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수-시점’ 사진 표현에 관한 연구: 윤창수 《주인공 프로젝트》 작품 중심으로

        오진영,김창주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 analyze the expression of multi- viewpoint (multiple vanishing points) attempted by Yoon, Chang-su’s 《Star Project》 and to present its creative significance. The work raises new questions about three things: 1. The law that the art itself takes for granted; 2.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conformity to the object; 3. The perception of the depth between objects as a proportional width. In order to solve those themes, a conceptual analysis was attempted by fusion of aesthetics and medicine. Since this study belongs to collage/photomontage, which is a major genre of modernism art in round terms, we looked for expressive significance by referring to the discussion of Cézanne and Merleau-Ponty. What’s special about our research is the critical consilience for aesthetics and medical concept.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photographic expression of multi-viewpoint coheres with the 《Star Project》’s presentation.

      • 1930年代모더니즘 論爭에 대한 -考察

        진영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牛岩斯黎 Vol.5 No.-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의 문단 탄압이 극에 달하자 문단의 주 류를 이루었던 카프진영은 위축되어 쇠퇴기에 접어 들었다. 카프진영 은 새로운 문학 비평 방법론을 모색하였으나 문학비평을 더욱 위축시 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와중에 시문학파, 모더니즘계열 등의 대항적 의미의 문학논의가 표면화 된다. 넓은 의미에서 김기림을 중심으로 한 이들은 주로 20년대 감상적 낭만주의 문학과 20년대 후기 계급문학의 편내용주의에 대한 반작용 으로 생겨난 것이었다. 그러나 전대문학의 시론을 부정하고 기술,기교 를 중시한 결과, 형식에 치중하는 과오를 노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 으로 인해 기교주의로 몰리어 비판받게 되었고 기교주의 논쟁을 야기 시켰다. 이 논쟁에서 김기림은 기본적으로 문학을 이원론으로 보고, 형식우위의 논리에서 자신의 논리를 수정하여 시대정신(현실)과 기술 (기교)의 조화를 주장하는 전체시론으로 발전하게 된다. 임화 역시 내 용과 형식의 이원론에서 변증법적인 통일을 주장, 내용우위의 논리를 개진한다. 표면적으로는 이 두 논리가 많은 상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상호 절충적인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후 임화는 어느 정도 김기림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그 후 이상과 박태원의 소설을 중심으로 최재서, 김기림, 안회남- 백철, 임화, 한효 등의 모더니즘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모더니즘에 대한 평가기준의 상이 함을 그대로 노출시킨 것이었다. 그것은 첫째, 현실에 대한 적극성 결 여, 둘째, 모랄의 결여, 셋째, 반영론적 원리에 입각한 이념부재 등이 다. 이러한 평가기준의 상이함은 당시 전형기적 문단의 특수한 상황 에도 있겠지만, 이 논쟁의 반대론자들이 리얼리즘계열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논리에서 모더니즘 소설을 볼 때, 소설 형식이 보이는 의미론 적 구조가 자연 <리얼리즘>에 귀결될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 다. 임화 등 카프계열 비평가들은 다음 해 다시 이 모더니즘 소설들의 의의를 재평가하는 집착과 의욕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그 문학들의 퇴폐성과 개인주의적 모습이 긍정되고 계승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보인다. 그러나 임화의 이런 모더니즘 부정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은 모더니즘 소설도 현실과 전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모더니즘 소 설도 하나의 역사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인정받게 된 계기가 되었다. 위에서 논의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계를 통해 볼 때 1930년대 문단은 리얼리즘/모더니즘의 대립구조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 라 표면상 상호대립구조 속에서도 서로의 이론을 보완해 가며 일정한 문학적 성과들을 이루어 나간 시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설득 기술(DPT)과 자율성 침해에 대한 윤리적 분석 -‘스마트폰=슬롯머신’, 넛지, 디지털 아비투스 중심으로

