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모델에서 배양 구강상피를 이용한 근-점막 피판의 형성에 관한 연구

        신영민,정헌종,안강민,박희정,성미애,김성민,황순정,김명진,장정원,김성포,양은경,송계영,이종호,Shin, Young-Min,Chung, Hun-Jong,Ahn, Kang-Min,Park, Hee-Jung,Sung, Mi-Ae,Kim, Soung-Min,Hwang, Soon-Jung,Kim, Myung-Jin,Jahng, Jeong-Won,Kim, Sung-P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7 No.3

        Purpose : Extensive defect of oral and maxillofacial area is usually reconstructed with composite flap including skin paddle. However, if the defects are lined with only skin components, the mucosa's role in mastication and texture are not restored. Furthermore, stiffness and hair-growing prevent denture rehabilitation and good oral hygie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mposite soft tissue flaps including the skin and to make a model for myo-mucosal flaps. Materials and methods : Buccal mucosa sized $0.5\times1.0\;cm^2$ from New Zealand rabbit (around 1.5kg) was harvested and cultivated by the modification of Rheinwald and Green's keratinocyte culture method. Cultured mucosa was grafted on the fascia of latismus dorsi as form of mucosal sheet. After 7, 10, 14 days, the myomucosal flap was excised and evaluated under light microscope with H & 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s control group, harvested buccal mucosa from rabbit was transplanted to gracilis muscle(n=6). Results : From 7 days after prelamination, the basal layer of the grafted mucosa resembled that of normal mucosa. As control group, transplanted mucosa had original shape but there's slight inflammatory reaction. Prelaminated mucosa has 19.8$\pm$4.59 cell layers and some samples have more than 20 layers. The expression rate of PCNA was relatively strong (42.9%$\pm$14.1) at the basal layer of grafted mucosa and the laminin was found at the basal layer. On the contrary, prelaminated mucosa at 10 days showed moderate expression rate of PCNA(32.4%$\pm$4.62). We found the mucosal layer was somehow disappeared and there is strong inflammatory reaction. After 14 days prelamination, the grafted oral keratinocytes were almost disappeared and expression of PCNA was not observed. Conclusion : We can make 75 fold large mucosal($3850mm^2$) sheet from small samples of mucosa $(50mm^2)$. Epithelial sheet that grafted on the fascia of muscle underwent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But after 10, 14 days, there was strong inflammatory reaction and the grafted mucosa was destroyed from surface layer. In rabbit model, transfer of fascio-mucosal flap should be done from 7 to 10 days after prelamination.

      • KCI등재

        돌봄 관점에서 본 이중빈곤연구의 의의와 한계

        신영민(Young-Min Shin),김희강(Hee-Kang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1

        이 논문은 돌봄 관점에서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연구를 평가하고 이중빈곤연구가 돌봄을 고려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이중빈곤연구는 다중불평등 문제, 여성에게 가해지는 이중 부담과 같은 문제의식을 돌봄 관점과 공유한다. 또한 돌봄노동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일자리의 노동조건개선, 유배우자 여성가구주에 대한 돌봄 지원 확대를 언급하는 점 등에서 시간과 불평등 연구만이 아니라 돌봄 논의에도 일정한 함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중빈곤연구가 돌봄 관점을 보다 포용하기 위해서는, 분석과정 내에서 돌봄을 보다 체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적 함의에서도 노동과 돌봄에서의 성별 및 계층별 평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중빈곤연구는 돌봄을 잔여적으로 간주하는, 즉 기존에 돌봄이 제공되는 방식을 비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돌봄을 보다 면밀하게 고려할 분석 아이디어로 빈곤 유형별 돌봄시간 비중과 돌봄분담률 등을 제시하며, 시간빈곤과 이중빈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함께 돌봄’의 확대와 돌봄의 사회화가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xisting studies of dual poverty of time and income from the perspective of care. In general, dual poverty studies concern issues such as multiple inequalities, the double burden imposed on women, the improvement of women’s jobs that occupy a considerable portion of care work, and the expansion of care-support for female spouses. In this regard, dual poverty studies seem to have some positive insights not only to the time & inequality research but also to that of care. However, in order the existing dual poverty studies to be further care-sensitiv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y need to take care into consideration more systematically in the analytical process of dual poverty as well as their policy implications. Also,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existing dual poverty studies should be able to criticize the current way how care is merely treated as a residual issue. To conclude, while proposing the care-time/care-burden ratio by the type of household as an idea of analysis, it argues for the extension of ‘caring-with’ and socialization of care as the effective solutions for time and/or dual povert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노동시간 계층화에 대한 연구

