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深河戰鬪의 名將 金應河와 『忠烈錄』 판화

        유미나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1

        This is an art-historical look into the woodblock prints of the Chungnyeollok published in memory of Kim Eung-Ha who was killed in action in the Sarhu Battle against Later Jin(後金) in 1619.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as published in 1621 to justify the fact that Joseon had been reluctant in sending reinforcements to Ming, and to defend the fact that Joseon troops led by Kang Hong-Nip(강홍립) surrendered to Later Jin. Meanwhile, the second edition of Chungnyeollok published in 1798 was a full synthesis of the all the efforts throughout Later Joseon Period to praise Kim Eung-Ha.In fact, the praise for Kim Eung-Ha wa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Fulfilling the Obligation to Ming (對明義理論) the Theory of Zhou-centered World (尊周論), and coincided with the identity of Joseon since the 17th Century. It was an effort to stay faithful to the fallen Ming, former ally, and to maintain at least in spirit the Ming-centered cultural order in East Asia. In such an intention, Joseon continued to praise the war dead, the loyal retainers, and the patriots who were victimized in Imjinweran(壬辰倭亂) or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war. That was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contributors to defending the regime and the state. Especially after the defeat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and the humiliating incident when Joseon king surrendered to Qing, China, Joseon people began to raise voices for revenge against Qing. The death of Kim Eung-Ha in the Sarhu Battle who had fought against Later Jin(Qing), got to carry greater meaning.The first and the second editions of Chungnyeollok each contains a portrait of Kim Eung-Ha, and four pieces of woodblock prints describing Kim Eung-Ha’s military actions, which are noteworthy examples of war painting. The prints in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ere designed after the Jeongchungnok, the book about the patriotic deeds of Yue-Fei (岳飛) of Southern Sung, China. The Jeongchungnok, which was published between 1522-1566 was imported to Joseon in 1584, and was republished in Joseon at the order of King Seonjo. Unlike the the books, Donggukshinsok 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or Hangeuishinpyeon (抗義新編) which also deal with the war veterans of Imjinweran, the fact that Chungnyeollok took Chungnyeollok as a model can be because they both praised the generalwho fought against the Jurchins.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유미나,이근매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4

        Purpose: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 of‘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steem of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Method: Sixteen patients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who have difficulty with hospital life are composed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offered a group art therapy for 90 minutes a day twice a week, totalling 10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Disability Acceptance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o compare their scores, with SPSS Window 18.0 used for t-test and paired t-test to identify the degree of significance. Results: Based 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f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boosting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Conclusion: Hopefully, the program can be developed into a practical program that can benefit thos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a clinical program for people with noncongenital-spinal cord injur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병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도척수장애인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주 2회씩 한회기당 90분으로 총 10회기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장애수용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유의미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과 대응표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도척수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도 장애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으로 힘든 중도척수장애인들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며 중도척수장애인들을 위한 임상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양양 낙산사 동종 보살상에 대한 회화사적 고찰

        유미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이 논문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발원하여 주성된 낙산사 동종 종신에 표현된 보살입상에 대한 회화사적 고찰이다. <낙산사종>은 1469년 왕실 발원으로 제작된 동종으로서 종신의 상단에 부조로 표현된 보살입상은 조선 전기 도화서 화원인 김중경과 이장손이 그린 것이다. 이처럼 도화서 화원이 제작에 동원되어 선묘의 보살입상 부조는 정교하고 세련된 표현을 특징으로 하며 조형적으로 우수하고 격조 높은 경지를 보여주었다. <낙산사종> 보살입상은 늘씬한 신체 비례에 방형에 가까운 상호와 또렷한 이목구비의 표현을 보인다. 연꽃 대좌 위에 두 발을 딛고 두 손을 모아 합장 자세를 하고 있다. 화염보주와 영락으로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착용하고, 당당하게 넓은 어깨에 천의를 걸치고 영락 장식과 조백 등 화려한 치장을 더하였으며, 흩날리는 천의에서는 동세가 느껴진다. <낙산사종>보살입상의 양식 특징을 불교 회화와 비교 고찰하여 그것이 고려말 불화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기도 하고 동시기 왕실 발원 불화에서 공유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낙산사종> 보살입상은 동시기에 제작된 왕실발원 동종인 <흥천사종>과 <봉선사종> 보살입상과 함께 화원의 능숙한 필치로 구현된 수준 높은 인물화 양식을 보인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하지만 제작에 임한 화원의 개인 양식 차이 또한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 흥미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낙산사종> 보살상은 이상적이고 안정된 조형과 시원스러운 힘찬 선묘로 완성된 기품있는 보살상으로서, 독보적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우수한 작품이라 보았다. 이에 주도적 역할을 한 화원은 이장손이었을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동종의 제작 공정과 재료의 성질을 잘 이해하여 이에 적합한 표현을 창출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artistic style of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aksansa Temple Bell was cast in 1469 under the royal patronage, and the Bodhisattva image, cast in relief on the side of the bronze bell, was designed by Kim Jung-gyeong and Yi Jang-son, who were court painters serving in Dohwaseo, the Painting Academy. The participation of court painters in the production of Buddhist Bell led to a highly refined and sophisticated artistic expression, demonstrating excellence in both form and composition.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exhibits a slender and well- proportioned figure with a square shaped face and clear-cut features. The figure stands on a lotus pedestal with hands clasped in prayer. The Bodhisattva wears a lavish crown adorned with Cinta-mani and beads, along with a gracefully draped robe over broad shoulders, featuring intricate ornamentation. The flowing drapery imparts a sense of movement. By comparing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Bodhisattva on the Naksansa Temple Bell with those depicted in Buddhist painting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nherits the tradi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from Goryeo Dynasty and shares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os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along with that on other contemporary royal court-sponsored temple bells such as the Heungcheonsa Temple Bell and the Bongseonsa Temple Bell, showcases a high level of figurative artistry executed by the court painters.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artistic styles of the painters involved in their creation also offer intriguing insights for art historical analysis. In particular,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stands out as an exceptional work with its idealized and stable form, as well as its refreshing and powerful line work.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outstanding pieces of its kind. The leading painter in this project is believed to have been Yi Jang-son, who demonstrat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nature of the bronze casting, creating an appropriate and exceptional style of expression.

