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鄭道傳의 ‘立法’에 의한 ‘牽制와 均衡’의 정치사상

        辛正根 ( Shin Jeong-ke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4 No.-

        Confucian scholars try to realize their ideals by finding what is lacking and distorted in reality. Individuals can realize this ideal through cultivation and communities through politics. In Jeong Do-jeon’s view, Goryeo dynasty lacked too much in reality, but this situation could not be solved. Because of this, people were suffering that they didn’t have to go through. Jeong Do-jeon wanted to realize this in a new country, that is, Joseon, by setting the life of humanity, public control of legislation, and mutual checks and balances of consultation and opposition as ideals. Joseon is a unique country in terms of both one country and world history. This is because the founding leaders of Joseon not only won the competition and took supremacy, but also wanted to a blueprint and create a country accordingly. In this respect, Joseon can be said to be a “planned state” like the “planned city” of today. Jeong Do-jeon’ Joseon Gyeonggukjeon朝鮮經國典 and Gyeongjemungam經濟文鑑 can be said to be design drawing with a list of practices to establish a new country. Jeong Do-jeon drew a picture of the “state of Confucian culture” and found a historical challenge to realize it in reality. Joseon can be said to be a Confucian state of the civilian government文治 where humanity, legislation, and mutual checks and balances work. It can be said to be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ideal politics (君臣共治 or 君臣分治) in which monarchs and servants manage state affairs together/sharing.

      • KCI우수등재

        전국시대 후기의 心 논쟁, 장자의 회의와 순자의 대응

        신정근(Jeong-Keun Shin) 한국철학회 2016 철학 Vol.0 No.129

        장자는 전국시대 후기에 제기된 공공성과 공정성을 둘러싼 공천하(公天下) 담론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인식, 욕망에서 편향성을 드러낸다. 장자는 이성의 요청에 불구하고 인간이 분배와 인식에서 공(公)의 기준에 지킬 수 있는지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순자는 장자의 회의적인 시각에 대응해서 인간이 공정한 분배와 공정한 인식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장자의 회의와 순자의 대응을 통해 전국시대 후기에 전개된 공공성과 공정성을 둘러싼 공천하(公天下) 담론의 실체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장자와 순자가 인간의 인지와 심리 현상을 깊이 연구한 심리학자라는 점을 알 수 있고, 전국시대 후기에 심(心)이 학계의 뜨거운 주제로 주목을 받은 맥락을 잘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장자는 心이 道를 대상화를 시켜 인식할 수 없고 오히려 반대로 心은 道와 더불어 변화될 뿐이다. 心이 철저하게 道에 종속되는 것이다. 반면 순자는 心이 道를 인식의 과제로 삼아 둘의 결합을 이루어내야 한다. 이를 통해 心의 지도(知道)와 몸의 체도(體道)가 이루어진다. 장자와 순자는 모두 心이 道와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보았지만 그 양상과 방식은 완전히 다른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순자는 心이 주도적인 작용을 한다면 장자는 心이 수동적인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고 보았다. Early Chinese thinkers attempted to respond to Mencius, since Mencius had understood xin as the basis for human motivations and actions. This paper focuses especially on Zhuangzi’’s understanding of xin and another Confucian thinker Xunzi’’s response to it. Zhuangzi understood the function of xin negatively and thought that the faculty of memory only distorted the facts and disturbed emotions. In contrast, Xunzi tried to show, in the Jiebi解蔽 chapter of the Xunzi, that humans could make fair judgments through the function of xin, and, therefore, xin should not be regarded simply as the source of distorted judgments and emotional excesses.

