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제와 종합부동산세에 관한 연구

        양충모 대한지방자치학회 2008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0 No.2

        조세법은 그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재정목적 조세와 정책목적 조세로 구분할 수 있다. 재정목적 조세에 있어서는 납세자들 사이에 조세를 평등하게 배분할 것이 요구되고, 정책목적조세에 있어서는 조세가 추구하는 목적에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과 과잉금지원칙이 준수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합부동산세법은 부동산 투기억제라는 정책목적과 지방재정확충이라는 재정목적이 등가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법논리 내지 제도논리 자체에 내재된 모순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모순으로 인하여 오히려 지방재정을 열악하게 할 위험이 상존할 수 있다. 또한 종합부동산세는 지방세를 국세로 전환하여 운영하게 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고권, 자기책임성, 전권한성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시정하기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A composite real estate tax forms a part of real estate speculation control policy and financial affairs of local government.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existing composite land tax, which is tax sources of city and county in the local autonomous entity makes duality, which they levy land tax and central government collects national tax of a composite real estate tax that central government sorts excessive holders of real estate and imposes them the progressive taxation. But the government's policy are contrary to each other, which is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to realize local self-government and establishment of a composite real estate tax as national tax to control real estate specul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tax will not impact negative effects on the independent finance resources of the local governments. Property taxes such as "Comprehensive Real Property Tax" imposed on the speculation are only ex post measures, which means that taxes were not properly functioned as anti speculation measures. The tax resources will be newly designed and properly reallocated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f government introduces a composite real estate tax, the subject of this tax's management has to be not central government but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to be corresponded to basic idea of local self-government.

      • KCI등재

        IT기반 융합기술의 발전과 효과적인 개인정보보호 방안

        양충모 한국공법학회 2012 공법연구 Vol.41 No.1

        Dem Vorbild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Japan ist in Süd-Korea auch zum 29. März 2011 das Gesetz über den einheitlichen Datenschutz für den Betroffenen in den öffentlichen Bereich und den Privatenbereich verabschiede worden. Dieses Rechtsinstitution ist jedoch zur Zeit, wo die neuliche Entwicklung im Bereich der IT Technologie fast täglich verwirklicht, als ungenügend angenommen. Außerdem treten auch die sog. Konvergenz-Industrie, die die ubiquitäre Technik mit der anderen Technik oder Dienst verbindend nutzen können, sich so schnell wie gefährlich entwickelnd auf, so daß die Art und Weise der Rechnernutzung nicht nur in Cyber- sondern auch Realraum ungeheurlich erweitert und in die neuen Ebene aufgehoben sind. Der Fortschritt der ubiquitären Umwelt führt unumgehenderweise zu der Informationsgesellschaft, bei der den Menschen nicht sicher ist, Schritt haltend damit um so glücklicher werden zu können. Es liegt daran, daß die Konvergenz-Industrie sich schnell, kompliziert, und übergreifend entwickeln, um so mehr treten auch die damit begleitende Nebenwirkungen d.h. eine neue Art von Gefahr auf, ohne Unterschied von Bereich der Umwelt, Gesundheit, Arbeiterschutz, Selbstbestimmung der Information, oder Privatssphäre. Insbesondere vervielfacht sind die Privatsphäre und persönlichen Information dadurch in Gefahr geraten. Auf die rechtliche Gegenmaßnahme bereitet es sich dennoch nicht genügend vor. In der Vorbereitungsarbeit der Regierung für die Unterstützung der Neu Entwickelnden Konvergenz-Industrie als neue Treibkraft setzt sich der Fokus nicht auf den Schutz vor ihren Begleitsgefahren sondern auf ihre Entwicklung, indem auch die Interesse daran so liegt. Hier handelt es sich erstens um die Überprüfung über die Gefahr vor dem Eingriff des persönlichen Informationen, die als die Nebenwirkung mit der Entwicklung der ‘IT-based Convergence-Industry’ aufzutreten sind, und Zweitens auch um die Verbesserungsvorschläge, die in Hinblick auf die rechtlichen Gegenmaßnahme erörtert sind, um diese Gefahren zu überwinden. 2011년 3월 29일자로 우리나라도 독일과 일본의 예에 따라 공공분야와 비공공분야를 포괄하는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날로 발전하는 IT기술을 고려할 때 지금의 관련 법제는 미흡하다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 또한 최근에는 유비쿼터스 기술이 u-Learning, u-Health, 텔레매틱스, 홈네트워크 등의 기술ㆍ서비스와 결합하는 형태의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서 사이버 공간 뿐만 아니라 물리적 공간에서의 컴퓨터 활용은 가공할 정도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정보화로의 진행을 앞당기고 있으나, 정보화 사회가 인류의 행복추구와 비례적 관계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 할 수 있다. 융합산업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환경, 보건, 산업안전 내지 개인정보, 사생활보호 등에 대한 새로운 위험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위험요소 중에서 IT기반 융합기술의 발전은 사생활 내지 개인정보의 침해 가능성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법제도의 정비는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의 신성장동력육성방안 등 융합산업관련 정책을 살펴보더라도 융합산업 발전에 관한 법제도 정비방안이 주를 이루고 있을 뿐, 이에 수반하여 나타날 부작용들, 특히 개인정보침해의 위험성 등에 대비하기 위한 법제도 정비 내지 정책 등은 관심이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 통합 개인정보보호법만 보더라도 공ㆍ사법의 규율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공공분야와 비공공분야는 규제방식이 서로 상이하게 운영되었던 것이 사실인데, 이를 통합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혼란이 우려되고 있으며, 종래의 비공공분야를 규율하던 법률과의 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날로 고도화되는 개인정보침해에 대응하기 위한 실효적인 권리구제수단이 충분히 강구되었는가? 하는 점에 대하여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IT기반 융합산업의 발전에 따른 개인정보침해의 위험성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이러한 위험을 합리적으로 규율하기 위한 법제도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독일의 이론과 경험을 통해 본 행정입법의 정치적 성격과 이에 대한 통제

