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내 곡률 반경에 적용 가능한 플렉서블 표면파 공진기 실험 연구

        공진우(Jin-Woo Kong),이학곤(Hak-Gon Lee),김학선(Hak-Sun Kim),김부영(Bu-Young Kim),심우성(Woo-Seong Sh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연구는 선박의 내부의 비금속 재질 등으로 인하여 표면파 공진기의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플렉서블기판을 이용한 표면파 공진기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제작 및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설계 제작된 플렉서블 공진기의 곡면구조에서 실험한결과 평면구조에서 평면형 공진기보다 성능은 열화되지만, 곡면구조에서 평면형 공진기 대비 높은 전송속도를 확인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평면형 표면파 공진기가 부착되기 어려운 구조물에서도 금속체 표면파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선실 선교 등내부가 비금속 포장재로 되어 있는 공간에서도 내부의 연결된 금속 파이프를 통해 선박 전 구간에서 최적의 금속체 표면파 통신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erformance of flexible surface wave resonators in spaces on a ship to overcome environmental limits like non-metallic walls where conventional surface wave resonators cannot installable. Although test results in plane structure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surface wave resonators are better than the flexible ones, the results are reversed in curved structures. Flexible surface wave resonators can be installed on metal-pipes that connects all spaces in a ship, and this will allow to build ultimate communication network all over the ship including the rooms like cabins or bridges that are enclosed in non-metallic walls.

      • KCI등재후보

        고령의 복통 환자에서 발견된 소장의 위장관 간질 종양 천공 1예

        오공진,황종호,이호영,편성익,신재규,박호준,채철병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4

        Acute abdominal pain as a common complaint in elderly patients may differ from that in younger patients. In elderly patients, the diagnostic accuracy of acute abdominal pain is lower compared to that in younger patients. On the other hand, the mortality in elderly patients with acute abdominal pain is far higher than that in the younger patients. Therefore, early and correct diagnosis of acute abdominal pain for the elderly patients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utcome.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case of a 84-year-old man with a ruptured small bowel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who presented at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acute abdominal pain. Laparotomy was performed because perforation of a tumor in the jejunum was found by computed tomography. Diagnosis was confirmed by histopathology and immunohistochemistry. Therefore, small bowel disease should be considered when exploring the cause of acute abdominal pain in elderly patients.

      • 고령의 복통 환자에서 발견된 소장의 위장관 간질 종양 천공 1례

        오공진,황종호,편성익,신재규,박호준,채철병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1

        Acute abdominal pain is a common presenting complaint in elderly patients. Presentation may differ from that of the younger patient and is often complicated by coexistent disease, delays in presentation, and physical and social barriers. In elderly patients, the diagnostic accuracy is lower and the mortality far higher than the younger patients. In the geriatric population, biliary tract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bdominal pain, followed by malignancy, bowel obstruction, complicated peptic ulcer disease, incarcerated hernia, non-specific pain. Early and correct diagnosis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acute abdomen is critical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outcome.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case of a 84-year-old man with a ruptured small bowel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who presented emergency department with presentation of acute abdomen. Laparotomy was performed, since perforation of a tumor in the jejunum found by computed tomography. Diagnosis is confirmed on histopathology and immunohistochemistry. We recommend to consider small bowel disease when exploring the cause of acute abdominal pain in elderly patients.