        오진영,천명주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5 인문논총 Vol.67 No.-

        본 논문은 디지털 설득 기술(Digital Persuasive Technology, DPT)이 간헐적 보상 구조와 시각적 넛지를 매개로 사용자의 인지 체계에 침투하여 자율적 판단 능력을 체계적으로 약화시키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규명한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을 ‘슬롯머신’에 비유함으로써 도파민 감작과 전전두엽 기능 저하로 이어지는 인지적 조건화의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해명하고, 이러한 설계가 사용자를 능동적 소비자가 아닌 조건반사적 행위자로 전환시킨다는 점을 밝힌다. 나아가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을 확장한 ‘디지털 아비투스’ 이론을 통해, 반복된 플랫폼 상호작용이 외재적 설계 논리를 주체 내부의 인식도식으로 내면화함으로써 자율성이 실질적으로 붕괴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이러한 구조적 침해가 개인의 자기 통제력‧비판적 사고 능력을 잠식할 뿐 아니라 사회적차원에서 주의력 공유지를 고갈시켜 민주적 숙의와 공적 합리성을 위협한다는 점을 윤리적으로 논증한다. 결론적으로, 정보 보호나 사생활 문제에 국한된 기존 디지털 윤리담론을 넘어, 인간의 사유 가능성을 수호하고 확장하기 위한 규범적·정책적 개입과 비판적 사고 교육의 재구성이 필수적임을 역설한다.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s how Digital Persuasive Technology (DPT) systematically undermines users’ autonomous judgment. by infiltrating their cognitive architecture through mechanisms such as intermittent reward structures and visual nudges. By framing the smartphone as a “slot machine,” this paper elucidates how algorithmically designed reward unpredictability triggers dopaminergic sensitization and suppresses prefrontal control, thereby reconfiguring decision-making from reflective deliberation to conditioned stimulus-response. Building on Bourdieu’s framework, this article theorizes a digital habitus as the iterative internalization of algorithmically orchestrated design logics, gradually misrecognized as self-generated cognitive schemata. This process transforms reflective agents into conditioned responders within pre-structured environments, thereby undermining self-regulation and critical reasoning while eroding the attentional commons essential for democratic delib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dvocates a reorientation of digital ethics—beyond the narrow purview of privacy—towards normatively grounded regulation and a renewed pedagogy of critical thinking. Such a shift aims to expose and resist the algorithmic preconfiguration of cognition, thereby safeguarding cognitive sovereignty in an age of pervasive persuasive design.

      • KCI등재

        난시 미교정이 원거리 LogMAR 시력에 미치는 영향

        오진영,정수아,정형렬,이동엽,김현정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근시성 약도 직난시안을 대상으로 하여 미교정된 난시가 원거리 LogMAR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 병력 및 안과적 수술 경력이 없고 등가구면굴절력 SE-6.00 D 미만, C-1.00 D 이하의 직난시를 가지는 20대 성인 남녀 19명(평균나이 23.00±1.92세), 23안을 대상으로 C-0.00 D 미교정, C-0.25 D 미교정, C-0.50 D 미교정. C-0.75 D 미교정, C-1.00 D 미교정 상태에서 명소시(85 cd/m2) 조건과 박명시(3 cd/m2) 조건에서 원거리 LogMAR 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조도면에서 볼 때 원거리 LogMAR 시력은 난시 미교정량의 정도에 상관없이 명소시 보다 박명시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난시 미교정량이 증가할수록 명소시와 박명시 조건 모두에서 원거리 LogMAR 시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명소시는 C-0.75 D 이상, 박명시는 C-0.50 D 이상의 미교정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조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난시 미교정량이 증가할수록 원거리 LogMAR 시력이 감소하므로 약도 난시이더라도 주된 작업 환경의 조도가 낮을 경우 완전교정을 권장한다.

      • WCDMA 시스템에서 RLC 상태 보고 리포트 성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오진영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WCDMA 시스템에서 radio link간에 data를 주고 받고 신뢰성 있는 data를 검증하는 layer가 RLC이다. RLC에서는 전송 측에서 전송한 data가 수신 측에 잘 전송이 되었는지 status report를 확인을 받고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재전송을 한다. 재전송 메커니즘에는 poll 및 status 관련 timer가 존재하면 이러한 파라미터값을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data의 재전송으로 인한 radio resource 낭비 및 시스템 throughput에 영향을 준다.

      • KCI등재

        비판적 기호학 역량 증진을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방안 : ChatGPT4.0(4o) 커스텀 기능을 활용한 교양교과 <생성형 AI와 인문예술의 만남> 수업 사례

        오진영,정용수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4 교양학연구 Vol.- No.28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ntegra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Generative-AI in Liberal Arts Education by designing a customized AI chatbot using OpenAI’s ChatGPT4.0(4o). The core of the research is to verify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I within the framework of mythological semiotics. The first section establishes a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Roland Barthes’ Theory, emphasizing the value of visual literacy and critical semiotics in Liberal Arts. Barthes’ Mythologies provides critical insights into how visual media construct reality and perpetuate cultural myths. This theoretical foundation leads to the application of AI in educational contexts to promote the critical thinking. The second section details the design process of a custom AI model called the “Mythology Analyzer.” This model helps students critically analyze advertising images based on Barthes’ critical semiotics by providing personalized automatic feedback. This tool was introduced in the course <The Encounter of Generative AI and Humanities and Arts>, contributing to enhancing student engagement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third section reports the empirical results of that course,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ythology Analyzer AI Chatbot” in promoting visu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experienced significant educational outcomes, such as critically analyzing media messages and expanding their thoughts, and discuss challenges such as balancing Human-AI interaction to prevent over-reliance on technology. Overall, this study validates that AI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through customized design and specific feedback. It suggests that integrating AI chatbots into education for ‘AI literacy’ is a valuable tool in the field of EDU-TECH. This integration assists in tackling and evaluating the challenges of digital soc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