      • KCI등재

        홍대용(洪大容)의 범애(汎愛)의미 연구

        신정근 ( Jeong Keun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2 No.-

        孔子는 “사람을 사랑하라”는 仁의 덕목을 강조했다. 이로써 사랑이 중국철학의 주제로 등장했다. 墨子는 보편적인 사랑[兼愛]과 차별적인 사랑[別愛]으로 구분했다. 별애가 세상을 끊임없는 대립과 투쟁의 상태로 이끌고 겸애야말로 세상의 무질서와 혼란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자의 인이 가족적 유대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별애에 해당된다고 보았다. 孟子는 묵자의 겸애가 ‘아버지가 없는 상태’[無父]를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맹자의 비판 이후에 유학 철학에서 겸애를 찬성하기가 쉽지 않았다. 조선 후기 洪大容은 汎愛개념을 통해서 兼愛의 금기를 깨뜨리려고했다. 나아가 그는 華夷一과 人物均의 주장을 펼쳤다. 이전에 맹자는 성선의 평등을 말하지만 성선의 실현에 따른 방법론적인 차등을 주장했다. 이것은 군자가 소인을 계몽하고 지배해야 한다는 사회 질서를 반영한것이다. 홍대용은 사랑에 대한 맹자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했다. 그 결과그는 한 사회의 신분과 국제 관계의 우열 등을 뛰어넘는 새로운 지평을 개척할 수 있었다. Kongzi emphasized virtue of humanity(仁) that “take care of man.” Now love became the subject of chinese philosophy. Mozi divided love into indiscriminate love or universal love(兼愛) and graded love(別愛). Partial love make society result in endless opposition and struggle. But universal love make society overcome disorder and confusion. He insisted that Kongzi’s humanity(仁) based on family bond lead to graded love. Mengzi criticized that Mozi’ universal love bring out the state without father(無父). After the bitter criticism of Mengzi, no one dare to speak the justification of universal love. Through love for everyone, Hong Dae-yong(洪大容, 1731~1783) intended to break taboo of universal love in the later Joseon. Further he asserted equality of Chinese and foreigner, equality of human and things. Prior to Hong Dae-yong, Mengzi adhered to equality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性善) but methodological discrimination of it’s realization. Because he believed the social order that exemplary person(君子) enlighten and control ordinary person(小人). Hong Dae-yong intended to solve the contradiction of Mengzi’ thought. Therefore he can develop the new horizon that overcome the social rank and international degree.

      • KCI등재

        중국철학 : 朱子(주자)의 仁(인)과 知(지)관계에 대한 해법- “멍청한 仁者(인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신정근 ( Jeong Keun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1 No.-

        『논어』「雍也」24에 보면 仁者(君子)에 대해 “可逝也, 不可陷也. 可欺也, 不可罔也.”라는 문장이 나온다. 필자는 이 구절을 “仁者가 어떻게 오류의 가능성을 벗어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탐구해왔다. 仁者가 완전한 인격을 갖춘 도덕적 영웅이다. 仁者가 ‘不可罔’이지만 ‘可欺’가 되풀이 된다면 멍청한 존재가 된다. 즉 仁者는 영웅이지만 역설적으로 멍청한 인물이다. “멍청한 仁者”가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孔子는 仁과 知를 결합시켜서, 孟子는 性안에 惻隱之心과 是非之心을 포함시켜서, 荀子는 性밖에 비교 판단하는 知를 두어서 ‘멍청한 仁者’의 문제를 풀고자 했다. 한 제국의 董仲舒도 仁知의 결합만이 ‘멍청한 仁者’의 오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 朱子는 「雍也」24의 주석을 달면서 仁者가 오류의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듯하다. 이렇게 되면 仁과 知사이에 묘한 긴장이 형성되게 된다. 이 글에서는 주자가 ‘멍청한 仁者’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 가는지 살피고자 한다. 感情에 대한 인지주의와 수정된 인지주의의 논의를 끌어들여서 논점을 정확하게 전개하고자 한다. There is the sentence “junzi(the model person) can be sent to save him, but not to leap in after him. he can be deceived, but not duped.”(Lunyu, 6.27) I have studied the above sentence a new angle on the problem, that is, “how does renzhe(the humane person) escape from the possibility of fallacy?” Renzhe is the moral hero as perfect personality. If renzhe “can not be duped” but repeatedly “can be deceived”, he will be stupid person. Paradoxically, renzhe is the moral hero but stupid person. How to do not to be “a stupid renzhe?” Many thoughts found out the different solutions. Konzi combined ren(仁) and zhi(知), Mengzi included compassion and discrimination between right and wrong into natural tendency, xunzi arranged zhi, ability of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outside natural tendency. And Dongzhongshu thought that only the combination of ren and zhi solve the mistake of “a stupid renzhe.” Zhuzi also stressed the role of knowledge in order to escape from the error of “a stupid renzhe.” There is the subtle tension between ren and zhi. This paper intend to deal with Zhuzi’ solution about the mistake of “a stupid renzhe.” Also I want to articulate the an arguing point with the controversy of cognitivism revised cognitivism about emotion.

