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수-시점’ 사진 표현에 관한 연구: 윤창수 《주인공 프로젝트》 작품 중심으로

        오진영,김창주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 analyze the expression of multi- viewpoint (multiple vanishing points) attempted by Yoon, Chang-su’s 《Star Project》 and to present its creative significance. The work raises new questions about three things: 1. The law that the art itself takes for granted; 2.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conformity to the object; 3. The perception of the depth between objects as a proportional width. In order to solve those themes, a conceptual analysis was attempted by fusion of aesthetics and medicine. Since this study belongs to collage/photomontage, which is a major genre of modernism art in round terms, we looked for expressive significance by referring to the discussion of Cézanne and Merleau-Ponty. What’s special about our research is the critical consilience for aesthetics and medical concept.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photographic expression of multi-viewpoint coheres with the 《Star Project》’s presentation.

      • KCI등재

        우크라이나 밀 재배 면적 및 수량의 공간적 변이 평가를 위한 기후적합도 모델의 활용

        오진영,현신우,현승민,김광수 한국농림기상학회 202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6 No.1

        우리나라는 수요 곡물의 대부분을 수입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주요 곡물 수출 국가의 재배 면적과 생산량 예측을 통해 식량안보를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밀 주요 수출국인 우크라이나를 대상으로 재배지역의 변화 전망을 파악하는 것이 장기적인 밀 수급에 대한 미래 정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기후적합도를 예측하는 Fuzzy Union 모델을 사용하여 과거 기후조건(1970∼2000)에서 우크라이나 지역의 밀의 기후적합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우크라이나 통계청으로부터 밀 생산량과 재배면적 통계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작물의 재배면적과 수량에 대한 공간자료인 EarthStat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델로 계산된 기후적합도와 밀 관측 지점과 비교하여 임계값을 설정하였다. EarthStat 자료와 실제 관측자료를 비교한 결과 일정 지역에서 재배 면적과 수량이 일치하지 않는 지역들이 존재하였다. 과거 기후 조건에서 산출된 기후적합도의 경우에도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의 서북부 지역에서 0.8 이상의 높은 기후적합도의 분포를 보였으나 동남부 지역에서는 0.15 수준의 낮은 기후적합도를 보였다. 그러나, 기후적합도의 행정구역별 통계량과 실제 밀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 일정 수준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특히,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기후적합도의 상관계수는 0.647로 중위 정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적합도를 활용하여 재배면적 추정 및 단위면적당 수량 예측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It would be advantageous to predict acreage and yield of crops in major grain-exporting countries, which would improve decisions on policy making and grain trade in Korea. A climate suitability model can be used to assess crop acreage and yield in a region where the availability of observation data is limited for the use of process-based crop mode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mate suitability index of wheat by province in Ukraine, which would allow for the spatial assessment of acreage and yield for the given crop. In the present study, the official data of wheat acreage and yield were collected from the State Statistics Service of Ukraine. The EarthStat data, which is a data product derived from satellite data and official crop reports, were also gathered for the comparison with the map of climate suitability index. The Fuzzy Union model was used to create the climate suitability maps under the historical climate conditions for the period from 1970 to 2000. These maps were compared against actual acreage and yield by province. It was found that the EarthStat data for acreage and yield of wheat differed from the corresponding official data in several provinces. On the other hand, the climate suitability index obtained using the Fuzzy Union model explained the variation in acreage and yield at a reasonable degree. For examp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limate suitability index and yield was 0.647.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climate suitability index could be used to indic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creage and yield within a region of interest.

      • KCI등재

        키어절을 이용한 새로운 한국어 구문분석

        오진영,차정원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 No.

        A syntactic parsing that captures a sentence structure and roles of words in a sentence is a key step of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based and the graph based parsing are representative methods in dependency parsing. The transition based parsing has relatively many long dependency errors, whereas the graph based parsing has relatively many short dependency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captures a sentence structure for improving sentence level performance effectively. We propose the concept of a key eojoel to capture sentence structure. First, we recognize key eojoels of sentences and then parse sentences using a key eojoel under cascaded chunking method. At the experiment using Sejong21 syntactic corpora, we achieve 3% sentence level performance improvement. From the result, we can see a key eojoel is an effective tool in captur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reventing error propagation. 구문분석은 문장 구조와 문장 성분을 파악하는 작업으로써 언어이해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의존구조 구문분석 방법에는 트랜지션 방법과 그래프 방법이 대표적이다. 트랜지션 방법은 루트에서 먼 곳의 성능이 좋으나 문장 구조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에 그래프 방법은 문장 루트에서 가까운 부분에서 성능이 높으나 멀어질수록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지션 방법의 장점에 문장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문장구조를 인식하기 위해 ‘키어절’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인식과정을 거친다. 인식된 키어절을 구문분석의 자질로 사용하는 방법, 키어절을 위한 수정 모델 실험을 하였다. 세종 구문 코퍼스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3%의 문장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이 실험결과는 키어절을 사용하는 것이 문장 구조를 인식하고 오류전파를 막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빈곤선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

