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생태계 관점에서 본 한국의 미래교육 혁신

        양채원,이강주,권순형 한국교육개발원 2021 한국교육 Vol.48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ways of exploring a new educational paradigm in Korea, specificall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concept of ecology has been invited to create new learning environment which embraces all the learners and encourages adopting the innovations in learning technology. Design/methodology/data: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ree scenarios were derived based on the tendency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columns, or articles on future education that have been published in last 25 years. Findings/Results: The results show how to shift the role of school, teacher, and students for future education and build the learning evaluation system focusing o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knowledge creation. It is also proposed the way of encouraging community-based learning and the new learning governance that schools work as the learning-hub platform in each community. Value: This study projected the various changes in future education and proposed strategi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grounded on those shifts. 이 연구는 오랫동안 한국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교육의 양극화와 입시 중심의 교육제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배경, 재능, 흥미를 가진 학습자들이 서로 교류하며 개인 맞춤형 학습경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생태계 조성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분석과 더불어 향후 미래교육의 방향을 예측하고자 미래교육 관련 연구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미래교육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와 미래교육 예측에 기반한 미래교육 대비 학습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과 교사, 학교 및 교육 관련 행위자들의 역할 변화에 따라 기존의 일방향적 지식 전달에서 벗어나 학생이 지식 창조의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학습체계가 변화하여야 한다. 둘째, 학생의 지식 창조 과정 전체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체계를 혁신함으로써 대학 입시 위주의 교육체계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수업과 교사의 범위가 대폭 확장된 상황에서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학습활동에 자유롭게 참여하고 이를 학습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기존처럼 학적부를 중심으로 하는 배타적 소속체계를 벗어나도록 하는 새로운 교육거버넌스 혁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의 복합상업공간 플랜테리어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양채원,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기술 발달에 의한 편의성 향상과 환경적 제약으로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 증가와 환경에 대한 이슈가 높아지며 실내 환경의 쾌적성 강화와 관련된 식물을 활용한 공간디자인 스펙트럼이 확장되었다. 특히 이용객들이 집객 되는 복합상업공간에서 플랜테리어는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식물 활용은 소비자들에게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차별화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전략적 플랜테리어 계획이 가능하도록 복합상업공간에서 플랜테리어의 특성을 도출하고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하는 공간 가치 창출을 위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공간디자인에서 식물이 주는 영향력은 공간가치를 배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플랜테리어의 개념 파악과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연출요소를 공간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 도출 후 세 가지 플랜테리어 특성과 각 특성에 따른 세 가지 세부요소로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복합화를 이루며 진화하는 국내 복합상업공간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거쳐 플랜테리어 특성을 고찰하였다. (결과) 플랜테리어의 기능적 특성은 세부적으로 쾌적성, 장소성, 매개성으로 감성적 특성은 감각성, 관용성, 연상성으로 환경적 특성은 친환경성, 연결성, 순환성으로 도출되었다. 사례분석 결과 기능적 특성은 시각적으로 여유로운 개방감과 쾌적한 공간 연출로 체류 시간 연장을 유도하며, 공간의 수평·수직적 연결로 매개성을 갖게 하여 이용객들의 유입을 유도하고 있었다. 감성적 특성은 플랜테리어의 연출로 소비자의 감각을 확장하고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하며, 계절 변화를 나타내는 식물의 연출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 같은 간접적 체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환경적 특성은 도시환경 미관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소재의 사용과 살아있는 식물의 주기적인 교체로 분위기를 전환하고 있었다. (결론) 복합상업공간에서의 플랜테리어 특성은 소비자들에게 기능적, 감성적, 환경적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플랜테리어 연출 시 소비자 욕구에 기반하여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앞으로 플랜테리어는 공간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로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는바, 복합상업공간에서의 플랜테리어 계획 시 본 연구가 전략적 접근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연구동향 분석