      • KCI등재

        유교 경학의 전개와 현대적 방향 연구 -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육변설’을 중심으로 -

        신정근 ( Shin Jeong Keun )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3 No.-

        유교 경전은 유학의 역사만큼이나 풍부하다. 경전은 특정 시기에 완성된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과 더불어 끊임없이 늘어났다. 유교 경학의 특징을 살피려고 하면 먼저 경經과 전傳을 비롯하여 주요 개념의 어원과 의미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 유교 경전이 6경을 비롯하여 사서四書와 사부四部체제로 확장되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유교 경학이 시대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조명할 필요가 있다. 경학의 역사와 유학의 역사가 공통점을 드러내므로 겹치는 지점도 있다. 하지만 두 주제는 초점이 다른 만큼 상이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경학사에서는 유교 경전이 어떻게 전승되는지, 시대별 비중의 부침을 다루고 있지만 시대적 특징을 역사적으로 간명하게 설명하는 데 다소 미흡하다. 이 글에서는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 나오는 ‘6변설’을 바탕으로 경학의 역사적 특징을 조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유교 경학이 해체적 재구성을 통해 현대 사회의 요구와 조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Confucian canons are as rich as the history of Confucianism. The canons were not completed at a certain time, but grew constantly with the flow of the tim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s Studies, it is necessary to first look at the etymology and meaning changes of major concepts, including Jing經 and Zhuan傳. It is also necessary to look at the process of the Confucian canons extending from the Six canons六經to Four books四書and Four classifications 四部(經史子集).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Classics Studies by age. The history of Confucian Classics Studies an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show commonalities, so there are overlapping points. However, the two topics differ as much as the focus is different. Currently, the history of Confucian Classics Studies deals with how Confucian canon are passed down and the ups and downs of the weight of the times, but shows weakness in explaining historical and concise features of the times. In this article, we want to highlight 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lassics Studies based on the theory of six changes六變說claimed in the Sikuquanshuzongmutiyao四庫全書總目提要. Finally,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Confucian Classics Studies can adapt to the needs of modern society through a disorganized reconstruction.

      • KCI우수등재

        주렴계의 생태 사상

        신정근(Jeong keun Shin)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7

        유교는 일찍이 지구 생태계가 맞이하고 있는 환경 위기와 생명의 대멸종을 극복할 수 있는 사상 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유교사상 중 ‘만물일체(萬物一體)’설은 인간 중심주의와 대척 지점에 서있는 사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모든 존재가 하나의 덩어리로 이어져있기 때문에 한 생명체의 고통은 공감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감은 지구 생태계에 대해 인간 중심주의(anthropocentrism)가 관철하는 상황과 다른 대응과 책임을 요구한다. 주렴계의 ‘창전초부제’ 고사는 만물일체를 구현하고 있는 상징적 사건으로 주목할 만하다. 주렴계의 ‘창전초불제’ 내용은 아주 간단하다. 그럼에도 철학과 미학의 역사에 던진 영향은 적지 않다. 정명도도 유사한 체험을 하며 주석을 달았고 주희는 공자의 ‘무우귀영(舞雩歸詠)’과 주렴계의 ‘창전초부제’를 독서의 즐거움을 결합시켰다. 왕양명은 아예 “창전초부제 고사에 대한 최고의 주석을 달려고 노력했다. 창전초부제 고사는 사람이 세계를 이해하는 조그만 창을 넘어 형이상학적 체험이자 시적 정취이자 심미적 쾌감을 대변하는 큰 사건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창전초부제 고사는 ‘연비어약(鳶飛魚躍)’과 마찬가지로 세계를 인간중심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을 동류이자 동기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Confucianism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thought resource that can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the extinction of life that the earth ecosystem is are facing now. In this context, ‘Everything as One Body’ in Confucian thought are regarded as ideas standing at the opposite point with anthropocentrism. Because all beings are connected to a single body, the pain of a living creature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sympathetic. This empathy requires different responses and responsibilities from the situation in which anthropocentrism is carried out on the global ecosystem. It is noteworthy that the Zhou Lian-xi周濂溪 story of ‘Do not cut grass in front of the windo窓前草不除’(hereafter, ‘grass’ story) is a symbolic event that implements Everything as One Body. The contents of the grass story are very simple. Nevertheless, the impact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aesthetics is not so small. Cheng Ming-dao程明道 also had a similar experience and commented, and Zhu xi朱熹 combined Confucius’s ‘walk and dance on springtime舞雩歸詠’ story and the ‘grass’ story of Zhou Lian-xi with the pleasure of reading. Wang Yang-ming王陽明 tried to run the best commentary on the ‘grass’ story. The ‘grass’ story is seen as an important event that represents metaphysical experience, a poetic mood, and an aesthetic pleasure beyond the small window where people understand the world. In this way, the ‘grass’ story suggests a new perspective that looks at human beings and nature as the same kind同類 and energy同氣, not as anthropocentrism.

