, 17 taxa(8.1%) of green and 4 taxa(1.9%) of blue appeared in order. The most planted landscape plants in forest school were Pinus densiflora, Rhododendron obtusum, Chionanthus retusa, Rhododendron mucronatum,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Lonicera japonica and Phlox subulata. 본 연구는 건전한 학교숲 조성을 위해 조경식물의 특성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학교숲 조경식재계획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경식물의 성상별 분석 결과, 상록침엽교목은 14종(6.0%), 상록침엽관목은 5종(2.1%), 상록활엽교목은 1종(0.4%), 상록활엽관목은 13종(5.5%)이었으며, 낙엽활엽교목은 50종(21.3%), 낙엽활엽관목은 52종(22.1%), 낙엽침엽교목은 3종(1.3%)이고, 만경류는 7종(3.0%), 초화류는 90종(38.3%)으로 나타났다. 제철동초등학교가 14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오천중학교가 가장 적은 4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색별 분석 결과, 백색계열이 61종(29.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자주색계열 52종(24.8%), 황색계열 39종(18.6%), 적색계열 37종(17.6%), 녹색계열 17종(8.1%), 청색계열이 4종(1.9%)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숲에서 가장 많이 식재된 조경식물은 소나무, 영산홍, 이팝나무, 백철쭉, 조팝나무, 인동, 지면패랭이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