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수로의 수질개선 방안 선정을 위한 SWAT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심재훈 ( Jae Hoon Shim ),김필식 ( Phil Shik Kim ),김선주 ( Sun Joo Kim ),박현준 ( Hyun Jun Park ),김일정 ( Il Ju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동해안 대표 석호인 경포호와 관동팔경 제1루인 경포대가 인접하여 있어 호소와 바다에 접근 되어있고, 송정 2 배수로는 하수도와 직접 접촉하여있어 오염이 심각한 상황이고, 또한 송정 1 배수로와 합류되어 배수문을 통해 해양으로 바로 유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오염부하량을 추정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송정배수로의 수질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WAT모형을 이용하여 총 13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특히 송정배수로와 배수문 지점인 GR#7, GR#8, GR#10 소유역의 유출량과 오염부하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질개선 방안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하였다. Scenario 1은 아파트 단지의 하수도에서 직접 유입되는 수질오염원의 차단, Scenario 2는 송정 제 2 배수로에 유입부에 개량형 침강지(KA-EDPS) 설치, Scenario 3은 자연생태적 하수처리공법(KN-NEWS)의 설치이다. 대상지구의 주변환경은 농업지역인 투수지표면과 도시지역인 불투수지표면이 혼합 구성되어 있어 SWAT 모형의 적용에 적합하다. GIS와 연계된 ArcSWAT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지형자료(DEM,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구축하고, 대상지구 유역의 기상 및 우량 관측소를 고려하여 수문 및 기상관측자료(강우, 온도, 습도, 일사량, 풍속)를 입력하였다. 그리고, 대상 유역에 위치한 수문관측소와 수질관측소를 고려하여 소유역으로 세분화한 후 토양특성과 토지이용에 따른 모의를 실시하였고, 이를 위해 소유역내 수문학적 반응단위별로 유출, 유사, 그리고 비점오염발생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Hydrologic Response Unit(HRU)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수질개선방안별로 작성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SWAT모형을 구동한 GR#8 소유역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cenario 1에서의 제거 효율은 유사량(SS) 94.36%, T-N 49.88%, T-P 44.43%로 나타났으며, Scenario 2에서의 제거효율은 유사량(SS) 66.04%, T-N 32.9%, T-P 17.96%로 나타났고, Scenario 3에서의 제거효율은 유사량(SS) 78.56%, T-N 41.46%, T-P 46.52%로 나타났다. 각각의 오염부하량의 제거효율이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각각의 Scenario를 비교하면 Scenario 1> Scenario 3> Scenario 2의 순으로 나타났다. Scenario분석 결과를 통하여 송정 2배수로로 직접 유입되는 점오염원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마늘 추출물의 고등어육에서의 히스타민 생성 억제

        심재훈(Jae-Hun Shim),백현동(Hyun-Dong Paik),이시경(S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8

        본 연구에서 고등어육을 4°C와 15°C에서 저장하면서 마늘추출물을 2.5, 5.0, 7.5%를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여 히스타민의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저장 초기에 대조구와 추출물 처리구의 일반세균수는 비슷하게 측정되었으나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이가 있어 6일 경과 후 7.5% 첨가구는 대조구의 일반세균수 대비 1log cycle 정도 균이 억제되었다.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4°C와 15°C에서 저장 중 eicosapentaenoic acid(EPA, C20:5)와 docosahexaenoic acid(DHA, C22:6)가 대조구에서 감소하였으나 마늘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다소 상승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는 4°C와 15°C 저장실험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해서 상승하였으나 마늘 추출물 첨가구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이 낮게 나타나 마늘 추출물의 첨가는 고등어의 부패지연에 효과가 있었다. 히스타민 발생은 저장 초기에는 모든 실험구에서 히스타민이 검출되지 않았고 4°C 저장 실험구의 경우 3일차에서 대조구만 42.87 mg/kg 검출되었다. 15°C 저장 시에도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지속해서 히스타민이 증가하였으나 마늘추출물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히스타민 생성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등어의 저장성 연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rlic extract on histamine reduction in mackerel meat stored at 4°C and 15°C, respectively.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in mackerel meat treated with 7.5% garlic extract was ten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stored for 6 days of 4°C.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after 9 days of storage. Reduction of eicosapentaenoic acid (C20:5) and docosahexaenoic acid (C22:6) contents was observed in the normal control group at both temperatures. However, contents of these two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lightly increased in garlic extract-treated fish. Amounts of volatile basic nitrogen increased over time in the control group, but decreased in the garlic extract-treated meat, indicating that garlic extract might suppress decomposition. No histamine was detected initially in all samples. However, a small amount of histamine (42.87 mg/kg) was detected in the control at 3 days after storage at 4°C. Histamine content increased continuously with storage period but was lower in mackerel meat containing garlic extract, in which histamine suppression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garlic extract. It can be concluded that garlic extract could be utilized to extend the storage period of mackerel.

