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지각 양상 -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통한 교육적 접근 -

        안성민,하영우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3 No.-

        본 연구는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지각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자음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조음 위치, 조음 방법, 발성 유형, 음절 위치, 후행 모음 등 다양한 언어 내적 변수들을 고려하여 자음 인식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음절 위치와 발성 유형이 몽골인 학습자의 자음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어두 위치에서 평음과 경음의 구별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비어두 위치에서는 평음과 격음의 구별을 어려워했다. 이를 통해 기식의 정도가 자음의 발성 유형을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몽골 학습자들이 주요한 지각 단서로 이용하는 기식성 외에 다른 음성적 특성인 음높이를 활용한 지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consonant perception patterns of Mongolian learners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 research examined the accuracy of consonant perception considering various linguistic intrinsic variables such as place of articulation, manner of articulation, phonation type, syllable position, and following vowel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syllable position and voicing type significantly impact the consonant perception of Mongolian learners. Notably, the perception of plain and tense consonants in the initial position was challenging, while in the non-initial position, the absence of fortis articulation in plain consonants mad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from tense consonants. Although the accuracy of consonant perception improved as proficiency increased, major influencing 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proficiency levels. This study, employing experimental phonetics methodologies and statistical analysis, provides new directions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by concretely analyzing the consonant perception abilities of Mongolian learners.

      • KCI등재

        Effects of Fermented Rice Wine by Using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Human Hepatoma Cells and Rat Liver

        안성민,이준혁,최영현,이용태,정경태,정영기,조운복,최병태,Ahn Seung-Min,Lee Jun-Hyuk,Choi Yung-Hyun,Lee Yong-Tae,Chung Kyung-Tae,Jeong Young-Kee,Jo Un-Bock,Choi Byung-Ta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1

        상황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주 (FMLP)가 인체간암세포와 횐쥐 간에서 염증관련단백질의 발현과 간 손상관련효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에탄올, FLMP를 인체 간암세포인 $HepG_2$세포에 24시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을 처리한 세포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형태 변화가 심한 반면 FLMP를 처리한 세포는 알코올의 농도가 증가해도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HepG_2$세포의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보기 위해 Western blot과 RT-PCR을 한 결과 COX-1, COX-2, iNOS, $TNF-\alpha$의 발현이 에탄올에 의해 현저하게 유도되었으나, FLMP는 $HepG_2$세포에서 mRNA와 단백질의 발현이 에탄올에 비해 억제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간 기능의 지표가 되는 혈청내 GOT와 GPT양 등이 에탄을 투여 그룹에서 현저히 증가했으나 FLMP를 투여한 그룹에서 에탄을 투여 그룹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에서 에탄올을 투여한 쥐의 간세포에서 iNOS와 COX-2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나 FLMP를 투여한 쥐의 간세포에서 미약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FLMP는 동일한 농도의 에탄올에 비하여 간 손상의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사료되며 이 자료들은 상황버섯에 대한 연구와 다른 기능성 주류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We have recently discovered that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popular medical mushrooms in Korea, possess alcohol dehydrogenase and produce alcohol. In the present study, it was examined that the effect of fermented rice wine made by using mycelium of P. linteus (FLMP)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both $HepG_2$ cells and rats. To examine the effect of FLMP on the morphology and expression of inflammatory proteins in $HepG_2$ cells,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ethanol, and FLMP for 24 hours, and then analyz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Western blot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hile ethanol induced the morphological change accompanied with cell debris formation and scattering on $HepG_2$ cells, FLMP had no effect.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d RT-PCR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COX)-1 and COX-2 was induced by ethanol, however, FLMP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and its mRNAs. In the animal model, the value of f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ministration with ethanol. But the group administrated with FLMP showed lower levels on the changes of these markers compared with ethanol-administrated group. Besides,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d RT-PCR analyse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proteins such as iNOS, COX-1 and COX-2 was not affected by FLMP administration in rat liver. About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s, inflammatory loci were markedly decreased in the FLMP-administrated rat compared to ethanol-administrated rats and showed weaker COX-2 and iNOS jmmunoreac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LMP showed slight changes on the inflammatory proteins expression compared to ethanol and FLMP may be used as a functional alcoholic beverage.