        신영민(Shin, Young Min),황규성(Hwang, Gyu Seo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3

        이 글은 노동시간의 소득계층별 차이와 분포 및 추이를 드러내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노동시간을 주변적시간제, 시간제, 표준노동시간, 장시간으로 구분하고 소득분위별 상대분포를 비교한 결과, 소득 하위 20%는 주변적시간제 내지 시간제일자리에, 소득 2분위에서 4분위까지 60% 가량이 장시간 노동에, 상위 20%는 표준시간노동에 종사하였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단시간-저소득의 유형 Ⅰ, 장시간-중위소득의 유형 Ⅱ, 표준시간-고소득의 유형 Ⅲ으로 계층화된다. 노동시간 유형에 대한 패널 다항로짓 분석결과 월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저임금-단시간, 중위임금-장시간, 고임금-표준시간의 유형이,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저임금-초장시간, 중위임금-장시간, 고임금-표준시간 유형이 확인되었다. 시간당임금 및 월임금, 비정규직 비율, 직업군, 연령대를 중심으로 노동시간의 계층화가 심화되었다. 소득 하위 20%에 대해서는 최저임금 인상, 중위소득 60%를 포함한 다수의 노동자에 대해서는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고용창출이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is working-time of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 and the distribution” by a stratum. Classifying working-time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marginal part-time, part-time work, standard-time work and long-time working, it compares the relative distribution by income quintile. The outcome is as following : 20% of low-ranking income quintile are (marginal) part-time working, 60% from income quintile 2 to 4 are in long-time working and 20% of top-ranking income quintile are in the standard-time working in overall. Working-time classes can be divided up into three: short time-low income of type 1, long time-medium income of type 2 and standard time-high income of type 3. Analysing working time type, the low wage-short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month and low wage-very long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hours are confirmed. Also, stratification of working- time has been intensified in terms of age, jobs and work status. Policy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increase of minimum wage to the lowest income class and creation of employment by the reduction of working-time to the medium income class could be effective policies.

      • KCI등재

        구순구개열 환자를 위한 상악 악교정 수술

        신영민(Young-Min Shin),권대근(Tae-Geon KWON) 대한치과의사협회 2015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3 No.7

        In cleft lip and palate (CLP) patients, there are various degree of residual maxillofacial deformities in adolescent period. Usually, orthoganthic surgery for the cleft patients needs Le Fort I osteotomy and/or mandibular set back surgery. Previous report from other institute had been shown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pse after maxillary movement after Le Fort I osteotomy when the surgical advancement of the maxilla was over than 5 or 7mm in average. Recent comphrehensive report showed that most of the relapse was happened within 1 year and the total horizontal relapse of the maxilla was as high as 30% in average. Therefore, overcorrection is needed in maxillary surgery for cleft patients. Another concerns for cleft orthognathic surgery is the anatomical variation in pterygomaxillary region in cleft patients compared to control patients. Patients with CLP had larger and thicker pterygomaxillary dimensions, and the results imply that careful attention to pterygomaxillary anatomy is needed in patients with CLP undergoing Le Fort I surgery. This article reviews the pre and postoperative considering factors for orthognathic surgery for CLP patients.

      • KCI등재

        경찰과 검찰간의 합리적 수사권배분을 위한 입법론적 고찰

        신영민(Young-Min Shin),박광섭(Kwang-Sub Par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1