      • KCI등재

        스피노자와 애국심

        공진성(Jin Sung Gong)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4

        이 글은 스피노자의 철학과 정치이론에서 애국심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탐구한다. 스피노자에게 사랑은 자기보존을 위해 노력하는 인간의 본성과 관련된다. 인간은 자기보존에 유익한 것을 (또는 그렇다고 여기는 것을) 사랑한다. 이 사랑은 자기보존을 위한 합리적 노력인 이성적 사랑과 비합리적 노력인 열정적 사랑으로 구별된다. 이런 본성에서 인간은 자신의 본성과 가장 유사한 본성을 지닌 존재인 다른 인간과 결합한다. 이것이 스피노자가 생각하는 국가의 발생 원인이며 자기애를 넘어선 동료애와 애국의 이유이다. 이성적 인간은 국가의 명령에 순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보존하려고 한다. 스피노자에게 이성적인 인간은 자유인이며 또한 애국자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언제나 이성적이지는 않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인간의 공동체적 결합을 위해 이성 외의 다른 수단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국가와 민족이라고 하는 상상적 계약의 단위이고, 그것의 유지를 쉽게 해주는 것이 바로 시민종교이다. 스피노자의 정치사상에서 애국심은 시민종교와 필연적으로 결합하며, 그것에는 분명히 민족주의적 한계가 있다. 국민국가의 틀 안에 머무는 스피노자적 애국심은 배타적이고 적대적인 이해관계를 가진 국가들로 구성된 17세기 유럽 국제사회의 산물이다. This article is about patriotism in Spinoza’s philosophy and political theory. For Spinoza, love is an affect related to human nature of endeavoring for self-preservation. One loves what is (or seems to be) beneficial to one’s self-preservation. Rational, intellectual love and irrational, passionate love can be distinguished by its real usefulness for one’s self-preservation. One makes association with others who are most similar with one in nature. This is the cause from which the state is generated and for which one loves one’s compatriots and one’s country. As rational being one endeavors to preserve oneself by obeying laws of one’s country. Therefore a rational man is, for Spinoza, not only a free man, but also a patriot. It is necessary for men to be led by imaginative way, because not all men are always led by reason. National identity and civil religion are the result. Spinoza’s patriotism has nationalistic limit, but it is not from his thought itself, but from hostile struc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which Spinoza and the Hebrews lived.

      • KCI등재

        기대가치 이론을 이용한 중학생의 무용수업 참여 예측모형 검증

        공진희 ( Jin-hee Gong ) 대한무용학회 2018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6 No.5

        The purpose of this exemption is to verify the expectancy, the ability beliefs on middle school students that have perceiv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 by applying the Expectancy-Values Theory (Eccles & Wigfield, 1995) in dance classes. 444 students of Middle school (male=81, female= 363) have replied on the questionaries for measuring the expectancy, the ability beliefs, and a class attendancy. The statistics are analyzed by the use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e-way multivalent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 of the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 The importance and utility awareness of dance classes does not impact on students’ faith in the ability. Second, the ability beliefs on students regarding the dance impacts on a class attendance statistically. Third, the intrinsic motivation on students regard dance classes stimulates on their ability beliefs, thus it impacts on the level of class attendance statistically. This result presents the importance of fulfilling their intrinsic motivation about dance classes in order to le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and make greater efforts in the classes.

      • KCI등재

        장애인 선거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공직선거법상 거소투표절차의 개선방안 연구