      • KCI등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착용이 목 관절가동범위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융합연구

        오소현,정성대,심재훈,양노열,Oh, So-Hyun,Choung, Sung-Dae,Shim, Jae-Hoon,Yang, No-yul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 사용이 건강한 젊은 성인들의 목관절가동범위(CROM)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MD 군(남자 16명, 여자 7명)은 HMD를 착용하고 30분 동안 정해진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대조군(남자 15명, 여자 8명)은 HMD군과 동일한 자세로 HMD 착용없이 30분 동안 앉아있게 하였다. 실험 전·후에 목관절가동범위,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두께와 압력통증역치를 측정하고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HMD 군의 목관절가동범위와 양쪽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압력통증역치는 사전 검사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양쪽 위등세모근의 두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반면에, 대조군은 목관절가동범위, 근육 두께 및 압력통증역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분석 결과, 장시간 HMD 사용은 목관절가동범위와 압력통증역치를 감소시키고 근육을 비대하게 하여 목과 어깨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적절한 시간 동안만 HMD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wearing Head-Mounted Display (HMD) on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CROM), neck muscle thickness, and pain in healthy young adults. The HMD group(male=16, female=7) was asked to perform sitting comfortably in a backless chair with hands on their knees with the HMD was worn on their heads to watch the video for 30 minutes. The control group(male=15, female=8) was asked to sit in the same posture as the HMD group for 30 minutes. CROM, neck muscle thickness, and pressure pain threshold (PPT) of both the upper trapezius and levator scapula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CROM and PPT of the upper trapezius and levator scapulae in the HM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muscles in the HM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in the pre-test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OM, muscle thickness, and PPT in the control group. Wearing HMD for a long time can cause a decrease in CROM and PPT and an increase in muscle thickness, and there is a risk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neck and shoulder.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maintaining the correct posture of the neck and shoulder and using HMD only for an appropriate time.

      • KCI등재

        정상인에서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자세가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복부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강정현 ( Jung Hyun Kang ),심재훈 ( Jae Hyun Shim ),천승철 ( Seung Chul Ch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2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19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easurements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imaging (USI) to those using a special transducer head device, during five different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ultimately to determine which exercise led to the greatest muscle thickness. Thirty eight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The five types of trunk stabilization-i.e., a sit-up on the supine, an upper and lower extremity raise with quadruped on the prone, a leg raise in sitting on the ball, trunk rolling on the ball, and balance using sling on the prone position-were each performed with an abdominal draw. The thickness of the abdominal muscle-including the transverse abdominal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was measured by USI with a special transducer head device, at rest and then at contraction in each posi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set at α=.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rA thick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whereas the IO and EO thicknesses were not (p>.05); 2) among the five types of trunk stabilization, TrA thick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balance using a sling in the prone position, (p<.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for the four types of trunk stabilization (p>.05); 3) reliability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degree of consistency among the measurements taken using the special transducer head device (ICC=.92). In conclusion, the balance using a sling in the prone position was more effective than any of the four other types of trunk stabilization in increasing TrA thickness in healthy subjects.

      • KCI등재

        안구 영상을 위한 OCT용 손잡이 형 프로브의 개발

        조남현(Nam Hyun Cho),정웅규(Woonggyu Jung),정운상(Unsang Jung),Stephen A.Boppart,심재훈(Jae hoon Shim),김지현(Jeehyun Kim)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8 No.1

        본 연구에서는 안구 영상을 위한 OCT용 손잡이 형 프로브를 개발하였다. 프로브는 휴대하기 간편한 손잡이 형태로 구현하였으며, 어댑터의 대물렌즈를 교체함으로써 각막(cornea)과 망막(retina) 모두 영상화 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다. 시스템의 성능검증을 위해 in vivo 로 실험용 쥐의 눈 영상을 2D로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영상을 3D 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3D 영상은 쥐의 미세한 부분의 구조를 잘 나타내었으며, 움직임에 의한 흔들림 현상(Motion artifact)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개발된 OCT시스템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속도는 생체 내 실험(in vivo)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We have developed a hand-held probe for an ophthalmic OCT system. The hand-held probe for imaging was designed to be compact and portable. The cornea and retinal images were acquired by replacing the objective lens at the front of the prob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hand-held OCT probe, we acquired two dimensional OCT image of the rat eye in vivo and reconstructed three dimensional rat eye rendering images. In vivo 3D OCT images were showed distinct structural information in the posterior and anterior chamber with minimal motion artifacts. Thereby, OCT imaging speed is suitable for an dynamic in vivo experiment.

