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해외현지법인의 효율적 인적자원 유지를 위한 실증연구

        유병우(Beyong Woo Yoo),박연호(Yeon Ho Park) 한국경영학회 1995 經營學硏究 Vol.24 No.2

        This study aims at findings of the important factors and efficient strategies concerning about the the Human Resource Retention Management(HRRM) of the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KFDIF). The HRRM consists of six variable factors due to the Compensation, Job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Training, Relationship Reinforcement, Participative Management, Turnover Employee and Management Strategi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sampled 100 KFDIF with premade questionaires survey forms an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respect to the Factor and Discriminant Analyses and so forth.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l) As the short-term direct strategies on the HRRM, the KFDIF might be taking account into Compensation Strategies. 2) As the long-term indirect strategies due to Participative Management, Relationship Reinforceme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Training, (1) the major reasons of foregin employee`s turnover are due to dissatisfaction related to Compensation, Promotion, Job Management and some conflicts with Korean staffs.(2)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KFDIF tends to apply more Participative Management Strategies, Relationship Reinforcement Strategies,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Training Strategies than do other ones. (3) the firms with lower turnover rate tend to apply more reasonable Compensation Strategies, Participative Strategies, Relationship Reinforcement Strategies than do the ones with higher turnover rate.

      • KCI등재

        고대 세계의 우주생성론 비교연구

        유병우(Byungwoo Y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우주생성론과 에스겔서를 중심으로 한 유대교의 우주생성론, 그리고 에르 신화를 중심으로 한 플라톤의 우주생성론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원인을 밝히려는 것이다. 고대 근동 문헌의 발굴로 인해 고대 세계에서의 문명교류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순수한 자생적 문화임을 주장하는 서구 그리스 문화의 전통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고대를 대표하는세 문화 간의 문화융합을 추적하려는 것이다. 이 가운데 특히 천문학에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그리스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다는 것은 상당 부분 용인되고 있지만. 유대교에 대해서는 여전히 그 독특성만이강조되고 있다. 바빌로니아 문헌에서 우주를 용광로에 비유하고 있음을 밝힌 톰프슨의 견해는 에스겔의 환상에 전제된 우주생성론과 메소포타미아의 우주생성론이 상당히 유사성이 있음을 증거한다. 베르그렌의 연구 역시 그리스의 우주생성론과 에스겔서의 우주생성론을 연결시킬 수 있는 고리를 마련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ncient Mesopotamian cosmogony, the Jewish cosmogony centered on the Book of Ezekiel, and Plato's cosmogony centered on the myth of Er, and reveal their commonalities and causes. Although academic interest in civilizational exchanges in the ancient world is increasing due to the excavation of ancient Near Eastern literature, the aim is to trace the cultural fusion between the three cultures representing ancient times in a situation where the Western Greek cultural tradition, which claims to be a purely indigenous culture, is still dominant. Among these, it is largely accepted that the Mesopotamian civiliz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Greece, especially in astronomy. Regarding Judaism, only its uniqueness is still emphasized. Thompson's view that Babylonian literature compares the universe to a furnace prov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cosmogony of Ezekiel and the Mesopotamian cosmogony. Bergren's research also provided a link to connect the Greek cosmogony with the cosmogony of the Book of Ezekiel.

      • KCI등재

        가현설의 정의와 그 의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유병우(Yoo, Byung Woo)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3

        “가현설(Doketismus)”은 기독교 신학의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는 주제이지만, 그 용어 자체가 성서적 개념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고 성서본문에 근거한 주장도 아니다. 교부들은 “가현론자”라는 명칭을 역사적으로 가현적 사상을 가진 개개의 이단집단에 적용하고 있을 뿐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가현설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가현설의 개념정의에 관한 논쟁의 초점은 예수의 인성에 대한 적극적 부정, 소극적(우회적) 부정, 그리고 인성과 신성의 분리 중 어디까지를 가현설로 인정하느냐의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가현설을 좁은 의미로 이해하려는 학자들은 예수의 인성에 대한 적극적인 부정만을 가현설로 규정하려는 반면, 보다 넓은 의미로 이해하려는 학자들은 적극적 부정과 소극적 부정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동시에 예수의 인성과 신성의 분리 역시 가현설로 이해하려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기존의 가현설에 대한 논의가 존재론적 관점에서만 이루어진 것에 대한 대안으로 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려 한다. 이를 통해 가현설이 당시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나아가 가현설의 역사적 기능을 이해하고자 한다. 가현설은 한마디로 고난의 현장에서 신화적 개념을 통해 이루어진 신앙적 담론을 역사적 실재에 대한 존재론적 주장으로 잘못 이해한 역사적 오해라고 할 수 있다. 낙 함마디 문서의 발견으로 그러한 담론의 실체가 조금씩 드러나고는 있지만, 가현설을 바라보는 선입견의 영향력은 아직도 지대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현설의 의미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은 기존의 연구 패러다임을 극복하고자 하는 지극히 제한적인 하나의 시도일 뿐이다. 가현설에 관한 일차문헌을 개별적으로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여 당시의 역사적 정황 속에서 가현설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 KCI등재

