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詠史樂府를 통한 帝王의 讚詠鑑戒的 類型 考察

        신장섭(Shin, Jang-Seop)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본고는 영사악부를 통해 최고 권력자인 제왕들의 재임시절 행한 善政과 秕政을 讚詠鑑戒한 유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고찰의 대상이 된 인물은 신라의 유리왕과 진성여왕, 고려의 예종과 충혜왕이다. 대체로 역사서에 전하는 史話에 준거하여 李瀷은 유리왕과 예종을 讚詠의 대상으로, 沈光世와 李瀷은 충혜왕을 李福休는 진성여왕을 鑑戒의 대상으로 詩化하였다. 이익의 작품은 史實에 대한 서술이 충실할뿐만 아니라 서사적이고도 객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위정자들이 본보기로 삼아야 할 이상적인 노래로써 작가의 당대는 물론 후대까지도 감계를 주는 예종의 「도솔가」가 단절된 것에 대한 애타는 마음을 토로하였다. 또 「벌곡조사」를 통해서는 예종이 자신의 不德으로 충언을 들어줄 마음이 없었던 것을 自省하면서 政令을 펼치는 明堂을 개설하고 諫하는 길을 열어 신하들을 깨우쳤던 현명한 군주였음을 稱譽하였다. 그러나 충혜왕의 「아야마」에서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집단적으로 불려졌을 이 노래를 통해 온갖 凶悖함을 온 몸에 갖추고 있던 사람이 죽어서 元으로부터 忠惠라는 諡號를 받은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왕이 행한 가혹한 정치와 무도한 행동을 부각시켜 굳센 필치로 鑑戒하였다. 심광세는 초학자들이 자주적이고도 주체적인 우리의 역사를 올곧게 익히기 위해 春秋大義論에 입각한 褒貶意識과 筆削의 정신으로 집필된 『동국통감』을 읽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사관에서 그는 綱常의 倫理를 존중하고 節義를 숭상하면서 인물에 대한 讚詠鑑戒에 褒보다는 貶의 내용을 압도적으로 많이 다루었다. 그는 「아야마」를 통해 충혜왕의 弊政을 읊은 이러한 讖謠가 근거 없이 나도는 것이 아님은 물론, 임금의 비도덕적인 행위는 국가적 치욕인 데다가 죽음까지 초래하기 때문에 왕은 도덕적 修身을 해야 한다는 감계론적 의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복휴는 褒貶을 함축하고 春秋의 大義로 악부를 짓는다는 西厓의 악부제작 의의를 계승하면서, 史斷에서 ‘善善’과 ‘惡惡’의 의론을 드러냄을 통해 역사적 인물을 鑑戒하였다. 그는 「거인원」에서 진성여왕의 失政과 淫亂, 無度함을 감계하고자 邪의 상징물인 牝과 狐, 正의 상징물인 天과 鬼를 대치시킴으로써 正이 邪를 이기는 통쾌한 미학을 통해 事必歸正의 교훈을 남겼다. 이렇듯 영사악부는 포폄의식과 춘추대의에 입각한 필삭의 정신 그리고 뚜렷한 주체의식으로 충신과 간신뿐만 아니라, 여느 장르에서는 흔치 않은 최고 권력자인 제왕들이 행한 善政과 秕政까지도 讚詠鑑戒하였다. 그럼으로써 영사악부란 장르가 최고 권력자인 제왕의 행위에 대해서도 포폄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이러한 포폄의 내용이 초학자들에게 勸善懲惡이라는 교훈적 목적의식을 지니고 전승되기를 기대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action types of Chanyeonggamye for Sunjeong and Bijeong of the most powerful men, in other words Kings, during their reign period. The studying targets are Yuriwang, Jinseongyeowang of Sin-ra and Yejong, Chunghyewang of Goryeo. In principal, according to historical tale, Leeik poeticized Yuriwang and Yejong as the object of Chanyeong. Also Shimgwangse, Leeik poeticized Chunghyewang and Leebokhyu poeticized Jinseongyeowang as the object of Gamgye. Characteristics of Leeik’s works are filled with descriptions of the fact. Moreover, they have narrative features and maintain objectivity. He expresses his regretful opinions for disconnection of 「Dosolga」 of Yeojong which gives Gamgye not only that period but also future period. 「Dosolga」is the song of exemplary conducts of politician. Also through 「Bulgokjosa」, he praised Yejong. The reason is that he introspected himself and thought that the reason of lack of faithful subjects is because of his lack of virtues. Moreover, Yejong was a wise king who made the place for Jeongryeong and opened the way of recommendation in order to awake vassals. However, in Chunghyewang’s 「Ayama」, that probably be sung as a group, strongly criticized that the person who hided full of vices in his mind had received the name of Chunghye was not acceptable through standing out of the king’s severe govern and immoral behavior. Shimgwangse urged that Chohakja should read 『Dongguktonggam』 that was written with the Popyeom ethic and the sprit of Pilsak according to Chunchudaeuiron in order to make our history autonomously and independently. With this kind of view of history, he respects the logic of Gangsang, reveres Jeolui and deals with Chanyeonggamgye’s Po rather than Pyeom, He suggested Uiron that comes from Gamgyeron, which implies that king has to introspect morally. He mentioned that the circulation of song that criticize Chunghyewang’s misgovernment had have its own reason and immoral behavior of king would be national disgrace and also can cause death, And Leebokhyu succeed the meaning of making Akbu of Seoae that implys popum and and justification of Chunchu’s great cause. Also throughout disclosing the discussion of ‘Sunsun’ and ‘Akak’ in Sadan, he did Gamye of historical person. In order to Gamgye of losing political sense, obscene and immorality of Jinseongyeowang, he made confrontation of Bin and Ho that signify evil and Chun and gwi that signify justice. Through this highly delighted esthetic way that justice win evil, he has left a lesson for Sapilgwijeong that means justice will prevail.