        공진성(Kong, Jin-Seo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21 공법학연구 Vol.2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장애인의 선거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공직선거법상 거소투표절차의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거인이 거소에서 우편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거소투표절차는 투표소투표를 하기 어려운 자들이 투표를 포기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통선거원칙에 기여하는 투표방법이다. 따라서 거소투표절차는 투표소투표를 하기 어려운 자를 위해 가능한 거소투표사유의 범위를 확대하면서,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절차적 보완을 하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병원․요양소에 거주하는 선거인, 장애인거주시설에 거주하면서 거소투표의 요건을 갖춘 선거인은 투표소투표를 할지 또는 거소투표를 할지 여부에 대한 투표방법결정권을 가진다. 이를 위해 시설의 장에 대해 투표방법과 절차에 대해 시설투표자에게 안내해야 할 의무를 부과하고, 시설의 장이 시설투표자의 의사에 반하여 투표방법을 결정하지 못하도록 제재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직선거법은 신체장애를 이유로 한 거소투표사유를 신체에 중대한 장애가 있어 거동할 수 없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다. 그런데 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거동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거동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정신적․신체적 장애로 인해 투표소투표가 현저히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들이 투표를 포기하지 않도록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여 거소투표사유의 범위를 확대하여야한다. 넷째, 공직선거법은 시설투표의 경우 다중이 같은 장소에서 투표한다는 점에서 투표소투표와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지만, (투표소투표의 경우와는 달리) 선거관리위원회가 직접 투표절차를 관리·감독하는 규정을 두지 않고, 임의적 투표참관인제도만을 두고 있다. 시설거소투표의 경우도 비밀․자유선거원칙을 보장하기 위해 선거관리위원회가 직접 투표절차를 관리․감독하고, 의무적 투표참관인제도를 두도록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공직선거법은 투표소투표에서 시각장애인에 한하여 투표보조용구 등을 제작․사용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투표소투표든 거소투표든) 투표방법을 불문하고, 시각장애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에 상응하는 투표보조용구 등의 제작․제공에 관한 법적 근거를 공직선거법에 두어야 한다. 특히 거소투표소에서 장애인을 위한 투표보조용구는 원칙적으로 투표소투표와 동일하게 제작․제공될 수 있도록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여섯째, 공직선거법은 투표소투표에 한하여 투표보조인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거소투표에서 투표보조가 아무런 공적 관리절차 없이 방치되어서는 안 되므로, 공직선거법에 투표보조인절차에 관한 규정을 두어야 한다. 또한 투표보조인절차를 이용할 수 있는 자의 범위도 스스로 기표할 수 없는 신체적 장애인뿐만 아니라, 정신적 장애, 질병이나 고령 등의 사유로 투표절차를 스스로 진행하기 어려운 자까지 확대시켜서 보통선거원칙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the vote-at-abode procedure for disabled persons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 Act”)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ir suffrage.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vote-at-abode procedure, which allows voters to perform mail-in votes at the place of residence, prevents those who have difficulty casting votes at the vote-at-polling-station from giving up voting, thereby contributing to the universal principle of voting. Thus, it is desirable that the vote-at-abode procedure be improved in the way that it should be procedurally supplemented so as to alleviate the side effects while expanding the range of possible reasons for vote-at-abode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performing vote-at-polling-station. Second, voters who live in a hospital, sanatorium, or in a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and can meet the vote-at-polling-station requirements, should be free to decide whether to choose between vote-at-polling-station or vote-at-abode. To this end, the head of the facility should be obligated to guide voters-at-facility on the voting method and procedure, and sanction measures need to be established to prevent the head from deciding on the method of voting for voters-at-facility against their will. Third, the Act restricts vote-at-abode reasons to cases in which the person is unable to move due to a serious disability.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move due to mental disorders, and although physical movement is not impossible, there are cases in which vote-at-polling-station is remarkably difficult due to mental or physical disabilities. The Act should be amended to expand the scope of vote-at-abode reasons so that they do not give up voting. Fourth, the Act provides that, unlike the vote-at-polling-station, in the case of vote-at-facility, which has a similar nature to the vote-at-polling-station whereby many people vote a certain same place, the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the Committee”) does not directly supervise the voting procedure, but only indirectly supervise the procedure through the voluntary Voting Observer System. In the case of vote-at-facility, the Act should be amended so that the Committee should directly supervise the voting procedures and that a mandatory Voting Observer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secret and the free principle of election. Fifth, the Act stipulates that, only for persons with vision impairment, voting aids can be made and used at a vote-at-polling-station. Regardless of the voting methods (vote-at-polling-station or vote-at-abode), a legal basis for the production and provision of voting aids for not only visual impairments but other various disabilities must be established in the Act. In particular, the Act should be amended so that vot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can in principle be produced and provided in the same way as vote-at-polling-station even in the case of vote-at-abode. Sixth, the Act stipulates the voting assistant procedure only in the case of vote-at-polling-station. In the case of vote-at-abode, the voting aids should not be neglected without any public procedure, and regulations on voting assistant procedur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Act. In addition, the scope of those who can use voting assistant procedures should be expanded to not only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ho cannot mark ballot paper, but also those who have difficulty undergoing the voting procedures on their own due to mental disorders, illness, old age, or the like so as to implement the universal principle of election.