      • 무증상의 위궤양 출혈을 동반한 Gro¨nblad-Strandberg증후군 1예

        안성민,이중원,김호창,이종임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東國醫學 Vol.15 No.1

        51세 남자환자가 15일전 시작된 갑작스런 우안의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저 검사에서 우안의 망막하 출혈과 양안 시신경유두를 둘러싼 방사상으로 갈라진 모양의 회색선 소견 및 황반 이측의 오렌지껍질 양상의 변성이 관찰되어 혈관줄무늬망막병증(Angioid streaks)에 합당하였다. 전신 검사에서 경부와 액와에 황색구진을 확인하였고, 형광안저촬영검사 및 피부생검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형광안저혈관조영검사에서 우안의 망막하 출혈로 인한 형광차단과 양안 모두에서 시신경유두 주위의 갈라진 회색선과 일치하는 과형광이 확인되었고, 조직검사에서 탄성섬유가성황색종(Pseudoxanthoma elasticum)이 확진되어, Gro¨nblad-Strandberg 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이 질환은 전신적인 탄성섬유의 변성을 초래하여, 동반한 합병증의 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추적 검사가 요구된다. 저자들은 추가로 동반 가능한 전신질환의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에서 출혈을 동반한 위궤양을 확인하였다. 이에 혈관줄무의망막병증(Angioid streaks) 환자의 전신검사에서 무증상의 상부 위장관 출혈이 확인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 51 year old man presented with the decreased and not recovered vision of right eye for 15 days. Fundoscopic examination shows the subretinal hemorrhage and radiating grayish lines that surround the optic disc and peripheral 'Peau d'orange. It's the sign of the angioid streaks. Derma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erythematous papules are located in the neck and axilla. The fluorescein angiography and skin biopsy were performed. That showed the hyperfluorecein consisted with grayish lines. The result of the skin biopsy was pseudoxanthoma elasticum. Therefore, the diagnosis was Gro¨nblad-Strandberg syndrome. Careful systemic reviews for the patients with Gro¨nblad-Strandberg syndrome should be performed to find possible complications, because it could cause the systemic degeneration of elastic fiber. We performed detail systemic reviews to reveal the possible systemic complicatios and came to realize that it was the gastric ulcer bleeding by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We report a case of angioid streaks with asymptomatic gastric ulcer bleeding identified by systemic reviews.

      •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별 손 기능 비교 : 7,8,9세를 중심으로

        안성민,송병호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7 No.-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의 연령별 손 기능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간 손 기능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아동과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아동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을 연령별로 비교하여 대근육 손 기능 검사 측정 결과 7세, 8세, 9세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정신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을 연령별로 비교하여 소근육 손 기능검사 측정 결과 7세, 8세, 9세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간 대근육 손 기능 검사 측정 결과 7세와 8세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정신지체 아동의 연령간 소근육 손 기능 검사 측정 결과 7세와 8세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8세와 9세 정신지체 아동 간에는 유사한 손 기능을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볼 때, 교육의 현장에서 간과하기 쉬운 정신지체 아동의 손 기능 증진을 위해서 연령별로 교육적 중재가 달라져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and func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without mental retardation age 7, 8, 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and 24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Eight children of age 7 and eight children of age 8 and eight children of age 9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ss motor func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without mental retardation in age 7, 8, and 9. Second, the fine motor hand func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each age group. Third, comparing gross motor function between the age for the group with mental retard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7 and 8. Fourth, for the fine motor hand fun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7 and 8. In conclusion, there are differences of development for the hand function between ages. Thru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pecial education intervention at the age between 8 and 9 is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gross motor hand function and fine motor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