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ix Lepidoptera for the fauna of Korea (Insecta: Lepidoptera)

        신보라,김성수,이재영,최세웅 국립중앙과학관 2023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6 No.4

        We report six moth species in six families (Lypusidae, Sesiidae, Zygaenidae, Pyralidae, Noctuidae, and Geometridae) that are unrecorded or doubtfully known from Korea. We provide taxonomic information, description, and figures of male and female genitalia if possible.

      • KCI등재

        대상집단의 사회적 형성과 청년 정책 동태성 분석: 청년기본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신보라,박형준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in youth policies according to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youth, policy target groups. To this end, based on the social construction theory of Schneider & Ingram(1993), the 2010s, which can be said to be a turning point in youth policy, were divided into the 19th National Assembly (2012-2015) and the 20th National Assembly (2016-2020), looked at the types of social construction and movement trends of the youth. And, changes in policy were explor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youth-related bills of the 19th and 20th National Assemb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youth group, which was a dependent group, moved to the borderline of entry into the advantaged group through the 20th National Assembly period. In particular, the passage of the Basic Act for Youth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moving to a advantaged group based on the strengthening of political power along with the positive social image of the youth. In addition,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nd the threat of re-election,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s Youth Framework Act and the efforts of youth Policy Entrepreneur, acted as drivers for change in the target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and topographicalizes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youth, which has not been examined by social construction theory,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attributes of the youth, who are policy consumers rather than the attributes of policy makers, on the legislative policy process. 본 연구는 정책대상집단인 청년층의 사회적 형성에 따른 청년정책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Schneider &Ingram(1993)의 사회적 형성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청년정책의 전환기라 할 수 있는 2010년대를 19대 국회(2012-2015년)와 20대 국회(2016-2020년)로 구분하여, 청년의 사회적 형성 유형과 이동 추이를 살폈다. 또한 19대 및 20대 국회의 청년 관련 법안 처리 결과를 분석·비교하여 정책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의존집단이었던 청년층은 20대 국회 시기를 거치면서 수혜집단으로의 진입 경계선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청년기본법 통과는 청년의 긍정적 사회적 형상과 함께 정치적 권력의 강화를 바탕으로 수혜집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나타난 결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정치적 환경, 선거의 재선 위협 등 외부적 동인과 지방정부의 청년기본조례 영향, 청년층 정책혁신가들의 노력 등 내부 동인은 대상집단 변화의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적 형성이론이 검토하지 않았던 청년층의 사회적 형성을 살펴 지형화했다는 점, 정책입안자의 속성이 아닌 정책 수요자인 청년의 속성이 입법 정책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신유물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회화적 수행 연구

        신보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interly act not as a separated boundary between humans and materials, but through a material monistic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painterly actions and expressions through a material monistic approach.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analyzing a series of paintings produced by the researcher between 2019 and 2022, focusing on vital materiality in new materialism, material self-organization and emergence, and material-phenomenon and intra-action concepts to provide a philosophical basis. The researcher considers painterly performance and material creation as equal and focuses on the material concept presented in new materialism.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work, all elements such as the artist, tools, materials, time, and space are formed through material exchanges, and the work is created through this process. This research understands the creative act as material creation, which includes physical and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body, mind, consciousness, and sensation. Moreover, it emphasizes the interaction between materials and seeks to understand the event of material creation through i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forms and expressions of painting not limited to human experience but in the material dimension. Through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er emphasizes that the production and appreciation of art are understood as a continuously changing fluid state, and on this basis, the category of painting will be expanded.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painterly actions and expressions from a material monistic perspectiv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materials. By doing so, it can propose the possibility of painterly performance in the material dimension. 본 연구의 목적은 회화적 행위를 인간과 물질 사이의 분리된 경계가 아닌, 물질 일원론적 관점에서 살펴보며, 이를 통해 회화적 행위와 표현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자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제작한 회화 연작을 중심으로 신유물론의 생기적 물질성, 물질의 자기 조직화와 창발성, 물질-현상론과 내부-작용 개념 등을 활용한 분석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회화적 수행과 물질적 생성을 동등한 것으로 보고, 신유물론에서 제시하는 물질 개념에 초점을 맞춘다.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예술가, 도구, 재료, 시간, 공간 등 모든 요소가 물질적 전회를 통해 결합하여,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품이 생성된다. 이 연구는 창작 행위를 물질적 생성으로 이해하며, 이에 신체, 정신, 의식, 감각 등 물리적 및 비물질적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물질적 창조의 사건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인간의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물질적 차원에서 회화의 형태와 표현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물질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수행성을 가지며, 회화적 수행 역시 물질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생성의 과정에 놓여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이런 시각을 통해 예술의 제작과 감상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유동적 상태로 이해되며, 이를 바탕으로 회화의 범주를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즉, 이 연구는 물질 일원론적 관점에서 회화적 행위와 표현의 가능성을 탐구하며, 물질 간 상호작용을 중심에 두고 분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물질적 차원에서의 회화적 수행의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ntibiotic resistance of pathogenic Acinetobacter species and emerging combination therapy