        2011년 검찰의 개혁의 일환으로 국회중심으로 형사소송법을 개정하였다. 이는 경찰의 수사개시·진행권의 부여, 검찰청법의 경찰의 복종의무의삭제로 경찰의 수사현실을 반영하고 경찰의 수사주체성을 인정함으로써 그간 검찰주도적 수사에 대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한 입법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형사소송법의 개정취지를 일탈하고 오히려 검찰권을 강화하고 경찰 수사개시·진행권을 더욱 제한하는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의 제정은 국회·언론·학계는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많다. 즉 견제 받지 않는 검찰권만 확인한 수사권 조정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국민의 권익과 인권을 보장받는 형사 소송구조로의 변화를 위해서는 형사소송법의 재개정이 필요하다. 즉 검·경간의 관계는 한걸음을 더 나아가서 경찰에게는 수사권의 권한과 책임을 주고, 검찰은 기소권을 행사하는 조직간 적절한 권한 분배를 통하여 선진 형사소송구조가 가지고 있는 견제와 균형의 민주주의의 원리를 도입하여야 한다. Criminal Procedure Act is recently amended by the National Assembly as a part of reform of the prosecution. It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as legislation to correct problems of prosecutors’ leading investigation by reflecting the police’s reality of investigation and acknowledging the subjectivity of police’s right for investigation through granting the right for commence of police’s investigation and progression and deletion of police’s obedience obligation in prosecutor’s office Act. However, there are predominant opinions in National Assembly, media and academia that enactment of “regulation regarding prosecutors’ search command on judicial police officers and judicial police officers’ investigation regulation” which deviates from the intent of Criminal Procedure Act amendments, enforces prosecution’s right and limits police’s right for commence and progression will have problem. In other words, it is the adjustment of right for investigation to identify that prosecution’s right without checks. Thus, re-amendment of Criminal Procedure Act is needed for change towards criminal proceeding structure which actually secures privilege and human rights of people. In order words, the relation between prosecution and police shall take one step forward to grant the privilege and responsibility of investigation ability and the prosecution performs right for prosecution. Through appropriate distribution of privilege, principle of democracy with checks and balances which advanced criminal procedure structure has shall be introduced.

      • 소방대원 시야 개선 장비 개발을 위한 영상처리 기술 화재현장 적용성 분석

        신영민(Young Min Shin),임유리(You Ri Lim),김황진(Hwang Jin Kim),강동구(Dong Goo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진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복잡한 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정확한 판단을 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소방대원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대원의 원활한 대응 활동을 위한 영상기반 시야 개선 장비 개발을 목적으로, 한국전기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처리 기술을 다양한 파장대의 영상에 적용하여 화재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화재현장 적용성 분석을 위해 연소실험과 실화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영상처리 기술은 가시광(VIS, Visible light), 근적외선(NIR, Near infrared), 장파장 적외선(LWIR, Long-wave infrared) 대역의 영상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술을 고도화하였다. 연소실험은 길이 6m, 폭 3m, 높이 2.5m로 구획된 공간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시광대역의 영상보다는 근적외선, 장파장 적외선 대역의 영상에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하였을 때 시야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재 현장과 유사한 짙은 연기 상황에서의 영상처리 기술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물화재 실험을 진행한 결과, 검은 연기에 대해서는 장파장 적외선 대역의 영상에서 영상정보가 존재하여 영상처리 기술 적용 시 시야개선에 더욱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처리 기술의 실효성 검토, 향후 장비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해 다수의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한 시야 개선장비를 개발할 경우, 사물의 위치와 형태 등이 파악 가능하여 소방대원의 시인성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향후 시야 개선 장비를 개발할 때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소형화, 경량화, 내구성, 휴대성, 편리성으로 도출되었으며, 주로 기존에 사용하는 장비에 부착하는 형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야 개선을 위한 장치 개발 연구를 지속 추진하여 연기로 가득 찬 위험한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의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방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화재현장의 소방대원 시야 확보를 위한 영상처리 기술 효과성 검토

        신영민(Young Min Shin),김동환(Dong Hwan Kim),김황진(Hwang Jin Kim),강동구(Dong Goo Kang),배영민(Young Min Ba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3

        화재 시 신속한 진압 및 원활한 구조·구급활동을 위해서는 시야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시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한국전기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중스케일 레티넥스(Multi ScaleRetinex, MSR)와 연기 농도 균일화 처리를 결합한 시각강화 영상처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짙은 연기 상황에서 영상처리 기술의 시야 개선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밀폐된 구획실에서 연기의 발생량에 따른 시야를 단계화하고 영상처리 전·후 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시야는 각 숫자판의 인식 가능한 거리에 따라 7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한 결과 최대 4단계까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기술의 수요자인 소방대원을대상으로 해당 연구결과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3.5 m 이상 시야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fire,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visibility of firefighters for emergency activities (for example, fireextinguishment, rescue, and first-aid). In the present study,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for visibility enhancementdeveloped by the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as use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firefighters. Imageprocessing technology for visibility enhancement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Multi-Scale Retinex and smokeconcentration equalization processing.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n thick smokeconditions, the visibility was classified depending on the smoke generation in an enclosed compartment. In addition,comparative before and after evalu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was performed quantitatively. The visibility wasdivided into seven levels depending on the recognizable distance of each number plate. Thus, the visibility was improvedfrom a maximum of four levels. Additionall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eld crews who are the consumersof this technology; a view of more than 3.5 m was required to use this technology in fire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