        양채원,문지영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2010년 이후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 관련 연구, 특히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량 기반 교육의 연구동향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역량 기반 교육이 주로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역량 및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이 충분히 정립되었고 K-CESA로 대표되는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보편화된 2010년 이후의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정립과 이론화 이후 대학에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해당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313건의 국내 등재(후보)지 게재 논문을 토대로 연구 제목 및 핵심어,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토픽모델링을 바탕으로 대상 논문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연구는 대부분 3가지의 주제로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 주제는 대학의 특징을 살린 자체적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이다. 두 번째 주제는 K-CESA 등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특정 학교 학생, 혹은 대학생 전반의 역량분석과 이를 통한 사례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세 번째 연구 주제는 핵심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과 해당 교육과정의 성과 분석으로, 한국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연구가 점차 역량기반 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문지영,양채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아시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사회 변화, 특히 전면적 비대면 수업이라는 교육에서의 변화에서 특히 지속가능성과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교육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지속가능성 개념은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이다. ESD는 모든 사람들이 양질의 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발전과 사회 변화를 위해 요구되는 가치, 행동,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ESD의 개념은 2005년 UN의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2005-2014) 계획 이래 다양한 교육 영역, 특히 초중고 수준의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어 오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주목받는 지속가능성 관련 개념은 ESG로서, ESG는 특히 고등교육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생존을 위한 대학의 경영전략 측면에서 접근하는 사례가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학 분야에서의 연구 동향 탐색을 위하여 구조적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2005년 이후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9개의 주요 토픽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15년을 기점으로 국제이해교육 관련 연구와 교과서 분석,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비중이 초·중등 교육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등교육과 지속가능성 관련 연구는 다른 교육 분야에 비하여 매우 적은 편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초·중등 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교과목 기반 지속가능성 교육(ESD)이 고등교육에서는 그 사례를 찾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고등교육에서 ESG 경영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적 접근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 개념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가치를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달하고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자리 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역량을 중심으로

        문지영,양채원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2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KEEP2), from 2020 to 2022, this study explores how job satisfaction changes over time and how high school career guidance and career-related activities affect to the current job satisfaction and its trajectory of chang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study period, job satisfaction showed a linear trajectory of change that decreased over time. Second, among the career-related activities experienced in high school, the experience of career activities, and the career maturity were found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career clubs and positive career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job satisfaction, and experience in creative experienc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over time. Third, after controll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that change over time, such as current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made higher increase in job satisfaction. Also, the type of highschool showed different job satisfaction and its trajectory over time. Specifically, the graduates from Meister schools and Specialized schools showed lower job satisfaction and it decreased sharply compared to other types of highschool. These results implied the career guidance in highschool stage should be focused to offer the actual experiences to the job, workplace, and labor market. Also, it is time for prepare policies, systems, and programs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younger employees to encourage their royalty to the workplace and make them long-term employees.

      • KCI등재

        디지털전환 시대 미래 학교교육 시나리오 탐색

        이강주,권순형,양채원,고동완,김기범,최명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점을 가정한 상황에서 미래 학교교육의 모습을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시나리오 기법은 확률론적 수정 경향(probabilistic modified trends : PMT)’의 경향성 영향 분석(trend impact analysis : TIA)의 방법론의 틀을 준용하면서, 빅데이터 분석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활용하여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미래 학교교육과 관련이 있는 1,139건의 논문과 457건의 칼럼 및 기고문 등을 수집하였고, 각 문서의 형태소를 추출하여 총 740,543개의 형태소를 통해 각 문서를 벡터 공간에 위치시켰으며 문서 간의 거리 측정을 통하여 군집분석 프로파일링실시 후, 각 분야별 전문가를 섭외하고 협의회를 거쳐 최종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합이 가능한 시나리오는 총 27가지였으며, 이 가운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세 종류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세 종류의 시나리오를 종합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미래 학교교육에서 교사는 ‘학습자들의 다원화된 학습경험의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둘째, 미래 학교는 오늘날의 학교와 달리 지역의 ‘학습허브센터’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셋째, 미래의 학교에서 교육운영체제는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이력’이 보다 중요해 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함께 추후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uture scenarios for school education to predict the way of how school education system in Korea needs to be innovated, specificall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unexpected crisis like Covid-19. Grounded on the research purpose, probabilistic modified trends(PMT) and trend impact analysis(TIA) research methods were invited to derive scenarios for future school education. The research papers(1,139) and columns or articles(457) on school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740,543 morp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resources. Each document was placed in vector space to measure the distance. Based on this measurement, future school education scenarios were created with cluster analysis profiling. The possible scenarios were 27 at the stage of early analysis, and the final three scenarios were derived with consultation of the professionals from education field.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final scenarios are lik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teacher would be changed to the facilitator for the diversified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the future schools will be shifted to the Learning Hub in each region. Last, the learning competency portfolio of the learners will be the key for operating future learning system.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감염예방행위 영향요인

        전혜정,홍연서,박혜인,서아영,양채원 한국보건간호학회 2023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collection is from December 17 to October 22, 2021. One hundred and ninety-seven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é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VID-19 knowledge (r=.49, p<.001), attitude (r=.41, p<.001), and COVID-19 risk perception (r=.40, p<.001) were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The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were identified as knowledge (β=.28, p<.001), attitude (β=.25, p<.001), risk perception (β=.18, p=003), 2th grade (β =.19, p=.011), 3th grade (β=.21, p=.006), 4th grade (β=.20, p=.008), and gender (β=.12, p=.033).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olicies suitable for community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behaviors and the development of infectious diseas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