      • KCI등재

        용의 비늘・푸른 수염― 촉각으로 보는 조선시대 소나무 그림

        유미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3 No.-

        회화에서 감각은 어떻게 수용되고 시각적으로 재현되었는가. 평면 예술인 회화의 특성상 시각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주된 역할을 해왔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근대기 회화에서의 촉각의 표현에 대해서 살피고자 한다. 조선시대 회화에서 촉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로서 필자는 소나무 그림을 대표적으로 꼽고자 한다. 소나무는 곧게 뻗은 줄기와 늘어진 가지가 주는 고고한 자태와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상록의 특성이 절개와 지조를 상징하여 예로부터 깊은 사랑을 받았다. 도연명이 유독 소나무를 어루만진 것은 소나무의 상징성을 공유하고자 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상징성 못지않게 소나무는 생태적으로 다양한 촉각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소나무 樹幹의 딱딱한 질감과 솔잎의 가늘고 뾰족한 생김새에서 소나무는 ‘붉은 갑옷, 푸른 수염’이라는 의미의 ‘赤甲蒼髥’ 혹은 ‘蒼髥紫甲’이라 불리었다. 특히 줄기의 표피는 용비늘에 비유되어 ‘龍鱗’이라 일컬어졌고, 푸른 수염의 나무라는 뜻의 ‘蒼髥樹’는 그 자체가 소나무의 이칭이었다. 이처럼 소나무는 ‘촉각’을 자극하는 요소를 풍부하게 지녔고, 이러한 요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재현했는지가 소나무의 이념적 상징 못지않게 작화 및 감상의 핵심이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면서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에서 ‘촉각’이 어떻게 인식되었고, 어떤 표현 방식으로 재현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피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ense of “touch” is expressed in pre-modern Korean paintings. It particularly focuses on pine tree paintings as they a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subject that evokes the sense of touch among the paintings of the Joseon era. Pine trees have been cherished for their dignified appearance with straight trunks and drooping branches, as well as their evergreen nature that retains its greenery even in winter, symbolizing longevity and integrity since ancient times. The reason Tao Yuan-ming(陶淵明) specifically embraced pine trees could be attributed to sharing the symbolic significance they hold. Notably, pine trees possess various tactile elements ecologically. From the rough texture of the trunk to the slender and pointed shape of its needlike leaves, pine trees were referred to as “red-armored, blue-bearded” (赤甲蒼髥) or “blue-bearded, purple-armored” (蒼髥紫甲), emphasizing the dragon scale-like appearance of the stem’s epidermis, which was likened to “dragon scales” (龍鱗). The term “blue-bearded tree” (蒼髥樹) itself was an epithet for pine trees. Thus, pine trees were rich in elements that stimulate the sense of touch, and effectively reproducing these elements would have been crucial in the paintings’ symbolism and appreci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ouch” was depicted and what meanings it carried in late Joseon pine tree paintings.

      • KCI등재

        생태민감지역 트레일 방문동기별 지각된 제약요인과 충성도 차이 - DMZ평화누리길 방문객을 대상으로 -

        유미나,김형곤,이정아,전진형,Yoo, Mi-Na,Kim, Hyoung-Gon,Lee, Jung-A,Chon, Jin-Hyung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1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생태민감지역인 DMZ에 위치한 평화누리길 트레일을 이용하는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방문동기에 따라 인식하는 제약요인과 충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10 DMZ 접경 트레킹 대회'에 참가한 트레일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317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방문동기에 따라 3가지 군집유형(우발적, 활동형, 생태체험형 방문객)으로 응답자들을 분류하였으며 군집유형간 트레일 이용에 관한 제약요인과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군집유형간 제약요인의 차이는 생태체험형 방문객들이 다른 두 군집유형에 비해 "심리적 제약" 요인에서 더 높은 제약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발적 방문객들이 트레일에 대한 충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체험형 방문객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연구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방문동기가 전반적으로 가장 강하고 생태체험 및 교육에 대한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생태체험형 방문객들은 트레일 자체에 대한 우려를 가장 많이 나타내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가장 높은 충성도를 지닌 집단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트레일 개발에 있어 이용객들의 세분화된 요구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tent to which visitors to the DMZ Pyeonghwa Nuri-gil Trail(located in one of the most Ecologically Sensitive Areas(ESA) of Korea) are motivated by perceived constraints and loyalty to the trai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of the '2010 DMZ Border Trekking Course', which resulted in collecting 317 valid responses. For statistical test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accidental, activity-driven, and nature-driven) by their motivation for the visit.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if the three groups differ in terms of the perceived constraints and loyalty to the DMZ Pyeonghwa Nuri-gil Trail.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e-driven visitor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psychological constraints" than accidental or activity-driven visitors. As for loyalty, accidental visitors displayed the lowest level of loyalty while nature-driven visitors indicated the highest level of loyalty. These results illustrate that nature-driven visitors not only have the strongest desire to experience and learn about ESAs but also possess the highest sense of loyalty to the trail. It can further be argued that nature-driven visitors are the ones with the greatest concern for the trail's well-being. The paper concludes with the contention that understanding the demand and characteristics of trail visitors is critical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tr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