      • KCI등재

        영사악부(詠史樂府)에 투영된 륜리의식(倫理意識)의 표현 양상

        신장섭 ( Shin Jang-seop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본고는 詠史樂府에 소개된 인물 중 國難이나 왕조교체기에 살았던 金后稷·成忠·勿稽子·乙巴素·吉再·死六臣을 중심으로 이들의 處身을 유교 윤리인① 忠諫 ② 不事二君 ③ 出處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忠諫’을 다룬 李瀷·林昌澤·南克寬은 신하 된 자는 生死를 초월해서까지 諫諍의 嘉納과 言路의 開放을 위해 忠을 다해야 하고, 그로써 大義名分을 이루어야 한다는 일관된 의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忠臣不事二君’을 다룬 李瀷과 金壽民 또한 忠臣不事二君이라는 義理와 名分 守護를 앞세워 이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出處’를 다룬 李瀷과 南克寬, 金壽民은 참된 선비는 현실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가와 임금을 위해 ‘致君澤民’하는 것이 당연한 길이나, 그 뜻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누구를 탓하거나 원망함이 없이 물러나 ‘獨善其身’하는 것이 군자의 본분이며 도리라는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Kim Hoojik, Seong Choong, Mul Gaeja, Eul Phasoo, Gil Jae and six dead loyal subjects, in the viewpoint of the confucian ethics-loyal remonstrance, unchangeable loyalty to one King, becoming a government official and retiring from the position. First, Lee Ik, Im Changtaek and Nam Keukgwan treating Kim Hoojik and Seong Choong show that a subject must not hesitate to give a direct advice to a King and must work for a great cause but they do not give attention to human conflict and agony behind the great cause. Next, Lee Ik and Kim Soomin treating Gil Jae and six dead loyal subjects accept the behavior of Gil Jae who retired from a public office according to the confucian cause that a subject must give his loyalty to only one King. Last, Lee Ik, Nam Keukgwan and Kim Soomin treating Eul Phasoo and Mul Gaeja show that when a confucian learned man becomes a government official, he has to help a King right and guide people into the right way, but when he retires from a public duty, he has to train himself for good deeds.