        [번역논문] 원(原)도마복음

        유병우(Byung-Woo Y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도마복음은 기독교적이며 유대교적인, 그리고 금욕적인(encratic)이며, 헤르메스주의적(hermetic)이고, 심지어 묵시적-신비적인 다양한 종교적 전승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명백히 무작위로 모여진 수수께끼 같은 말씀의 모음집이다. 더욱이 중복 본문(doublets)과 내용상 서로 모순되는 말씀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당혹스럽다. 우리는 하나의 본문에 이러한 모순되는 자료와 중복 본문의 존재, 그리고 그렇게 많은 종교 전통의 존재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전통적인 구성 모델은 한 저자가 역사적 순간에 다양한 말씀을 모아우리가 알고 있는 도마복음을 만들었다고 가정한다. 이 모델은 저자가 왜 그의 복음서에 상충되는 말씀, 그리고 그의 문서 또는 구전 자료에서 나온 중복 본문 또는 매우 다양한 종교적 전승을 포함시키기로 선택했는지, 그리고 왜 저자가 왜 그렇게 느슨하게 복음서를 구성하기로 했는지 설명할 수 없다. 드코닉(A. D. DeConick)은 도마복음을 위한 새로운 구성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은 기존의 다른 모델이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설명할 뿐 아니라 Q의 계층화나 그와 유사한 문제가 있는 이론의 결론을 전제로 하지 않는 것이다. 그녀는 맥케인(William McKane)이 예레미아서 주석에서 사용한 “뭉쳐지는 본문의 집적”(rolling corpus)의 관점에서 도마복음의 구성 역사를 설명한다. “뭉쳐지는 본문의 집적”은 예언자의 (입에서 나온) “바로 그대로의 어구”(ipsissima verba)로 시작하는 책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가 자료는 코어와 관련하여 집계되고 구성된다. 나아가 사회 수사학적 비평과 독자-반응 접근 방식의 통찰에 의지하여 그녀는 발전, 반응성, 동조자의 원리를 적용한 결과를 통해 핵심 도마복음을 재구성한다. The Gospel of Thomas is an enigmatic set of apparently random sayings which contain a wide diversity of religious traditions including Christian-Jewish, encratic, hermetic, and even apocalyptic-mystical traditions. This gospel is additionally perplexing in that it contains doublets and sayings which seem to contradict themselves. How can we explain the presence of these contradictory materials and doublets in one text as well as the presence of so many religious traditions? The Traditional Model of composition assumes that one author brought together a variety of sayings at some historical moment, creating the Gospel of Thomas as we know it. This model has not been able to adequately explain why the author would choose to include in his gospel conflicting sayings and doublets from his written or oral sources or such an extreme diversity of religious traditions, and why the author would choose to structure the gospel so loosely. A. D. DeConick develops a new compositional model for the Gospel of Thomas, one which will explain the persistent problems that other models have not, one that does not have as its premises the conclusions of problematic theories such as Q’s stratification and the like. She explains the compositional history of the Gospel of Thomas in terms of a “rolling corpus” that William McKane used in his commentary on Jeremiah. A rolling corpus is a book that begins with the ipsissima verba of a prophet. Over time, additional material becomes aggregated and organized in relation to the core. Furthermore depending upon the insights of Socio-rhetorical Criticism and the Reader-Response approach, she reconstructs the kernel Gospel of Thomas by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Responsiveness, and Constituency.