        신보라,박우준 한국미생물학회 2017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5 No.11

        The increasing antibiotic resistance of Acinetobacter species in both natural and hospital environment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worldwide in recent decades. Because of both intrinsic and acquired antimicrobial resistance (AMR) against last-resort antibiotics such as carbapenems, novel therapeutics are urgently required to treat Acinetobacter-associated infectious diseases. Among the many pathogenic Acinetobacter species, A. baumannii has been reported to be resistant to all classes of antibiotics and contains many AMR genes, such as blaADC (Acinetobacter-derived cephalosporinase). The AMR of pathogenic Acinetobacter species is the result of several different mechanisms, including active efflux pumps, mutations in antibiotic targets, antibiotic modification, and low antibiotic membrane permeabil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rugs, combination theraphy that can increase the activity of antibiotic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reatment of Acinetobacter infections. Understanding the molecular mechanisms behind Acinetobacter AMR resistance will provide vital information for drug development and therapeutic strategies using combination treatment. Here, we summarize the classic mechanisms of Acinetobacter AMR, along with newly-discovered genetic AMR factors and currently available antimicrobial adjuvants that can enhance drug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A. baumannii infec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모 애착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친구관계 질을 통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된 조절효과

        신보라,이희경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모 애착과 휴대폰 중독의 관계에서 친구관계 질을 통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660명을 대상으로 모 애착, 친구관계 질, 기본심리욕구, 휴대폰 중독을 측정하였고, SPSS 21.0, AMOS 21.0, SP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 애착과 친구관계 질, 기본심리욕구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휴대폰 중독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모 애착 및 친구관계 질이 기본심리욕구를 통해서 휴대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 결과, 모 애착과 친구관계 질이 상호작용하여 기본심리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SPSS Macro를 통해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모 애착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가 모 애착과 친구관계 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teste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rough friendship quality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moth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addiction. A total of 660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packer including measure of mother attachment, friendship qualit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obile phone addic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MOS 21.0, SPSS Macro.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lations of mother attachment, friendship qualit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hile having negative relationship with mobile-phone addiction. Second, the result of the mediated effect analysis with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shows that mother attachment and friendship qual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has impacts on mobile phone addictio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Third, the result of verifying the control effect throug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mother attachment and friendship quality are interacted to give an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Fourth,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using SPSS Macro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friendship quality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oth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addi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초식성 곤충의 생물지리학 연구 ‒ 섬 면적, 본토와의 거리와의 관계

        신보라,김낭희,이재영,장범준,최세웅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한반도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3,000여개 이상 많은 섬들을 가지고 있다. 섬생물지리학 이론에서는 생물종수가 본토와의 거리와 섬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고 예상한다. 이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크기가다른 6개의 섬에서 초식성 곤충 다양성과 면적, 본토와의 거리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을알아보기 위하여 낙엽활엽수인 4개의 수종(참나무, 벚나무, 예덕나무, 사방오리나무)을 선정하여 2017년 6월 잎의식흔을 잎손상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초식성 곤충 중 종 다양성이 풍부한 나방을 채집하여 식흔자료와나방 다양성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섬의 면적이 커질수록, 해안선의 길이가 길수록 잎 식흔 양이증가하였으며 나방 종수와 개체수도 많아졌다. 본토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곤충의 종수와 개체수, 잎의 식흔량은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섬에 서식하는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은 섬 면적, 해안선 길이,본토와의 거리와 밀접한 관련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