      • KCI등재
      • KCI등재

        李奎報와 蘇軾의 賦文學 比較 試攷

        신장섭(Shin Jang-seop)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5

        이 글은 중국의 賦文學에 대해 간략히 일별하면서, 李奎報와 蘇軾의 몇 작품을 피상적이나마 형식과 표현기법의 측면에서 비교 고찰한 논문이다. 중국의 賦文學은 그 연원이 깊고 작품수도 많으며 연구 또한 적지 않은 편이어서 중국고전문학의 한 영역을 자리함에 있어 부족함이 없다. 이에 반하여 우리나라의 경우는 중국에 비해 소홀한 편이며,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작품 수이나마 작품의 발굴은 물론 한ㆍ중간 賦 작품에 대한 정치한 비교 연구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얻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한문학의 영역 전반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균형을 잃은 심각한 문제이다. 본고에서 李奎報와 蘇軾의 賦 작품을 일별한 결과, 먼저 작품 수에서 6편과 20편으로 두 작가의 차이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李奎報의 「放蟬賦」와 蘇軾의 「後杞菊賦」를 선정하여 비교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李奎報는 아직까지 형식에 얽매인 느낌이 없지 않음에 비하여 蘇軾은 이미 그 형식의 굴레를 벗어나 자유로웠다. 표현 기법의 측면에서는 두 작가의 작품 전체를 개관한 후 비교ㆍ분석해야 마땅하겠지만, 지면 관계상 서정성이 강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李奎報의 「夢悲賦」와 蘇軾의 「屈原廟賦」만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李奎報는 아름답고 부드러우며 느릿한 문체로 주인공 왕손의 행태를 평가 없이 그렸고, 또한 그의 꿈을 빌려 무상한 인생을 보여줌으로써 부귀빈천에 대하여 깨닫도록 하고 있었다. 이 작품은 구절구절 아름답기는 하지만, 그러나 주제를 향한 힘이 많이 부족하였다. 이에 비해 蘇軾은 명쾌하고 힘이 있으며 속도감 있는 필치로 스스로와 굴원의 입을 빌려, 자신의 생각을 펼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의 문장은 군더더기가 없고 분석과 논리도 철저하여 독자로 하여금 절로 수긍토록 이끌고 있었는데, 다만 서정성이 부족한 것이 흠이었다. This study is superficial to a work of Igyubo and sosik, while briefly watching about Chinese's a prose poem, but it is the comparative paper that it considered in the sides of formal expression technique. The Chinese's a prose poem is deep in the origin, and there are a lot of the work and it is not be short the side which is considerable study too, and take the scope that classical literature did. On the contrary, a case of our country is the side which is careless compare with Chinas, and it is relatively a lot of work numbers, but a delicately comparative study regarding of a prose poem between Korea and China isthat was not able to get result not to mention excavations of a work. The work numbers that glanced at a prose poem work of Igyubo and Sosik is the difference was remarkable to six parts and 20 parts in the results. In the formal sides, tried to compare as Igyubo's 「Bangseonbu」 and Sosik's 「Hugigukbu」, therefore feeling to have affected to a format was yet at IgyuBo' work while Sosik' works got out of already the formal bond. The analysis and compare of work entire of two writer is appropriate for in the sides of an expression technique after summarizing. But, because paper, compared Igyubo's 「Mongbibu」with Sosik's 「Gulwonmyobu」 expressing a strong lyricism of their works. So as Igyubo was beautiful and soft style of writing., and drew an action of hero's WangSon without evaluation, and as borrowed his dream, was realized about prosperity and poverty by telling vain life. However, this work was beautiful by every a phrase, but force for the subject was very short. In contrast with, Sosik were debating own thought touching clear and strong by borrowed a mouth of by oneself and Gulwon. His sentence was leading while being so as there was not an excrescence, and analysis and logic were thorough, and to assent by a paragraph, but it was a crack that lyricism was short.

