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부모애착과 분리-개별화의 차이

        신선임(Shin, Sun-Im)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생 407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부모애착과 분리-개별화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따라 부모애착 하위변인 소외감과 분리-개별화의 차이가 있었으며 자세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고위험 사용자군 4.9%,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11.1%, 일반 사용자군 84.0%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독 수준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라 부 애착과 모 애 착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부 애착과 모 애착의 하위변인인 소외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부모와의 애착과 관계에서 소외감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군별로 분리-개별화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은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분리-개별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부모와의 분리-개별화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과 지도에 주는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gained from analyzing data on a total of 407 college students in Seoul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parent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according to the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test the differences,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was applied. In result, isolation in the parent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detail were as follow: First, the high risk group rate was 4.9%, the potential risk group rate was 11.1%, and the general user group rate was 84.0%. Also, there is a difference among the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on gender. Second, the potential risk group as compared to the general user group scored higher on isolation in parent attachment. It means the potential risk group felt more isolated as compared to the general user group. Third, the high risk group and the potential risk group as compared to the general user group scored higher on separation-individuation. That is, the high risk group and the potential risk group experienced more the difficulty of separation from parent and individu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차이

        신선임(Shin Sun-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들 군집유형에 따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 서울지역 대학생 450명을 대상을 실시한 설문지 가운데 4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공선택동기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을 군집분석한 결과, 총 4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군집 1은 ‘갈등적 동기 진로혼란 집단’으로, 군집 2는 ‘내재적 동기 진로결정 집단’으로, 군집 3은 ‘외재적 동기 진로미결정 집단’으로, 군집 4는 ‘외재적 동기 진로결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군집유형에 따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자기비난적 우울은 군집 3이 가장 높았고 군집 1, 군집 4, 군집 2 순이었으며, 군집 3과 군집 1은 군집 2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의존적 우울은 군집 3이 가장 높은 의존적 우울성 향을 보였고 군집 1, 2, 4순이었으며, 군집3은 군집 2와 군집 4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 수준 양상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대한 전공 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역할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llege students manifest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how the cluster typ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affects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The data of 409 college students who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t March, 20017. Cluster analysis using the sub-scal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which is, introversive motivation and extroversive motiva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yielded four cluster types. The first cluster was identified as ‘conflicted motivation and career confused group’. The second cluster was labeled as ‘in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decided group’. The third was ‘ex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undecided group’. The final was ‘ex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decided group’. Analyses on the effects of those cluster types on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revealed: Cluster 3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self-critical depression followed by Cluster 1, 4, and 2. Clusters 3 and 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lf-critical depression than Cluster 2. In dependent depression, Cluster 3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dependent depression followed by Cluster 1, 2, and 4. Clusters 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endent depression than Cluster 2 and 4. These results confirmed classifications of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found to be reinforcing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respective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의 매개효과

        신선임(Shin Sun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전공선택동기를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었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둘째,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는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재적 전공선택동기 및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ec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on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versus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Methods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undergraduate students. The data of 450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utilized. Th bootstrapping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Results The main results included: First,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did significantly affect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s This study sought to elaborat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to career decision leve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