      • RPA를 이용한 AI기반의 항만서류 자동구성에 관한 연구

        유병우 ( Byeong-woo Yoo ),이진영 ( Jin-young Lee ),임현지 ( Hyun-ji 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는 반복적이고 평범한 작업을 로봇이 하게 해 조직의 시간을 절약해 주는 기술이다. 복잡한 전산 및 수기로 작성하는 항만 관련 단순 방법적 수작업을 RPA를 활용하여 AI기반의 자동구성을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다.

      • KCI등재

        도마복음의 말씀 번호 매김에 관한 연구

        유병우(Byung-Woo Y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7

        도마복음은 일반적으로 114개의 말씀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말씀이 내러티브 구조로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별 말씀단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개별 말씀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마복음에 포함된 말씀의 번호는 사본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현대 학자들이 붙인 것이다. 따라서 그 번호는 학자들마다 상이하다. 본 논문은 도마복음의 구성사에 대한 한 측면, 즉 도마복음에 포함된 개별 말씀의 구분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1958년 라이폴트는 도마복음 전체를 최초로 번역하면서 도마복음의 말씀을 112개(번호를 붙이지 않은 서언을 포함하면 113개)로 구분했다. 이듬해 뒤늦게 출판된 초판본은 말씀 번호 114로 끝난다. 1967년 라이폴트는 새로운 비평본에서 서언과 말씀 1의 통합을 유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초판본의 번호 매김과 거의 유사하게 수정하였다. 필자의 추측으로는 라이폴트 사망 후 남겨진 유고를 정리한 쉥케가 초판본과의 혼돈을 가능한 배제하기 위해 선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라이폴트가 이미 최초 번역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마복음의 말씀 번호는 확고한 근거가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인용의 편의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 후 오늘날 도마복음의 표준판으로 인정받는 라이덴판은 사실상 초판본을 외형적으로 그대로 계승한다. 라이덴판 이후 출판된 도마복음의 여러 번역판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라이폴트의 최초 번역과 그 전통은 베를린 그룹에 의해 계승되고 있고, 초판본은 라이덴판을 거쳐 메이어, 레이턴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 베를린 그룹 역시 이미 확고히 굳어진 도마복음의 말씀 번호의 혼돈을 우려하여 라이덴판과의 조화를 선택한 것 같다. 결국 학자들이 편의상의 목적으로 특별한 근거 없이 구분한 도마복음의 개별 말씀을 비록 말씀 단위로 이해되어져야 하는 말씀의 복음서라는 특성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개별 말씀의 내적 관계를 무리하게 이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외형상 학계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번호 매김을 자제했을 뿐, 실제 도마복음의 본문 이해에 있어서는 라이폴트를 시작으로 하는 최초 번역의 전통이 베를린 그룹을 통해 라이덴판 뿐 아니라, 그 이후 도마복음의 여러 영어 번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 도마복음의 실제 독자는 개별 말씀에 대한 면밀한 주석 작업을 통해 도마복음의 말씀을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를 통해 도마복음의 구성사에 대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enumeration of the logia in the various editions of the Gospel of Thomas. In 1958, J. Leipoldt first translated the whole of the Gospel of Thomas, dividing the logia of the Gospel of Thomas into 112 (113 including the unnumbered progue). The Editio Princeps, published belatedly the following year, ends with 114 logion numbers. In 1967, Leipoldt revised it almost like the numbering of Editio Princeps in the new critical edition, except that it maintained the integration of progue and logion 1. I suspect that after Leipoldt’s death, Hans-Martin Schenke, who compiled the posthumous manuscripts, chose to exclude the possible confusion with Editio Princeps. Because, as Leipoldt already mentioned in his first translation, the logion number of the Gospel of Thomas is for the convenience of quoting rather than for solid grounds. Then, the Leiden edition, recognized today a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Gospel of Thomas, effectively inherits the Editio Princeps as it is outwardly. There are several translations of the Gospel of Thomas published after the Leiden edition, but basically Leipoldt’s initial translation and its tradition are inherited by the “Berliner Arbeitskreis für Koptisch-Gnostische Schriften”, and the Editio Princeps is inherited by M. Meyer and B. Layton via the Leiden edition. The Berliner Arbeitskreis also seems to have chosen to harmonize with the Leiden edition for fear of the confusion of the already firmly established logion number of the Gospel of Thomas. Indeed, Berliner Arbeitskreis and the Institute for Antiquity and Christianity at Claremont University have had a long and close relationship and share a perspectiv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about individual logions. While someone may try to assign a new number based on a new text interpretation, the logia of the Gospel of Thomas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detailed exegesis of the text, so there is no need to add unnecessary confusion. What does all this mean after all? Even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Sayings Gospel to be understood by the unit of logion, it is not desirable for scholars to over-understand the internal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logion of the Gospel of Thomas, which was distinguished without special grounds for convenience purposes. The tradition of Leipoldt’s first translation refrained from new numbering to avoid confusion, but in fac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not only the Leiden edition through the Berliner Arbeitskreis, but also on the various English translations. Therefore, the actual reader of the Gospel of Thomas should understand the logia of the Gospel of Thomas by means of the detailed exegesis of the text and solve the problem of the Compositional History of the Gospel of Thomas.