      • KCI등재

        「江南樂府」의 유교 윤리 고찰

        신장섭(Shin, Jang-seop)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6 No.-

        이 글은 순천지방의 역사서이면서 풍속지요 遺事考라고 할 수 있는 趙顯範(1716~1790)의 『강남악부』를 유교윤리의 중추정신인 ‘충 · 효 · 열부’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작자는 『강남악부』의 창작동기에서 밝힌 것처럼, 순천의 선조들에 대한 讚詠과 襃揚을 통해 선조들의 善行이 잊혀지지 않고 오래 전승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찬술하였다고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현범이라는 儒者가 바라본 유교의 중요한 도덕규범 중 선조들의 충절과 효, 열부들의 행위를 다룬 작품들을 선별하여 이들 작품들에 대한 미적 구조와 작풍의 의도를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유교의 중추정신을 실천한 주인공들의 행위를 시화하는 작가의 태도는 주로 순천의 邑誌인 『昇平志』 속 주인공들의 서사적인 요소만을 간추려 서술하고 있다. 다시 말해 창작에 있어서 발상의 참신함이나 표현의 창의성, 서정적인 의론이나 감정의 이입 등 문학에서 갖추어야 할 요소들이 여느 영사악부들에 비해서는 결여되어 있다. 그 이유는 조선조 사회윤리에서 행동규범의 최우선으로 삼고 있는 충절과 효행과 열부에 대한 순천의 숨은 사적을 되도록이면 사실에 충실하게 시화함으로써 그곳의 미풍을 널리 그리고 오래 보존하려는 작자의 의도가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The study analyzes Cho hyun-bum’s “Gangnamakbu,” which is a representation of the history, customs, and the heritage of Suncheon province from the vantage point of Confucian ethics: loyalty, filial duty, and propriety. The author compiled “Gangnamakbu” with the hope of passing down the deeds of the Suncheon ancestors through cultivating admiration towards them, as he reveals is his motivation in the book. This book selects the pieces of a Confucian Cho hyun-bum, which features loyalty and filial duty to ancestors and elders (the most important moral standards in Confucianism), as well as a commentary on the actions of virtuous women. Moreover, the book examines the aesthetic structure and the stylistic intent of the selected pieces. The author only depicts the descriptive elements of the main characters in Senungpyeongji, which is a town chronicle of Suncheon, when illustrating their deeds. In other words, Cho hyun-bum’s “Gangnamakbu” lacks some literary qualities such as novelty of ideas, creativity, lyricism, and empathy, compared to that of other Youngsaakbu. Through realistically illustrating the hidden historical record of Suncheon regarding loyalty, filial duty and virtue,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social ethics in the Chosun Dynasty, the author’s intention of preserving and passing down these customs overshadows the potential literary qualities.