        양충모 한국공법학회 2012 공법연구 Vol.40 No.4

        Zu den traditionellen Rechtsformen des Verwaltungshandelns gehoeren neben dem Verwaltungsakt typischerweise die Rechtserzeugungen der Verwaltung, die durch die Setzung der allgemein-abstrakten Rechtsnormen die verwaltungsrechtlichen Rechtsverhaeltnisse regelt. Sie hat dennoch kritisch nachteilige Punkte, indem selbst die vollziehende Verwaltung sie setzt, was einen unwiderlegbaren Tendentz hat, sich auf den eignen politischen Opportunitaeten zu orientieren. Letztlich verursacht eine verfassungswidrige Rechtserzeugung der Verwaltung viel schwerere und viel weiter fuehrende Eingriffe in die Menschenrechte als ein einfach rechtswidriger Verwaltungsakt. Es ist mit Haenden zu fassen, dass ihre Nebenwirkungen in BRD viel ernster in Kenntnis zu nehmen sind, als in Republik Korea. In der koreanischen Verfassungsgeschichte ist nicht selten festzustellen, dass die Rechtszeugungsakt der Verwaltung sowie Regierungsakt als eine der vorzueglichsten Rechtsformen aufgetreten haben, durch die die Freiheit und Eigentum von Buergern in Grund und Boden verletzt wurden. Die betreffenden Faellen sind beispielsweise zu nennen wie folgende: die sog. Normalisierung von der diplomatischeen Beziehungen zwischen Sued-Korea und Japan, die Verfassungsaenderung mit Zweck der dritten Ernennungs als Praesident, die sog. Oktober-Verfassungsreform mit Hilfe der Notstandserklaerung, Wehrstandsverordnung, und Notstandsmassnahme fuer die fristlose Eroberung der Staatsmacht, wobei immer wieder die Rechtserzeugung der Verwaltung auf Ebene der Verfassung, des Gesetzes oder der Rechtsverordnung eine entscheidende Rolle ausgeuebt haben. So oft und gleichzeitig war rechtsvergleichenderweise als das schlechteste Vorbild der normativ “organisierter Eingriff in die Menschenrecht von der deutschen Regierung in der Nazi-Zeit genannt worden. Aus der historischen Erfahrungen koennen wir klar festgestellt, dass die Rechtserzeugung der Verwaltung fuer ihre Opportunitaetstendenz oder fuer die regierenden Partei missbraucht werden kann. Hier liegt es daran, erst ihren politischen Tendenz unter die Lupe zu bringen, und dann mit Hilfe der jetzigen deutschen Theorie und Faellen die Kontrollmassnahme darueber zu entwickeln. 행정작용의 전통적인 법형식으로는 행정행위와 더불어 행정입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행정행위는 구체적ㆍ개별적인 사안에 대해 공권력을 행사하여 행정법상의 권리의무관계를 성립시키는 반면, 행정입법은 일반적ㆍ추상적인 법규범을 정립하여 행정법관계를 규율하는 법형식이다. 아울러 행정입법은 행정부에서 정립하는 규율이라는 점에서 자칫 행정편의주의와 정치적 기회주의의 산물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헌법정신에 위반하는 행정입법은 위법한 행정행위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야기한다. 또한 행정입법의 이러한 부작용이 우리나라와 독일에서 심각하게 문제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헌정사에 있어서 시민의 자유와 재산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던 사건의 이면에는 그 정당화 근거로서 통치행위와 행정입법이 존재하였다. 이승만 정부를 무너뜨린 4ㆍ19혁명의 결과로 새로 탄생한 제2공화국 정부를 군사 쿠데타로 장악한 제3공화국 정부는 굴욕적인 한ㆍ일 국교정상화, 3선 개헌, 그리고 10월 유신 등으로 영구집권을 이룩하기 위해 행정입법으로 국가비상사태, 위수령, 계엄령, 긴급조치 등을 발동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 독일의 경우 나치정부 하에서도 이와 매우 유사한 인권침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사적 경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행정입법이 행정편의주의 혹은 정당제국가에서 집권당의 당리당략의 도구로 전락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인식 하에 행정입법의 정치성과 이에 대한 통제방안을 독일의 사례와 이론을 통하여 살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