      • KCI등재

        노자는 앎을 부정하는가?

        신정근(Shin, Jeong-Keun) 한국동양철학회 2020 동양철학 Vol.- No.54

        공자와 플라톤은 지혜로 세상을 탐구하는 활동을 중시한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은 각각 好學과 Philosophy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노자는 지식을 부정하는 언급을 하는 듯하다. 이 때문에 노자가 반지성주의와 우민화를 주장하는 사상가로 평가된다. 이 글은 老子가 無知를 언급하지만 지식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부정하지 않고 지식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혹자는 無知의 문자적 독해에 주목하여 노자가 반지성주의와 우민화를 말한다고 주장하지만 이 글에서 그 주장이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노자가 부분과 개별로 구분하는 당시의 현실을 비판하고 보편과 전체의 세계상을 제시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위태롭지 않은 不殆와 손님이 되는 爲客의 평화로 안내하고자 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Confucius and Platon emphasize the activities of exploring the world with wisdom. For this reason, the two represent love to learn(haoxue 好學) and Philosophy, respectively. Laozi, on the other hand, seems to make a comment that denies knowledge. For this reason, Laozi is regarded as a thinker who claims to be anti-intellectualism and ochlocracy.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at Laozi refers to no-knowledge(ignorance) but does not deny the value of knowledge as a whole and suggests a new alternative to knowledge. Some people pay attention to the literal reading of no-knowledge(ignorance), claiming that Laozi refers to anti-intellectualism and ochlocracy, but I would like to criticize the claim as unfounded. And I will show that Laozi criticized the reality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hich is divided into parts and individual, and presented the world image of the whole and universal, and tried to guide people to peace that will be a guest without being dangerous.

      • KCI등재

        한국 풍류와 미학의 연관성

        辛正根(Shin Jeong-Keun)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3

        風流는 한ㆍ중ㆍ일에 공통으로 쓰이는 개념이다. 또 풍류는 한국의 고유 사상과 문화를 가리키는 말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많은 관심과 연구를 통해 풍류의 의미 맥락은 대체로 밝혀졌다. 반면 풍류 의미의 내적 연관성과 그에 바탕을 둔 개념의 지도가 재대로 그려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풍류에 대한 믿을 만한 자료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과도한 해석을 한 결과 생겨난 현상이다. 이 글에서는 群遊, 遊娛, 接化, 玄化를 풍류 의미의 핵심적 계기로 보고 그것들의 연관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유오는 풍류의 근본 조건이고, 接化는 풍류의 지향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풍류는 ‘사이 존재의 미학’이라는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Pyungru is the common concept used in Korean, Chinese, Japanese literature. Pyungru has been regarded as Korean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By virtue of many interest and research, the meaning and its context Pyungru has become quite clear. But it’s become obvious to us that the internal relation and map of concept about various meaning of Pyungru get confused. Although the authentic data have not been determinated, one used to gave an excessive interpretation. Because of over-interpretation one has not known yet the correct meaning Pyungru. In this paper I intend to analyzes the heart of Pyungru’ meaning, that is, 遊娛(Wandering-pleasure), 接化(Contact-change) and its relation. 遊娛(Wandering-pleasure) is the basic condition of Pyungru and 接化(Contact-change) is the important intention of Pyungru. To sum up, Pyungru is called Aesthetics of Between-Existence.