      • KCI등재
      • KCI등재

        〈동국악부〉를 통한 원교(員嶠)와 신재(信齋)의 역사 인식 고찰

        신장섭(Shin Jang-seop)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2

        〈동국악부(東國樂府)〉 30편은 이광사(李匡師)가 1758년 함경북도 부령(富寧)에 정배(定配)된 이후 7년 동안의 유배시절 지은 작품이며, 여기에 원교의 둘째 아들 영익이 화답한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부자가 함께 동일제목으로 수창(酬唱)한 최초의 영사악부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단군 조선의 건국과 내력을 읊은 '태백단(太伯檀)'으로부터 고려에 충절을 지키느라 조선에 벼슬하지 않은 선비들의 절개를 높이 찬양한 '두문동(杜門洞)에 이르기까지 주로 우리나라 전래의 건국 신화와 설화 등을 소재로 해서 장단구(長短句)의 형식으로 읊은 것이다. 유배생활에서 오는 고단함과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그리고 자질(子姪)에 대한 원교의 교육열이 계기가 되어 창작된 이 작품과, 여기에 화답한 신재의 작품에 대해 본고에서는 모화(慕華)와 탈중화(脫中華)의 맹아(萌芽), 비과학적 사료(史料)의 수용과 실증주의라는 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의 대상이 된 작품들은 '황하가'ㆍ'조촉사'ㆍ'영천기'ㆍ'성모사'이며, 이 작품들에는 부자간 역사인식의 차이가 깊숙하고도 분명하게 자리잡고 있다. 원교는 우리민족의 상고사에 대한 자주적인 역사의식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으나 당과 신라의 관계를 군신간 종속적으로 보고 있으며, 박혁거세를 중국 제실(帝室)의 딸인 성모의 아들로 묘사하는 등 모화와 사대의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아울러 고대 국가의 성립에 대해서도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안목으로 사료(史料)를 고찰하지 않은 채설화적이고 비과학적인 사료들을 그대로 수용하는 한편, 사서에 없는 내용까지도 풍부한 상상력과 표현력을 동원하여 자신의 주관적 감회와 정서를 담아내었다. 신재 또한 화이관(華夷觀)이나 사대성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라나 부친과는 달리 중국과 대등한 관계로까지 보고자 하는 자주적이고도 주체적인 역사인식이 미미하게 싹트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는 성호(星湖)처럼 역사적으로 분명하게 실증되거나 고증될 수 있는 자료만을 신뢰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대역사에 있어서 과학적 엄밀성과 정확성을 강조하였다. 그렇기에 굴원이『천문』을 지을 때의 태도처럼, 그 또한 신화나 전설의 유래가 황이(荒異)하고 불경(不經)스러워 사람들로부터 의심을 받거나 기롱당할 만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이를 반드시 편제(篇題)에 기록하는 의식을 보였다. 30 volumes of Dong Guk-Yuefu was worked by Lee, Kwang-sa when he was condemned to exile in Bu-ryeong, North-Hamgyeong province in 1758 The work was made there for 7 years by him and his second son, Yeon-ik's responses. So the work can be the first Yeong Sa-Yuefu made by the father and son under a title. It was composed of the stories from Tae-Baek-Dan(태백단) which recorded Dangun Chosun's foundation and its origin to Du-Mun-Dong(두문동) highly praising the scholars' integrity who had not obtained any posts in Chosun government to keep their royalty to Goryeo. The work recited a traditional foundation myth and tale of our country using the pattern of Long-Short phrase. Won-Kyo had created this work to relieve tireness and solitary in a place of exile and his educational interest in his son and nephew. His son, Sin-jae had made the work to respond his father's letters. In the study I have analyzed the work in the part of the worship of Chinese civilization and the base of exit-Chinism, the receptivity of non scientific-historical materials and positivism. I have picked up some pieces of the work, Hwanghwa-ga, Jochok-ga, Yeongcheon-ga and Seongmo-sa to analyze. There were their deep differences of historical cognition among the pieces. Won-Kyo had historical independent cognition about our ancient times but he viewed the subordinate relation between Shila and China. He openly expressed a worship of Chinese civilization and a trimming policy such as he regarded Pak-Hyeok-Geo-Se as the son of chinese emperor's niece. Also he didn't examine the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foundation of ancient county with logical and critical view. He quoted narrative and non scientific-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ancient country's foundation. He even used his imagination, emotion and sentiment to write them. Through Sin-jae fully didn’t overcome the worship of Chinese civilization and the trimming policy, he got a deep different view from his father. He had tried to treat the equal relation between China and Shila with a sense of dependence and sovereignty. He only trusted the historical materials which could be actual proofs and research. He also emphasized scientific exactitude and accuracy in ancient history. He recorded the materials with another titles which origins were not clear and strange so people could doubt and ridicule them. He also expressed them by poetry.