      • KCI등재

        재외국민 보호에 관한 헌법적 고찰 - 특히, 헌법상 재외국민보호의무와 외교적‧영사적 기본권보호의무를 중심으로

        공진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가천법학 Vol.13 No.3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s of Korea as a state in relation to the protection of and support for Korean people outside of the territory of the country (overseas residents in a broad sense) can be discussed based on two important pillars. The first is the obligation to protect Korean nationals overseas based on Article 2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second is the diplomatic and consular state obligation to protect the basic rights. First, according to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is Article, the overseas Koreans who must be protected under Article 2 (2) of the Constitution are those Korean nationals (overseas Korean nationals in a narrow sense) who have resided in a foreign country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details of protection include: ① the diplomatic and consular protection to ensure that Koreans overseas are treated properl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s and the laws of the country of their residence while they have resided in that foreign country; and ② the provision of beneficial support for those Koreans, considering their residence overseas, so that they can realize their social integration as Korean national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ir domestic and foreign activities. Second, since the diplomatic and consular state obligation to protect the basic rights of overseas Korean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ate power must be bound to the basic rights of the nationality (even if the nationality stays outside of Korea's sovereignty over territory), those who must be protected include all Korean nationals overseas (overseas Koreans in a broad sense) (regardless of the causes or purposes of their residence in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the protection is that the state should protect the basic rights of Korean nationals through the diplomatic and consular means in the event of infringement on their basic rights outside the country's sovereignty over the territory. On the other hand, the details of diplomatic and consular protection among the contents of the state's constitutional protection obligation for overseas nationals are overlapped with the contents of the diplomatic and consular obligations of the state to protect basic rights. However, the latter, unlike the former which focuses on the protection of and support of overseas Koreans in a narrow sense, directly targets overseas Koreans in a broad sense, and the violation of the obligation causes the infringement of their basic rights. Theoretically, the latter is distinguished from the former in that a subjective civil rights corresponding to the protection obligation can be derived. 대한민국 영역 밖에 있는 우리 국민(넓은 의미의 재외국민)에 대한 국가의 보호‧지원과 관련된 헌법상 국가의 의무는 두 개의 중요한 축을 중심으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는 헌법 제2조 제2항에 근거한 재외국민보호의무이고, 둘째는 국가의 외교적‧영사적 기본권보호의무이다. 먼저, 헌법 제2조 제2항의 재외국민보호의무의 보호대상은 본조항의 연혁적 해석상 외국에 장기 거주하는 교민인 국민(좁은 의미의 재외국민)이다. 또한 그 보호내용은 ① 이들이 체류국에 있는 동안 국제법과 체류국의 법령에 의해 정당한 대우를 받도록 하는 외교적‧영사적 보호와 ② 외국에 생활의 근거지를 둔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민으로서 이들의 사회통합을 실현하고, 국내외 활동의 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베푸는 시혜적인 지원을 말한다. 다음으로, 헌법상 국가의 외교적‧영사적 기본권보호의무는 (국적자가 영토고권이 미치지 않는 곳에 있다고 하더라도) 국적자의 기본권에 국가권력이 기속되어야 한다는 점에 근거하므로 그 보호대상은 (체류원인이나 목적과 상관없이) 외국에 있는 모든 국민(넓은 의미의 재외국민)이다. 또한 그 보호내용은, 국가의 영토고권이 미치지 않는 외국에서 발생한 국민의 기본권침해상황에서, 국가가 외교적‧영사적 수단을 통해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헌법상 재외국민보호의무의 보호내용 중에서 외교적‧영사적 보호의 내용은 국가의 외교적‧영사적 기본권보호의무의 내용과 중복되는 측면이 있으나, 후자는 좁은 의미의 재외국민의 보호·지원에 중점이 있는 전자와는 달리 넓은 의미의 재외국민을 직접적인 보호대상으로 하고, 그 의무위반이 기본권적 보호법익의 침해를 야기하며, 이론적으로 그 보호의무에 상응하는 주관적 공권이 도출될 수 있다는 점 등에 있어 전자와 구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