      • KCI등재

        [번역논문] 복음서 기자에 대한 새로운 가설 : 복음서 기자를 세속 역사가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유병우(Byung-Woo Y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그리스도의 첫 추종자들은 오직 유대인들 뿐이었고, 다른 유대인들은 그들을 나사렛 사람(Nazarener)이라고 불렀다. ‘기독교인’(Christen)이라는 이름이 안디옥(Antiochia)에서 생겨나고 보편화된 지 오랜 후에도 팔레스타인의 유대 기독교인들(Palästinischen Judenchristen)이 나사렛 사람이라는 옛 이름을 훨씬 더 선호했다. 그렇다면 본래의 나사렛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죽음 직후에 사도들과 그리스도와 밀접한 관계로 살아온 모든 개인의 구술적 이야기를 통해서 발전된 그리스도의 생애와 가르침과 관련한 보도의 기록된 모음집을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해도 되지 않겠는가? 그 모음집은 무엇이라 불렸을까? - 내 생각에 그것은 정보를 제공한 초기 권위자의 이름을 따서 사도들의 복음서(das Evangelium der Apostel)라고 부르거나, 만들어진 모음집을 주로 사용한 사람들의 이름을 따서 나사렛 사람의 복음서(das Evangelium der Nazarener), 또는 히브리인의 복음서(das Evangelium der Hebräer)라고 불렸을 것이다. 또는 개선된 형태를 처음으로 제공하거나 더 알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기 원했던 이러저러한 개인의 이름을 따서 불렀을 것이다. 이처럼 마태복음서의 기록보다 더 오래된 그리스도에 대한 기록이 있었고, 그 30년 동안 그것은 그것의 저자들이 쓸 수 있었던 유일한 언어로 남아 있었다. 기독교가 이방인들 사이에 전파되고 히브리어나 그것의 새로운 방언을 전혀 모르는 많은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인격에 관하여 더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열망한 후에야, 그 나사렛 원자료(Nazarenische Quelle)로 돌아가서 사실상 완전히 문명화된 세계의 언어로 발췌하거나 번역하여 그토록 경건한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유용하다고 여겼다. The first followers of Christ were only a sect of Judaism, and other Jews called them Nazarenes. Long after the name “Christen” arose and became common in Antioch, the old name of Nazarene was much preferred by the Jewish Christians of Palestine. Could it not be assumed, then, that the original Nazarenes, shortly after Christ’s death, had a written collection of reports concerning the life and teachings of Christ, developed through the oral narratives of the apostles and of all individuals who had lived in close relationship with Christ? What was the collection called? - I think it was called the Gospels of the Apostles after the early authority who provided the information, or the Gospels of the Nazarenes, after those who mainly used the collection; or the Hebrew Gospels. Or it may have been named after one or another individual who was the first to offer an improved form or wished to express it in a more understandable language. Thus, there was a record of Christ older than that of Matthew, and for those 30 years it remained the only language available to its authors. Only after Christianity had spread among the Gentiles and many who knew nothing of Hebrew or its new dialect became eager to obtain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of Christ did they return to the Nazarenische Quelle. It was deemed necessary and useful to satisfy such pious curiosity by excerpts or translations into the languages of the world.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