      • KCI등재

        「사금갑(射琴匣)」 설화의 영사악부(詠史樂府) 전승과 그 의미

        신장섭 ( Shin Jang-seop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이 글은 「射琴匣」 설화의 영사악부로의 전승 양상과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占畢齋는 8구의 짧은 詩形에서 ??라는 시어의 반복 사용과 강조를 통해 신라 내전의 부패를 神物의 도움으로 보전하였다는 시각에서 까마귀의 神異性을 강조한 반면, 星湖는 사건의 전개과정에 따른 서사위주의 시적 변모를 꾀하되 신라 내전을 도와준 것은 까마귀가 아니라 귀신임을 강조하였다. 休翁은 설화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고려하면서 신라의 지나친 숭불행위와 死體를 화장하는 등의 괴이함을 숭상하는 습속을 지적하였고, 明隱은 문학적 美辭麗句나 煩文 없이 사실의 전달에 치중하면서 평이한 시어로 전승하였으며, 落下生은 錦臂·金?같은 시각적 언어 사용과 잡언체의 활용으로 궁궐에서 벌어질 위험을 극대화시켰다. 「사금갑」을 전승한 이유는 설화의 신이성에 대한 흥미로움과, 排佛·前車覆後車戒의 교훈을 통해 이상적인 유교사회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해서였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transmission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of SaGeumGap which was showed on YoungSa-Yuefu. The materials of its narrative were used in SamGukYuSa by five writers, JeomPhilJae, SeongHo, HyuOng, MyungEun, NakHaSaeng. Pil-ho Jeom used relatively short eight pharases in his poem titled “Dalho”. In its poem, he repeated the tittle so often that he surpassed the poetic mood. And then he focused on less description of historical facts but on more writer's lyrical empathy. Using the writer's empathy he showed the crow's godlikeness which saved unified Sila from the a part of corruption. Otherwise SeongHo tried to show poetic variety and presented events and happenings in detailed. He insisted that not a crow but a ghost helped his dynasty, Shila. He didn't express his opinion clearly about Chun(Heaven) and Shin(God). He excluded, if possible, mythical materials but he mentioned "Gwi(God) a lot in his writings. His writing of the narrative, SaGeumGap was cleary distinguished from other writings which supported the dynasty with the power of new religion, Buddhism and the opposition's antagonism. He described the antagonism between them. HyuOng wrote his work on the basic of a narrative but he used more poetic sentiment and less description of historical facts. The creative intention of YoungSaAkBu focused on not historical description but lyrical ego-importances. He criticized over-Buddha worship and found out the cause of the fall of the country on it. MyungEun used ordinary terms and transmitted the fact without flowery languages. In the narrative, SaGeumGap, he didn't show a historical contents but just narrative factor so his writing didn't keep literature transform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works but he criticized that the shamanism like OhGiYil was showed to support the power of royal. NakHaSaeng used the poetic terms like GeumBi, GeumBak and long and short phrases. He expanded the danger coming to a royal family and raised up the level of poetical tension. But in his writing god-likeness was not able to find out. He also had a negative view about god. He only had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Buddhism but it was not strong like HyuOng and MyungEun.

      • KCI등재

        「箕東樂府」의 修辭技法과 美的 특질

        신장섭(Shin, Jang-seop)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3

        이 글은 明隱의 「箕東樂府」에 사용된 修辭의 技法과 美的 특질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작가가 의미의 轉移를 위해 사용한 比喩의 내용들과, 작품의 주제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한 강조의 형식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작가가 의미의 轉移를 위해 사용한 比喩들은 洪範九疇의 ‘一疇’, 隋煬과 陳后가 벌인 ‘토목공사’, 중국 역사상 최초로 易姓革命을 일으켜 세웠던 ‘殷의 멸망’, 남성의 굴하지 않는 기상과 엄격하고 바른 품성, 외모의 훌륭하고 우아함, 그리고 여인의 아름다운 용모와 절개를 나타내기 위한 ‘玉’, 추강 위에 핀 ‘연꽃’ 등이었으며, 이러한 비유가 잘 드러나는 작품들로는 <湛樂歌> · <道琳謠> · <三別抄> · <石灘歌> · <都彌妻> · <金閼智> · <八關會> 등이 있다. 한편 주제를 극대화하고 강조하기 위해서 작가는 악부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同語의 반복’과 ‘對句’, ‘奈何乎’와 ‘胡’ 등을 시어로 구사하였으며, 이러한 시어를 통해 형식의 다양한 변화를 보인 작품들로는 <繁華歌> · <諫獵謠> · <梅月堂> · <政堂曲> 등이 있다. 그러나 몇몇의 작품들에서는 비유와 강조의 수사를 혼용하여 주제의식을 더욱 강하게 드러내기도 하였다. 또한 명은의 수사적 태도는 대체로 典據를 끌어오거나 악부시에서 관습적으로 쓰이는 ‘君不見’을 적절히 수용하여 詩想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동어반복과 수미상관적 구성 그리고 문답과 대구의 구성을 통해 자신의 의논을 강조하거나 종결짓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을 왜곡됨이 없이 충실히 전승함과 동시에 작품의 미적 요소들을 잘 담아내야하는 악부시의 특성들을 명은은 잘 표현해 낸 작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명은의 「기동악부」라는 작품에 대한 주제의식과 그동안 논의가 미흡했던 수사를 통한 작품의 미적 특질들이 어느 정도 밝혀졌으리라 생각한다. This paper analyzes rhetorical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in Myeongeun’s Kidongakbu. The research focuses on in which the author maximizes and highlights the themes through metaphoric contents and structural transition. The works that expose the use of metaphor in conveying meaning “Works demonstrating structural transition as a tool to maximize and emphasize thematic content include “Bunhwaga,” “Ganryepyo,” “Maewoeldang,” and “Jeongdanggok.” In addition, Myeongeun’s rhetorical attitude generally seeks to convert poetic content by accepting “Gunbulgyeon,” which is traditionally used in Akbusi, or by parodying a source. On the other hand, the poems can also be characterized by a strong emphasis on using, rhyming couplets, and. The discussion up to this point will thus identify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the format characteristic of Myeongeun’s Kidongakbu.