        진영(Moon, Jin-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6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제정된 1999년부터 최저생계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빈곤’과 ‘공공부조제도’에 대해서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최저생계비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수준에 대해서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보수진영 사람들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들에게도 지나치게 높은 최저생계의 수준을 보장함으로써 근로의욕을 감퇴시켜서 빈곤의 덫에 빠지게 한다고 공격하고 있다. 한편으로 진보 진영에서는 현재 최저생계비의 수준이 헌법에서 규정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에 턱없이 낮기 때문에 대폭적으로 상향조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같은 빈곤이라는 현상과 최저생계비의 수준을 놓고서 이념에 따라서 전혀 상반된 해석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견 차이가 한 단계 높은 빈곤논쟁으로 발전하지 않은 채, 이념적 공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 사회가 복지국가를 지향한다면 빈곤에 대한 논쟁을 비켜갈 수 없다. 최저생계의 보장이 복지국가의 도덕적 토대라면, 최저생계비는 바로 복지국가의 문을 여는 열쇠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빈곤선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5가지 측정방식(정책빈곤선, 가계표준예산 빈곤선, 통계적 빈곤선, 주관적 빈곤선, 박탈지표 빈곤선)을 설명하고, 각 측정방식을 과학성, 자의성, 측정편의성, 제도정합성, 발전가능성이라는 기준으로 비교할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장에서는 빈곤선과 최저생계비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제3장에서는 빈곤선 측정의 역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본문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5가지의 빈곤선 측정방식의 성격을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빈곤선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Korean society entered the era of social rights with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1999) which guarantees the minimum living standards for all, irrespective of their age, sex, and working ability. At the heart of social rights lies the minimum cost of living (poverty line) in that it works as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with the guideline for benefits as well. In other words, it is the key to open the gate of the welfare state. Thu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re has been fierce debate on the amount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between market liberals and progressive commentators since its enactment of 1999.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e debate was mired in exhaustive ideological brawls. It has not yet developed to productive debate with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paper purports, first of all, to explain five different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administrative lines, budget standards, statistical lines, subjective lines, and deprivation indicator, and secondly, to compare and evaluate them into five perspectives (scientific validity, non-arbitrariness, convenience to measure, conformity to program, and prospect to develop). For this purpose, the 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 of poverty line and the minimum cost of living stipulated in the Act and, consequently the chapter 3 deals with the history of poverty studies since the monumental social research of S. Rowntree in 1899. The chapter four compares and evaluates the five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poverty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 KCI등재

        난시 미교정이 원거리 LogMAR 시력에 미치는 영향

        오진영,정수아,정형렬,이동엽,김현정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근시성 약도 직난시안을 대상으로 하여 미교정된 난시가 원거리 LogMAR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 병력 및 안과적 수술 경력이 없고 등가구면굴절력 SE-6.00 D 미만, C-1.00 D 이하의 직난시를 가지는 20대 성인 남녀 19명(평균나이 23.00±1.92세), 23안을 대상으로 C-0.00 D 미교정, C-0.25 D 미교정, C-0.50 D 미교정. C-0.75 D 미교정, C-1.00 D 미교정 상태에서 명소시(85 cd/m2) 조건과 박명시(3 cd/m2) 조건에서 원거리 LogMAR 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조도면에서 볼 때 원거리 LogMAR 시력은 난시 미교정량의 정도에 상관없이 명소시 보다 박명시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난시 미교정량이 증가할수록 명소시와 박명시 조건 모두에서 원거리 LogMAR 시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명소시는 C-0.75 D 이상, 박명시는 C-0.50 D 이상의 미교정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조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난시 미교정량이 증가할수록 원거리 LogMAR 시력이 감소하므로 약도 난시이더라도 주된 작업 환경의 조도가 낮을 경우 완전교정을 권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