      • KCI등재

        유가의 ‘관계’ 윤리의 특성 연구

        辛正根 ( Shin Jeong-keun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5

        유학은 일상에서 사람의 관계를 중시한다. 이 때문에 유학은 개인을 본위로 하는 윤리가 아니라 관계를 본위로 하는 윤리라고 말한다. 사람은 부모(父母)와 군신(君臣) 등 다양한 인간관계에 요구되는 덕목을 실천하면 “사람다운 사람”이 된다. 즉 사람은 자신에게 요구되는 덕성과 인격을 갖추게 된다. 반면에 사람은 다양한 관계에 요구되는 덕목을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실천하지 못하면 “사람답지 않은 사람”이 된다. 즉 고대 문헌에서 말하듯이 “짐승보다 못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계는 연대의 인륜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대적 상황과 타자의 접촉에서 유학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때 관계는 긍정적 특성보다 부정적 특성이 부각되었다. 도가(道家)의 유위(有爲) 비판에서부터 근대(近代)의 가족주의 비판에서 관계는 사람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원인으로 간주되어 탈주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계는 억압의 사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유학에서 말하는 관계를 윤(倫)의 의미를 통해 살펴보면서 그 관계가 역사적 맥락에 따라 긍정과 부정의 두 측면으로 다루어지는 논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Confucianism values human relations in everyday life. For this reason, Confucian ethics is based on relationships, not on individuals. A person becomes a person if he or she practices the virtues required for various human relationships such as parents and children, monarchs and subjects. In other words, a person has the morality and personality that he or she needs. On the other hand, a person becomes a person who is not human if he or she fails to practice the virtues required by various relationships in part or in whole. In other words, as it appears in ancient literature, one becomes worse than an animal. In this context, relationships are the human race of solidarity. However, when Confucianism failed to respond properly to the times and other people’s contact, the relationship was more negative than positive.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suffering in modern familism criticism, from Taoism criticism. In this context, relationships are a chain of oppression. In this article, we are going to look at the relationship spoken in Confucianism through the meaning of “ryun倫” and look at the issues that are discussed in two aspects, positive and negative, depending on the historical context.

      • KCI등재

        유교 경전의 확립과정Ⅱ

        신정근(Shin, Jeong-Keun) 한국동양철학회 2020 동양철학 Vol.- No.53

        The Confucian canons are considered to have been established as six scriptur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Han empire. These claims are partly valid. However, there are some aspects that do not explain the phenomenon that appeared in the history of Canons Studies. For example, if the Confucian canons were established in Han empire,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explain the fact that Four books are listed as canons in later generations.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e fact that the Six canons is expanding into Thirteen canons. The Confucian scripture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established at a certain time but not finally complete and constantly expanding.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inks that were miss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fucian canons. First, with the emergence of weish(緯書), it revealsthe characteristics of complementing each other with gingsh(經書). Second, Four books emerge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existing scriptures system centered on Six canons. Third, Four classifications system reveals the aspect of expanding the extension of the Confucian canons by classifying various texts.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can find justification for the Confucian canons to be newly expanded and adjusted in modern times 유교 경전은 전국 시대와 한 제국에 이르러 육경으로 확립되었다고 간주된다. 이러한 주장은 부분적으로 타당하다. 하지만 이후의 경학사에 나타난 현상을 설명하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 예컨대 유교 경전이 한 제국에서 확립되었다면 후대에 사서가 경으로 열거되는 사실을 제대로 해명할 수 없다. 또 육경이 十三經으로 확대되는 사실도 제대로 해명할 수가 없다. 유교 경전은 특정 시기에 확립되지만 최종적으로 완결되지 않고 끊임없이 확장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글에서는 유교경전의 확립 과정에서 놓쳤던 고리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緯 書가 등장하면서 經書와 상호 보완하는 특성을 밝힌다. 둘째, 四書가 등장하여 기존六經 중심의 경전 체계에 영향을 끼치는 특성을 밝힌다. 셋째, 四部 체제가 역사적으로 축적된 다양한 문헌을 분류하면서 유교 경전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측면을 밝힌다. 우리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유교 경전이 현대에서도 새롭게 확장되고 조정될 수 있는 정당성을 찾아낼 수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