      • KCI등재

        ‘포석정(鮑石亭)’ 관련 영사악부(詠史樂府)의 창작 의도와 시적 변모

        신장섭 ( Shin Jang-seop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3

        이 글은 鮑石亭 宴會를 시화한 작품들의 構造와 特性을 비교분석하면서 작품의 창작의도와 시적 變貌들을 규명한 것이다. 星湖는 比喩와 典據를 통해 질탕한 포석정 연회와 임금의 폐정을 貶毁하되 시청각적 효과를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상황의 심각성을 제기하였다. 藥山은 對句와 疊語를 이용한 聲韻의 조화를 맞추면서 위정자들이 내치에 힘쓰고 국경의 방비를 견실하게 해야 했음을 강조하였다. 圓嶠는 ‘시이도회’란 시어를 반복적으로 되풀이하여 分段하면서 같은 시구와 韻律을 반복 배치하는 首尾雙關을 통해 시상을 강조하였다. 潭村은 ‘宴’이라는 악부시제를 통해 신라가 결국 멸망할 수밖에 없었음을 의식적으로 드러내었고, 明隱은 ‘歌’라는 악부시제를 통해 음영성을 중시하면서, 궁녀들의 죽음을 ‘玉樹後庭花’란 고사를 통해 감계의 뜻을 분명히 드러내었다. 信齋는 매 구마다 중간과 끝의 押韻을 통하여 음영의 리듬감을 살리면서, 시각과 청각의 다양한 시어를 통해 환락에 탐닉한 景哀王의 몰락상을 묘사하였다. 洛下生은 포석정에서 기인된 재앙의 충격과 탄식을 感歎詞와, 慣用句를 통한 압축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감정을 이입시켰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reation and the poetic transformations of the wor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ks that illustruates Poseokjeong banquet, which was the cause of the death of King KyungAe and the destruction of Silla . Sung-ho denounced the purgatory banquet by using comparative metaphors and literary references, yet raised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through audiovisual effects. Yaksan emphasized that Silla was a country destined to collapse and that the prime ministers had to secure the boarders while meeting the rhymes using rhyming couplets and repetition. Wonkyo repeats the poetic word, “Siyidohoe”, to maintain its format as a long novel. He also stresses his poetic concepth by repeating the first and last paragraph of his piece. Wonkyo's work is differentiated with other works in that he seeks for the revival of Silla dynasty, unlike other pieces in which derogates the state of the dynasty. Damchon title his work Poseokjeong to highlight the purgatory state of banquet and conciously reveal that Silla was destined to collapse through using Akbusije “Yeon”. Myeongeun titles his work “Bunhwaga” and stressed the importance Akbu through the use of “Ga”. He focuses on the death of royal servants and uses the idiom “Oksuwhojeonghwa” clearly depreciating the dynasty. Shinjae describes the collapse of King KyungAe who is indulged in pleausre, thorugh the use of autovisual poetic words. His work also displays rhythmic sense through rhymes in each phrase. Shinjae expresses his impressions observing Poseokjeong through appropriate exclamations. His work attracts its readers by compactly using the terms and idioms so that the readers could feel the em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