      • KCI등재
      • KCI등재

        작업성 근골격계질환의 VDT 증후군에 관한 고찰

        양영애,허진강,김현희,이규창,이주상,정신호,안창식,심재훈,Yang, Young-Ae,Hur, Jin-Gang,Kim, Hyun-Hee,Lee, Gyu-Chang,Lee, Ju-Sang,Jung, Shin-Ho,Ahn, Chang-Sik,Shim, Jae-Hun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04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11 No.4

        The studys purpose were the effects of work posture, treatment method and prevention for Video Display Terminal(VDT) workers i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WMS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rate of VDT workers in WMSD was $20{\sim}40%$. The complaint was mostly shoulder, neck, and hack area pain 2. VDT worker used to forward flexed posture and then affect of increase of muscle fatigue and pain 3. When exercise therapy PT and ADL training, were used workers decrease in pain, muscle strength, balance training, endurance strength and relief of psychiatricIn conclusion, VDT worker need good health and posture to rest and exercise with time space and treatment. It is best to prevent WMSD. VDT workers need health management by itself and systemic rehabilitation program by speciality therapist.

      • SCOPUSKCI등재

        상업적 활용을 위한 감초 추출물 성분 분석 및 추출 수율 증대

        이은형(Eun-Hyeong Lee),정현모(Hyun-Mo Jeong),김은아(Eun-A Kim),이예림(Ye-Rim Lee),심재훈(Jae-Hoo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12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h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diseases, including respiratory, inflammatory, and skin diseases. These therapeutic effects have been attributed to flavonoids and saponins. Glycyrrhizin is the most abundant saponin in licorice, and liquiritin (a flavonoid) is a representative compound found in licorice known for its antivir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this study, an extraction method was developed to facilitate the domestic and commercial use of glycyrrhizin and liquiritin, and an HPLC program was optimized to conduct component analysis. Following extraction with 40% (v/v) ethanol at 40℃ for 60 minutes, 3.4 ㎎/g of glycyrrhizin and 0.7 ㎎/g of liquiritin were obtained from licorice extract. In contrast to existing methods that focus on the analysis of a broad spectrum of constituents, the devised extraction method places emphasis on the analysis of components intended for commercial use in licorice and is based on the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of glycyrrhizin and liquiritin, the primary active compounds in licorice. Our method takes into account extraction time, temperature, ethanol concentration, and solvent ratio, which makes it suitable for analyzing and adjusting extraction yields based on specific requirements.

      • KCI등재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를 이용한 para-Nitrophenyl Maltooligosaccharides의 생산 개선

        신유정(Yu-Jeong Shin),우승혜(Seung-Hye Woo),정현모(Hyun-Mo Jeong),김지수(Ji-Soo Kim),심재훈(Jae-Hoo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9

        α-pNPG를 이용한 CGTase의 당전이 반응을 통해 pNP maltooligosaccharides를 생산하였다. pNP maltooligosaccharides의 최적 생산을 위하여 효소 반응은 다양한 조건에서 실행되었다. pNP maltooligosaccharides는 3%(w/v) α-pNPG 및 0.4%(w/v) amylose를 사용했을 때 효과적으로 생산되었다. 또한 당전이 반응으로부터 생산되는 부산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GOD를 CGTase와 함께 사용하였고, 그 결과 pNP maltooligosaccharides는 당전이 반응이 향상된 조건에서 약 30%의 생산 수율을 보였다. p-Nitrophenyl maltooligosaccharides (pNP maltooligosaccharides) are produced enzymatically by applying the disproportionation reac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with 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α-pNPG) as acceptor molecule. In order to optimize the production of pNP maltooligosaccharides, CGTase enzyme reactions were performed under diverse conditions. pNP maltooligosaccharides were efficiently synthesized in the presence of α-pNPG and amylose at final concentrations of 3% and 0.4%, respectively. Also, by-products of the disproportionation reaction decreased dramatically in the presence of glucose oxidase (GOD). Under optimized conditions, the production yield of pNP maltooligosaccharides was about 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